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1.05.28

민사판례

땅 주인과 건물 주인이 달라졌을 때: 내 건물은 어떻게 되나요?

내 땅 위에 내가 지은 건물, 혹은 땅과 함께 건물을 샀는데 땅 주인과 건물 주인이 달라지는 황당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건물 등기를 제대로 하지 못했을 때 이런 문제가 생기기 쉬운데요, 오늘은 이런 경우에 어떤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법정지상권

A씨는 B씨에게서 땅 위에 있는 건물을 샀습니다. 하지만 건물 등기를 미처 마치지 못한 상태였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땅에 설정되어 있던 저당권이 실행되면서 땅이 C씨에게 넘어갔습니다. 졸지에 땅 주인과 건물 주인이 달라진 것이죠. 이런 경우 A씨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법정지상권이란 무엇일까요?

이럴 때 A씨를 보호해주는 제도가 바로 법정지상권입니다. 법정지상권은 토지와 건물의 소유자가 달라졌을 때, 건물 소유자가 토지 소유자에게 건물을 유지하기 위해 땅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위 사례에서 A씨는 비록 건물 등기를 마치지 못했지만, B씨로부터 건물을 매수했기 때문에 장차 건물 소유권을 취득할 지위에 있습니다. 땅에 저당권이 설정될 당시 땅과 건물의 소유자가 같았다면(B씨), 저당권 실행으로 땅 주인(C씨)이 바뀌더라도 B씨는 법정지상권을 취득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법정지상권은 건물과 함께 A씨에게 양도된 것으로 봅니다.

즉, A씨는 C씨의 땅을 사용하여 건물을 유지할 수 있고, C씨에게 지상권설정등기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C씨는 A씨에게 건물을 철거하라고 요구할 수 없습니다. 이는 신의성실의 원칙(민법 제2조)에 위배되기 때문입니다.

핵심 정리

  • 토지와 건물 소유자가 동일했는데, 저당권 실행 등으로 소유자가 달라진 경우 법정지상권이 성립합니다 (민법 제366조).
  • 건물 소유자가 법정지상권을 얻기 전에 건물을 팔았다면, 건물을 산 사람은 법정지상권도 함께 양도받은 것으로 간주됩니다.
  • 법정지상권을 가진 사람에게 건물 철거를 요구하는 것은 신의성실의 원칙에 위배됩니다.

관련 판례

  • 대법원 1989.5.9. 선고 88다카15338 판결
  • 대법원 1985.4.9. 선고 84다카1131,1132 전원합의체판결
  • 대법원 1988.4.12. 선고 87다카2404 판결
  • 대법원 1991.9.24. 선고 91다21701 판결
  • 대법원 1992.6.12. 선고 92다7221 판결

토지와 건물 소유권 문제는 복잡하고 어려울 수 있습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권리를 제대로 행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땅 주인 바뀌었는데, 내 건물은 어떻게 되나요? - 법정지상권 이야기

땅에 저당권이 설정된 후 건물이 지어진 경우, 저당권 설정 당시 저당권자가 건물 건축에 동의했더라도 법정지상권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법정지상권#저당권#건물#토지

상담사례

내 땅에 내가 지은 건물인데, 땅 주인이 바뀌면 건물은 어떻게 되나요? (feat. 법정지상권)

내 땅에 건물을 짓고 땅에 근저당권을 설정한 후 땅 주인이 바뀌어도, 근저당권 설정 당시 땅과 건물 주인이 같았다면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에 따라 건물을 계속 사용할 수 있다.

#법정지상권#근저당권#강제경매#기준시점

상담사례

땅 주인 바뀌었는데, 내 건물은 어떻게 되나요? (관습법상 법정지상권 이야기)

땅과 건물 소유주가 서류 위조 등 불법적인 이유로 달라진 경우, 건물주는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을 주장할 수 없다.

#관습법상 법정지상권#토지 건물 소유자#적법한 원인#원인 무효

민사판례

땅 주인과 건물 주인이 달라졌을 때, 법정지상권은 언제 생길까?

땅과 그 위 건물 모두에 저당권이 설정된 후 건물이 철거되고 새 건물이 지어진 경우, 경매로 땅과 새 건물 주인이 달라져도 새 건물 주인이 땅을 계속 사용할 권리(법정지상권)는 생기지 않는다는 판결입니다.

#법정지상권#건물신축#공동저당권#경매

민사판례

땅 주인 바뀌어도 내 건물 지킬 수 있을까? - 관습법상 법정지상권 이야기

땅과 건물 주인이 같다가 땅이나 건물만 팔렸을 때 생기는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은 땅과 건물 주인이 원래부터 같았어야 하는 건 아니고, 매매 당시 같으면 된다. 또, 법정지상권이 인정된 후 건물을 증축한 경우에도, 증축 부분이 법정지상권이 설정된 땅 위에 있다면 철거할 필요 없다.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성립요건#매매시 동일소유자#증축

상담사례

땅 주인 바뀌었는데, 건물 주인은 그대로? 법정지상권 이야기

땅과 미등기 건물을 함께 판 경우, 건물 소유자가 땅 주인이 바뀌었다고 해서 관습상의 법정지상권을 주장하여 땅 사용권을 얻기는 어렵다.

#법정지상권#미등기건물#토지경매#소유권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