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4.09.04

민사판례

땅과 건물 주인이 다를 때, 법정지상권은 언제 생길까?

복잡한 부동산 분쟁에서 자주 등장하는 법정지상권. 땅 주인과 건물 주인이 다를 때 건물을 철거하지 않고 계속 사용할 수 있는 권리인데요, 이번 판례를 통해 여러가지 상황에서 법정지상권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공유지에 건물을 지었을 때

땅을 여러 사람이 공유하는 경우, 한 사람이 다른 공유자 과반수의 동의를 얻어 건물을 지었다고 해서 법정지상권이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만약 이를 인정한다면, 동의하지 않은 다른 공유자의 재산권을 침해하는 결과가 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원칙은 민법 제366조에서 규정하는 법정지상권에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또한, 땅과 건물 모두 공유인데, 땅에 대한 일부 공유자의 지분에만 근저당권이 설정되어 경매로 제3자가 그 지분을 취득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대법원 1993. 4. 13. 선고 92다55756 판결)

2. 기존 건물을 철거하고 새 건물을 지었을 때

같은 사람이 소유한 땅과 건물에 공동저당권이 설정된 후, 건물이 철거되고 새 건물이 지어진 경우를 생각해 봅시다. 이때 경매로 땅과 새 건물의 주인이 달라졌다고 해서 새 건물을 위한 법정지상권이 생기는 것은 원칙적으로 아닙니다.

새 건물에도 땅과 같은 순위의 공동저당권이 설정되지 않았다면, 법정지상권을 인정할 경우 저당권자는 예상치 못한 손해를 입게 됩니다. 처음 저당권을 설정할 때는 땅 위에 아무런 제한이 없는 나대지로서의 가치를 기대했는데, 법정지상권 때문에 그 가치를 온전히 실현할 수 없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원칙은 집합건물의 일부 또는 전부, 그리고 대지 지분에 공동저당권이 설정된 후 기존 건물이 철거되고 새 건물이 지어진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대법원 2003. 12. 18. 선고 98다43601 전원합의체 판결)

하지만, 예외는 있습니다!

이번 판례에서, 공동근저당권이 설정된 기존 건물들이 철거된 후 새 건물이 신축되었고, 그 후 토지가 경매로 다른 사람에게 넘어간 경우, 법정지상권이 인정되었습니다. 이는 저당권 설정 당시 건물 신축이 상당 부분 진행 중이었고, 경매 시점에는 건물이 완성되었다는 사실이 중요하게 작용했습니다. 이 경우, 저당권 설정 당시부터 건물의 존재 및 그에 따른 법정지상권 발생 가능성을 예상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민법 제366조)

결론적으로, 법정지상권 발생 여부는 해당 부동산의 구체적인 상황과 관련 법리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특히 공유 지분, 기존 건물 철거 및 신축, 저당권 설정 시점과 경매 시점 등 다양한 요소들이 복잡하게 얽혀있으므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땅 주인과 건물 주인이 달라졌을 때, 법정지상권은 언제 생길까?

땅과 그 위 건물 모두에 저당권이 설정된 후 건물이 철거되고 새 건물이 지어진 경우, 경매로 땅과 새 건물 주인이 달라져도 새 건물 주인이 땅을 계속 사용할 권리(법정지상권)는 생기지 않는다는 판결입니다.

#법정지상권#건물신축#공동저당권#경매

민사판례

땅 주인 바뀌어도 건물 안 뜯기로 했다면? 법정지상권 이야기

땅 주인과 건물 주인이 같다가 달라지는 경우, 건물 주인은 땅을 계속 사용할 권리인 법정지상권을 갖게 됩니다. 하지만 건물을 철거하기로 약속했다면 이 권리가 생기지 않습니다. 그런데 이 판례는 "철거 후 새 건물을 짓기로 한 약속"은 단순히 "철거하기로 한 약속"과 다르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새 건물을 지을 생각이었다면 법정지상권은 여전히 인정된다는 것입니다.

#법정지상권#철거#재건축#토지사용권

민사판례

건물과 땅 주인이 다를 때, 건물은 어떻게 되나요? - 법정지상권 이야기

땅과 그 위의 건물 주인이 같았다가 매매 등으로 달라진 경우, 건물 철거 약정이 없으면 건물 주인이 땅을 계속 사용할 수 있는 권리(관습법상 법정지상권)가 인정된다는 기존 대법원 판례를 유지한다.

#관습법상 법정지상권#효력 유지#대법원 판례#건물 철거 약정

상담사례

내 땅 위에 내 건물인데, 왜 철거하라 할까요? - 법정지상권 이야기

토지와 건물 소유주가 달라진 경우에도, 원래 소유주가 같았다면 법정지상권에 따라 건물 소유주는 건물을 철거하지 않고 토지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법정지상권#건물철거#토지소유권#건물소유권

민사판례

땅 주인 바뀌어도 내 건물 지킬 수 있을까? - 관습법상 법정지상권 이야기

땅과 건물 주인이 같다가 땅이나 건물만 팔렸을 때 생기는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은 땅과 건물 주인이 원래부터 같았어야 하는 건 아니고, 매매 당시 같으면 된다. 또, 법정지상권이 인정된 후 건물을 증축한 경우에도, 증축 부분이 법정지상권이 설정된 땅 위에 있다면 철거할 필요 없다.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성립요건#매매시 동일소유자#증축

상담사례

내 땅에 내가 지은 건물인데, 땅 주인이 바뀌면 건물은 어떻게 되나요? (feat. 법정지상권)

내 땅에 건물을 짓고 땅에 근저당권을 설정한 후 땅 주인이 바뀌어도, 근저당권 설정 당시 땅과 건물 주인이 같았다면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에 따라 건물을 계속 사용할 수 있다.

#법정지상권#근저당권#강제경매#기준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