선고일자: 1991.07.26

민사판례

돈 빌려주고 땅 받았는데, 돌려줘야 할 돈이 얼마일까? - 양도담보와 정산금, 그리고 이자

부동산을 담보로 돈을 빌려주고 갚지 못하면 땅을 가져가는 '양도담보'. 하지만 땅값이 빌려준 돈보다 많으면 차액을 돌려줘야 할까요? 돌려준다면 얼마나, 언제까지 줘야 할까요? 오늘은 복잡한 양도담보의 정산과 관련된 법원 판결을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들은 피고에게 돈을 빌리면서 땅을 담보로 제공했습니다. 돈을 갚지 못하자 피고는 등기까지 자기 이름으로 넘겼습니다. 그런데, 그 땅의 일부가 나중에 국가에 수용되면서 큰 보상금이 나왔습니다. 원고들은 이 보상금에서 빌린 돈을 뺀 나머지를 돌려달라고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주요 쟁점

  1. 이자 계산 : 빌린 돈에 대한 이자는 언제까지, 얼마나 계산해야 할까요? 항소심에서 빌려준 돈(인용금액)이 줄어들었다면, 줄어든 시점까지 이자를 계산해야 할까요, 아니면 처음 판결 난 시점까지 계산해야 할까요? (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 제3조)

  2. 양도담보 종류: 피고는 원고들이 돈을 못 갚을 경우 땅 소유권이 자신에게 넘어오는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귀속정산형 양도담보) 반면 원고들은 땅을 판 돈에서 빌린 돈만큼 제하고 나머지는 돌려받을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약한 의미의 양도담보, 민법 제372조) 어떤 유형의 양도담보인지가 정산금액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 장기간 권리 불행사: 피고는 원고들이 오랜 기간 정산금을 청구하지 않았으므로 권리가 소멸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실권, 민법 제2조) 하지만 법원은 정산금 청구는 땅이 팔린 후에야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했습니다.

  4. 최고이자율: 계약 당시 최고이자율을 초과한 이자 약정은 무효입니다. (이자제한법 제1조, 제2조) 그 후 최고이자율이 높아졌다고 해서 무효였던 이자가 유효하게 될까요?

법원의 판단

  1. 이자 계산: 피고가 항소해서 빌려준 돈이 줄어든 것은 정당한 항변이었으므로, 줄어든 시점까지만 이자를 계산해야 합니다.

  2. 양도담보 종류: 이 사건은 땅을 팔아서 정산하는 '약한 의미의 양도담보'입니다. 피고는 땅값에서 빌려준 돈과 이자를 제외한 나머지를 원고들에게 돌려줘야 합니다.

  3. 장기간 권리 불행사: 땅이 팔려서 보상금을 받기 전에는 원고들이 정산금을 청구할 수 없었으므로, 권리가 소멸되었다고 볼 수 없습니다.

  4. 최고이자율: 계약 당시 무효였던 이자는 나중에 최고이자율이 바뀐다고 해서 유효하게 되지 않습니다.

참고 법조항 및 판례

  • 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 제3조
  • 민법 제372조 (양도담보), 제2조
  • 이자제한법 제1조, 제2조
  • 대법원 1989.12.12. 선고 88다카27492,27508 판결 등

이처럼 양도담보는 복잡한 법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관련된 법과 판례를 잘 이해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돈 빌려주고 땅 받았는데… 돌려줘야 할 돈이 있을까? (양도담보와 귀속정산)

돈을 빌려주고 담보로 부동산 소유권을 넘겨받은 채권자가, 돈을 돌려받지 못했을 때 그 부동산을 자기 소유로 만들어 정산하는 '귀속정산'을 할 경우, 부동산 가액은 언제를 기준으로 평가해야 하는지, 그리고 법원 밖에서 전문가가 작성한 감정의견서도 증거로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양도담보#귀속정산#부동산 가액 평가시점#감정의견서 증거능력

민사판례

빚 갚을 때까지 내 땅은 담보! - 양도담보와 정산절차, 그리고 미성년자 명의신탁

빚을 갚는 대신 재산을 넘겨주고, 기한 내에 빚을 갚으면 재산을 돌려받기로 한 약속은 '양도담보'로 본다. 채권자는 정산절차를 거쳐야 하며, 넘겨준 재산의 가치가 빚보다 적더라도 마찬가지다. 또한, 부모가 미성년 자녀에게 재산을 명의신탁하는 것은 이해상반행위가 아니다.

#양도담보#정산절차#명의신탁#미성년자녀

민사판례

돈 빌려주고 땅 받았는데, 돌려줘야 할 돈이 있을까? - 양도담보와 청산절차 이야기

돈을 빌려주고 담보로 땅의 소유권을 넘겨받은 경우, 법에서 정한 절차대로 청산하지 않으면 소유권을 완전히 취득할 수 없다는 내용입니다. 특히, 청산 합의가 법에서 정한 기간보다 짧거나 담보물의 가치 평가가 적절하지 않으면 무효가 됩니다. 다만, 부적절한 청산 합의라도 담보권 실행 의사를 표시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합의 당시의 담보물 가치를 기준으로 다시 청산해야 합니다.

#양도담보#청산절차#부적절한 가치평가#무효

민사판례

돈 빌려주고 땅 받았는데, 얼마 빌려준 건지가 문제?! 양도담보와 채무액 인정에 관한 법원 이야기

돈을 빌려주고 땅을 담보로 받는 계약(양도담보)에서, 법원이 실제 빌려준 돈(피담보채권액)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판결해서 대법원이 다시 재판하라고 돌려보낸 사례입니다.

#양도담보#피담보채권액#증거#파기환송

민사판례

돈 빌려주고 담보로 땅 받았는데, 돈 안 갚으면 어떻게 될까? (양도담보, 상계, 지연손해금)

이 판결은 돈을 빌려주고 땅을 담보로 받은 경우(양도담보), 채무자가 담보권을 가진 사람에게 이자 제한을 주장할 수 있는지, 서로 빚을 퉁치는 상계를 할 때 이자는 어떻게 계산하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법원은 채무자가 담보권자에게 이자 제한을 주장할 수 없으며, 상계 시에는 이자를 먼저 계산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양도담보#상계#지연손해금#이자제한

민사판례

돈 빌려주고 못 받았을 때, 이자는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 그리고 채권 양도는 어떻게 해야 안전할까?

돈을 빌려준 사람(채권자)이 같은 돈에 대한 권리(채권)를 여러 사람에게 양도했을 때, 누가 먼저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지, 그리고 법원에서 일부만 인정한 금액에 대해서만 항소했을 때 항소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도 이자를 더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이중 채권양도#확정일자#항소심 범위#지연손해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