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을 팔 때 발생하는 세금, 양도소득세! 계산이 복잡해서 머리 아프셨죠? 오늘은 기준시가와 실거래가를 기준으로 양도차익을 계산할 때 꼭 알아야 할 판례를 바탕으로 양도소득세 계산법을 쉽게 풀어드리겠습니다.
1. 양도소득공제, 꼭 챙기세요!
양도소득세를 계산할 때 기준시가로 계산한 양도차익이 실제 판매가격(실거래가)보다 높게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는 실거래가를 한도로 양도차익을 제한하게 되는데요. 그렇다면 양도소득공제는 어떻게 될까요?
판례는 양도소득공제는 양도자산별로 받는 것이 아니라 1년에 한 번 양도자에게 주어지는 혜택이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소득세법 제23조 제2항 제2호, 대법원 1987.4.28. 선고 86누347 판결). 즉, 기준시가와 실거래가를 비교해서 양도차익을 제한하더라도 양도소득공제는 꼭 받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놓치지 말고 꼭 챙기세요!
2. 물상보증인의 억울함, 양도소득세는 누가 내야 할까?
타인의 빚 보증을 서줬다가 빌려준 사람이 돈을 갚지 않아 내 부동산이 경매로 넘어갔다면? 억울하게 부동산을 잃은 것도 모자라 양도소득세까지 내야 할까요?
안타깝게도 경매로 넘어간 부동산의 양도소득세는 물상보증인이 납부해야 합니다. (대법원 1988.2.9. 선고 87누941 판결 등) 돈을 빌려 간 사람이 돈을 갚지 못한다 하더라도, 경매를 통해 부동산 소유권이 넘어가는 것은 물상보증인과 경락인 사이의 거래로 보기 때문입니다. 보증을 설 때는 신중 또 신중해야겠죠?
3. 기준시가, 실거래가, 그리고 필요경비와 특별공제
기준시가로 계산한 양도차익이 실거래가보다 높을 때, 실거래가를 한도로 양도차익을 계산한다는 것은 앞서 설명드렸습니다. 이때 필요경비와 특별공제는 어떻게 적용될까요?
필요경비: 기준시가 기반 양도차익이 실거래가를 초과하여 실거래가로 양도차익을 제한하는 경우, 이미 실거래가에 필요경비가 반영되었다고 보기 때문에 추가로 필요경비를 공제하지 않습니다. (소득세법 제23조 제2항, 제4항 및 제45조 제1항, 대법원 1983.2.22. 선고 82누138 판결 등)
특별공제: 양도차익을 실거래가로 제한하더라도 양도소득 특별공제는 적용됩니다. (소득세법 제23조 제2항 제1호, 대법원 1987.12.22. 선고 87누483,484 판결 등) 장기간 보유한 자산에 대한 혜택은 그대로 유지되는 것이죠!
부동산 양도소득세, 복잡하지만 정확히 이해하고 계산해야 불필요한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오늘 설명드린 내용을 꼼꼼히 확인하셔서 양도소득세 계산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세무판례
땅을 팔았는데, 세금 계산 기준인 기준시가가 실제 판매가격보다 높은 경우에도 양도소득세를 계산할 때 특별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이때 특별공제 계산은 기준시가를 기반으로 한다는 판례입니다.
세무판례
옛날 소득세법 시행령에 따르면, 부동산을 사고팔 때 국가, 지자체, 회사 등 법인과 거래한 가격이 확인되면, 다른 한쪽 거래도 실제 거래가격을 확인해서 양도소득세를 계산해야 합니다. 만약 확인이 안 되면 법인과 거래한 쪽은 실제 거래가격, 다른 쪽은 정부가 정한 기준시가로 계산합니다.
세무판례
기준시가로 계산한 양도소득세가 실제 거래가격으로 계산한 양도차익보다 커도 세금 부과 자체는 문제없다는 판결. 다만, 기준시가를 이용해 계산한 세금이 실거래가 기반 양도차익을 넘으면 안된다는 기존 판례는 유지됨.
세무판례
부동산을 양도했을 때, 세금을 계산하기 위해 실제 거래 가격과 기준시가 중 어떤 것을 적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분쟁에서, 국세청의 업무 처리 규정이 조세법률주의에 어긋나지 않는다는 판결입니다.
세무판례
토지 양도로 발생한 차익에 대한 세금 계산 시, 실제 거래 가격과 기준시가 중 어떤 것을 적용할지, 토지 취득 시기를 언제로 볼지, 그리고 어떤 비용들을 필요경비로 인정해 세금 계산 시 공제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세무판례
부동산을 팔았을 때 세금(양도소득세)을 계산할 때 실제 거래 가격(실거래가)을 제대로 신고하지 않으면 기준시가를 사용하지만, 기준시가로 계산한 세금이 실거래가로 계산한 세금보다 많을 수는 없다. 또한, 매매계약서가 있다고 해도 다른 증거들을 고려했을 때 내용이 사실과 다르다고 판단되면, 법원은 계약서의 내용을 인정하지 않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