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0.07.24

세무판례

땅 팔았을 때 세금, 얼마나 내야 할까요? (양도소득세 계산 A to Z)

부동산을 팔고 나면 양도소득세를 내야 한다는 건 다들 아시죠? 그런데 이 양도소득세, 계산하는 방법이 생각보다 복잡합니다. 오늘은 양도소득세 계산의 핵심인 양도차익 계산과 관련된 몇 가지 중요한 판례를 바탕으로, 꼭 알아두어야 할 사항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실거래가와 기준시가, 어떤 걸로 계산해야 할까?

양도차익은 '양도가액 - 취득가액 - 필요경비'로 계산합니다. 그런데 양도가액과 취득가액을 정할 때, 실제 거래된 금액인 실거래가를 써야 할지, 정부가 정한 기준시가를 써야 할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판례에서는 1989년 8월 1일 이전의 옛 소득세법 시행령을 기준으로, 실거래가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만 기준시가를 사용할 수 있다고 명시했습니다. 즉, 실거래가를 알 수 있다면 무조건 실거래가를 사용해야 하고, 하나만 알 수 있다면 아는 쪽은 실거래가, 모르는 쪽은 기준시가를 사용해서 계산한다는 겁니다. (관련 조문: 구 소득세법시행령 제170조 제1항, 소득세법 제23조, 제45조, 제60조 / 참고 판례: 대법원 1988.2.9. 선고 87누188 판결, 1990.2.27. 선고 89누3557 판결)

2. 땅의 종류가 바뀌었을 때, 취득 시점은 언제일까?

예전에 임야였던 땅이 공업용지로 개발되면서 지목이 변경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취득 시점은 언제로 봐야 할까요? 지목 변경된 날짜일까요, 아니면 처음 임야를 취득한 날짜일까요?

이 판례는 명확하게 처음 취득한 날짜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지목이 변경되었다고 해서 땅을 새로 취득한 것은 아니라는 논리입니다. 토지대장 등록이나 지적법상의 등록전환일이 취득일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관련 조문: 소득세법 제27조, 소득세법시행령 제53조, 지방세법시행령 제73조 제8항, 지적법 제2조 제11호)

3. 공사대금 대신 내준 돈, 필요경비로 인정될까?

땅 주인이 공사업체에 공사대금을 직접 주지 않고, 공사업체가 빌린 돈(체당금)을 대신 갚아준 경우, 이 돈을 필요경비로 인정받을 수 있을까요?

이 판례에서는 필요경비로 인정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체당금은 어디까지나 땅 주인이 내야 할 돈을 공사업체가 대신 내준 것일 뿐, 땅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직접 지출한 비용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단순히 은행 융자 관련 수수료나 이자를 대신 내준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관련 조문: 소득세법 제45조 제1항)

4. 취득세 가산세도 필요경비에 포함될까?

취득세를 늦게 내서 가산세를 냈다면, 이 가산세도 필요경비로 인정받을 수 있을까요?

이 판례에서는 가산세도 필요경비에 포함된다고 판단했습니다. 가산세 역시 취득 과정에서 발생한 부대비용이기 때문입니다. (관련 조문: 소득세법 제45조 제1항, 지방세법 제121조)

양도소득세 계산은 생각보다 복잡하고, 여러 가지 변수가 존재합니다. 따라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꼼꼼하게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에서 소개한 판례들을 참고하여 양도소득세 계산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부동산 양도세, 기준시가와 실거래가 사이에서 꼭 알아야 할 것들

타인의 빚 보증을 위해 제공한 부동산이 경매로 넘어갈 경우, 보증인은 양도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이때 세금 계산 방식과 관련된 다양한 쟁점에 대한 판결입니다. 핵심은 기준시가로 계산한 양도차익이 실제 판매가보다 높을 경우, 실제 판매가를 기준으로 세금을 계산하지만, 양도소득 공제와 특별공제는 여전히 적용된다는 것입니다.

#물상보증인#부동산경매#양도소득세#기준시가

세무판례

땅과 건물 팔았는데, 취득가액을 모르겠어요! 양도소득세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회사에 넘어간 토지의 양도소득세를 계산할 때, 취득 당시 실제 거래 가격을 모르면 기준시가를 활용해야 하며, 특히 환지된 토지는 별도의 계산식을 적용해야 한다. 또한, 필요경비 중 설비비와 개량비는 실제 지출액을 공제해야 한다. 세무서의 자문 절차 누락은 과세 처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양도소득세#환지#필요경비#기준시가

세무판례

부동산 양도차익 계산, 실거래가액과 기준시가, 어떤 걸 써야 할까?

옛날 소득세법 시행령에 따르면, 부동산을 사고팔 때 국가, 지자체, 회사 등 법인과 거래한 가격이 확인되면, 다른 한쪽 거래도 실제 거래가격을 확인해서 양도소득세를 계산해야 합니다. 만약 확인이 안 되면 법인과 거래한 쪽은 실제 거래가격, 다른 쪽은 정부가 정한 기준시가로 계산합니다.

#부동산#양도소득세#취득가액#양도가액

세무판례

부동산 양도소득세, 알쏭달쏭한 계산법 제대로 알아보기

부동산을 팔았을 때 세금(양도소득세)을 계산할 때 실제 거래 가격(실거래가)을 제대로 신고하지 않으면 기준시가를 사용하지만, 기준시가로 계산한 세금이 실거래가로 계산한 세금보다 많을 수는 없다. 또한, 매매계약서가 있다고 해도 다른 증거들을 고려했을 때 내용이 사실과 다르다고 판단되면, 법원은 계약서의 내용을 인정하지 않을 수 있다.

#양도소득세#실거래가#기준시가#매매계약서

세무판례

땅 판 돈에 대한 세금, 제대로 계산했나요?

땅을 팔았을 때 세금을 계산하는 방식이 잘못되었더라도, 그 잘못이 명백하고 중대한 경우가 아니라면 세금 부과 자체는 유효하다.

#양도소득세#기준시가#과세처분#효력

세무판례

옛날 세법 따라 양도소득세 계산하기 (법인 거래가 얽혀있을 때)

옛날 소득세법에서는 국가, 지자체, 법인과 부동산 거래를 할 때, 매도 또는 매수 중 하나라도 실거래가가 확인되면 나머지 거래도 실거래가를 확인해서 양도차익을 계산해야 했습니다. 만약 나머지 거래의 실거래가 확인이 어려우면, 법인과 거래한 쪽은 실거래가, 개인과 거래한 쪽은 기준시가를 적용해야 했습니다.

#부동산#양도차익#실거래가#기준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