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에 공동구판장을 짓기 위해 정부 보조금을 받았는데, 이게 '부정 수급'이냐 아니냐를 두고 법정 공방이 벌어졌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대법원은 "아니다"라고 판단했습니다. 어떤 사건인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한 마을회가 항공기 소음피해지역 주민들을 위해 공동이용시설 설치 지원 보조금을 받아 공동구판장을 지었습니다. 그런데 이 보조금을 '허위 신청이나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받았다는 혐의로 기소된 것입니다. 검찰은 마을회가 공동구판장을 임대할 목적으로 보조금을 받았기 때문에 이는 보조금의 목적에 어긋나는 부정 수급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이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핵심 논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결론
이 판결은 보조금의 목적과 실제 사용 용도를 중심으로 '부정 수급'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단순히 형식적인 절차 위반이나 다른 의도가 있었다는 추측만으로는 부정 수급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형사판례
보조금을 받을 자격이 있는 사업에 대해 정당한 금액을 받았다면, 절차상 문제가 있더라도 보조금 부정 수급으로 처벌할 수 없다.
형사판례
복지재단 건축을 위해 국가와 지자체로부터 받은 보조금 일부를 개인 채무 변제에 사용한 혐의에 대해, 대법원은 국가보조금이 다른 자금과 섞여 사용처 추적이 어렵다는 이유로 무죄 취지로 파기환송했습니다. 또한, 재단 설립 허가 조건을 허위로 이행한 것처럼 서류를 꾸며 기성금 보조금을 받았다는 혐의에 대해서도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형사판례
거짓이나 부정한 방법으로 보조금을 더 받았다면, 설령 그 금액이 실제로 받을 자격이 있는 금액보다 적더라도 보조금법 위반으로 처벌받는다.
일반행정판례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이하 한국노총)이 복지센터 건립을 위해 정부 보조금을 받는 과정에서 건설업체로부터 발전기금을 받았는데, 이를 '부정한 방법'으로 보조금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대법원은 한국노총이 보조금을 받을 자격이 있는 사업에 대해 정당한 금액을 받았으므로 부정 수급이 아니라고 판결했습니다.
형사판례
국가에서 지원하는 보조금을 다른 단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받은 사람도 보조금을 부정하게 사용하거나 허위로 신청하면 보조금법 위반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일반행정판례
부정한 방법으로 보조금을 받았다면, 정부는 보조금 지급 결정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때 취소 범위(전액 또는 일부)는 사안별로 다르게 결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