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7.09.12

세무판례

묘지에 대한 종합토지세 비과세, 핵심은 '사실상 현황'!

묘지에는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당연하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생각보다 복잡한 문제입니다. 오늘은 묘지에 대한 종합토지세 비과세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과거 종합토지세가 부과되던 시절, 묘지로 인정받으려면 어떤 조건을 충족해야 했을까요? 단순히 서류상 지목이 '묘지'라고 해서 무조건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은 아닙니다.

대법원은 이에 대한 중요한 판결을 내렸습니다. 핵심은 바로 **"사실상의 현황"**입니다. 즉, 서류상 지목이 무엇이든 간에 실제로 시체나 유골이 매장되어 있고, 관련 부속시설이 있는 토지라면 '묘지'로 인정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판결의 근거가 된 법령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구 지방세법(1994. 12. 22. 법률 제4794호로 개정되기 전) 제234조의12 제6호: 종합토지세 비과세 대상으로 '묘지'를 포함.
  • 구 지방세법시행령(1994. 12. 31. 대통령령 제14481호로 개정되기 전) 제194조의7 제7호: '묘지'를 '지적법에 의한 묘지'로 정의.
  • 구 지적법(1995. 1. 5. 법률 제4869호로 개정되기 전) 제5조 & 같은법시행령(1995. 4. 6. 대통령령 제14568호로 개정되기 전) 제6조 제23호: '묘지'를 '사람의 시체나 유골이 매장된 토지와 이에 접속된 부속시설물의 부지'로 정의.
  • 구 지방세법시행령 제194조의17 제1항: 과세 대상 토지의 공부상 등재 현황과 사실상 현황이 다를 경우, 사실상 현황에 따라 과세.

이러한 법령들을 종합해보면, 묘지에 대한 종합토지세 비과세 여부는 단순히 서류상의 지목이 아닌, 실제 현황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묘지의 범위를 판단할 때 반드시 필지 단위로 볼 필요는 없다는 점도 중요합니다.

즉, 넓은 토지의 일부에만 묘지가 조성되어 있더라도, 그 부분은 '사실상의 현황'에 따라 묘지로 인정되어 세금이 면제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판례는 묘지에 대한 과세 기준을 명확히 제시함으로써, 납세자들의 권익 보호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묘지 옆 밭, 상속세 안 낼 수 있을까요? (feat. 도시 한복판 콩밭)

도시 주거지역에 위치한 밭(X토지)은 벌초 대가로 타인에게 경작을 허용했을 뿐 묘지 관리 비용 충당 목적의 묘토로 인정되지 않아 상속세 면제 대상이 아니다.

#상속세#묘지#농지#묘토

상담사례

묘토, 600평이면 다 되는 거 아니었어? 🤔 상속세 비과세 묘토 범위 제대로 알기!

상속세 비과세 묘토는 600평이 아니라 분묘 1기당 600평 이내의 농지이며, 여러 분묘가 있다면 각각 600평씩 계산된다.

#상속세#묘토#비과세#600평

세무판례

농지 종합토지세 분리과세, 실제 경작해야 인정!

종합토지세 분리과세 혜택을 받으려면 서류상 지목이 전·답·과수원일 뿐 아니라 실제로 농사를 짓고 있어야 한다.

#종합토지세#분리과세#실제 경작#전·답·과수원

세무판례

상속받은 땅, 나중에 묘지로 쓰면 상속세 안 내도 될까?

상속받은 후 묘지로 사용하기로 정한 땅은 상속세 면제 대상(묘토)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상속 당시 이미 묘지로 사용되고 있어야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상속세#묘지#묘토#상속시점

세무판례

종합토지세 고지서, 꼭 알아야 할 내용들!

종합토지세 납세고지서에 세액 산출근거를 어떤 수준까지 기재해야 하는지, 그리고 토지의 비과세 여부 및 과세구분의 적정성에 대한 입증책임은 누구에게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종합토지세#납세고지서#기재사항#입증책임

세무판례

농사 안 짓는 땅, 종합토지세 덜 낼 수 있을까?

농사짓지 않는 땅은 지목이 논이나 밭, 과수원으로 등록되어 있어도 종합토지세를 계산할 때 분리과세 혜택을 받을 수 없다.

#종합토지세#분리과세#경작#미경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