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로 자동차를 이용하다가 중간에 다른 사람에게 판 경우, 나중에 소유권 문제가 발생하면 누구 책임일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법원 판결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피고는 현대캐피탈과 금융리스 계약을 맺고 자동차를 이용했습니다. 그러다 원고에게 자동차를 매도하고 리스 계약도 승계하도록 했습니다. 이때 원고는 피고에게 매매대금과 남은 리스료 차액을 지급했습니다. 그런데 나중에 제3자가 나타나 원래 자동차 소유자는 자신이라고 주장하며 소유권을 가져갔습니다. 이에 원고는 피고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했습니다.
쟁점
리스 이용자가 차를 팔고 리스 계약을 승계시킨 후, 소유권 문제가 발생하면 원래 리스 이용자는 매수인에게 어떤 책임을 지는가?
법원의 판단
법원은 리스 이용자가 리스 계약에서는 탈퇴했더라도, 매수인에 대한 소유권 이전 의무와 매도인으로서의 담보책임은 여전히 부담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즉, 피고는 원고에게 차량 소유권을 이전할 의무가 있었고, 그 의무를 이행하지 못했으므로 원고에게 손해를 배상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핵심 정리
관련 법조항
판례 내용 요약
리스 이용자가 차량을 매도하고 리스 계약을 승계시킨 경우, 리스 회사와의 관계에서는 벗어나지만 매수인에 대한 소유권 이전 의무와 매도인으로서의 담보책임은 여전히 존재한다. 이는 리스 계약과 별도로 매매 계약이 존재하기 때문이며, 매도인으로서의 책임을 면할 수 없다.
이번 판례는 리스 차량을 매도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분쟁에 대한 중요한 판단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리스 차량을 매도하려는 분들은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계약을 진행해야 합니다.
상담사례
리스 차량 구매 시, 리스 이용자가 제3자에게 차량을 팔고 리스 계약을 승계해도 소유권은 리스회사에 있으므로, 매수인은 소유권을 얻지 못하며, 매도인에게 소유권 이전 의무 불이행에 대한 책임을 물을 수 있다.
민사판례
리스(시설대여) 차량은 등록증상 이용자의 이름으로 되어 있더라도, 실제 소유권은 리스회사에 있다.
민사판례
법원은 리스(시설대여) 차량의 소유권은 명의자가 리스 이용자라도 리스 회사에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리스 이용자 명의로 등록된 차량에 대한 저당권 설정은 무효입니다.
민사판례
차를 팔아달라고 부탁하며 다른 사람에게 맡겼더라도, 차량에 대한 운행 지배와 이익을 유지하고 있다면 사고 발생 시 소유자에게 책임이 있다는 판결.
민사판례
할부로 차를 판매한 후 구매자가 사고를 냈을 때, 판매자가 차량 등록 서류를 넘겨주지 않았더라도 다른 여러 정황을 고려하여 판매자의 책임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단순히 등록서류 미교부만으로 판매자에게 책임을 지울 수는 없다.
민사판례
차를 팔았더라도 명의이전 전까지는 여전히 운행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