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6.11.10

형사판례

미결구금일수 계산, 꼼꼼히 따져봐야 하는 이유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결구금일수 계산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미결구금일수란 재판이 확정되기 전 구속되어 있던 기간을 말하는데, 이 기간은 형기에 산입됩니다. 즉, 미결구금일수가 많을수록 실제 복역 기간은 줄어들게 됩니다. 그런데 이 계산이 잘못되면 생각보다 오랜 기간 복역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사례에서 피고인 1은 여러 죄로 기소되었는데, 그중 일부 죄에 대해 유죄, 일부 죄에 대해 무죄를 선고받았습니다. 문제는 미결구금일수 계산 과정에서 발생했습니다.

원심(대법원 이전의 재판)에서는 미결구금일수를 계산하면서, 재정통산법정통산을 모두 적용했습니다. 재정통산은 판사의 재량으로 미결구금일수를 특정 형에 산입하는 것이고, 법정통산은 법률에 따라 자동으로 산입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원심에서 재정통산과 법정통산을 적용한 결과, 미결구금일수가 원심 선고 형기를 초과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게다가 원래 법정통산되어야 할 미결구금일수를 법정통산 대상이 아닌 다른 형에 따로 재정통산했습니다. 쉽게 말해, A라는 죄에 대해서는 법정통산을 해야 하는데, 실수로 B라는 죄에 재정통산을 해버린 것입니다.

대법원은 이러한 원심의 계산 오류를 지적하고, 상고 후의 구금일수 중 일부를 피고인 1에 대한 제1심 판시 제1, 3죄에 관한 형에 각각 산입하도록 정정했습니다. 검사가 판시 제2죄에 대해서만 상고했고, 이미 원심에서의 미결구금일수 계산이 잘못되었기 때문에 따로 재정통산을 하도록 한 것입니다.

이 사례는 미결구금일수 계산이 얼마나 중요한지, 그리고 복잡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형법 제57조(재정통산)와 형사소송법 제482조(미결구금일수의 산입)가 관련 법조항입니다. 관련된 법률 지식이 없다면 직접 계산하고 확인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미결구금일수는 구금 기간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이므로, 꼼꼼하게 확인하고 따져봐야 불이익을 받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미결구금일수 산입, 꼼꼼하게 따져봐야 하는 이유

징역형이 두 개 이상 선고된 경우, 미결구금일수를 어떤 형에 얼마나 산입할지 명확히 밝히지 않은 항소심 판결은 잘못된 판결이라는 대법원 판례.

#미결구금일수#산입#판결#명확성

형사판례

억울한 감옥살이, 제대로 보상받으세요! 미결구금일수 산입, 놓치면 안되는 권리

피고인이 1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고 항소했는데, 항소심에서 형량은 줄여줬지만 1심 재판 기간 동안 구치소에 있었던 기간(미결구금일수)을 형기에 포함시켜 계산하지 않는 실수를 저질렀습니다. 대법원은 이런 항소심 판결은 위법하다고 판단하고, 스스로 형량을 다시 정했습니다.

#미결구금일수#형량산입#항소심#파기환송

형사판례

미결구금일수, 항소 기각 시에도 꼭 계산해야!

범죄 혐의로 기소되기 전부터 구속되어 있던 피고인이 항소했지만 항소가 기각된 경우, 기소 전 구금 기간도 형기에 포함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

#공소 전 구금#형기 산입#항소 기각#형법 제57조

형사판례

구치소에 있었던 시간, 형량에 포함될까? - 미결구금일수 산입

재판받기 위해 구치소에 있었던 기간은 판결받은 형기에 반드시 포함해야 하며,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포함하지 않을 수 없다.

#판결 전 구금#형기 산입#미결구금일수#형법 제57조

형사판례

징역형과 벌금형이 함께 선고된 경우 미결구금일수 산입은 어떻게?

징역형과 벌금형을 함께 선고받은 경우, 재판 전 구치소에 있었던 기간(미결구금일수)을 징역형에 산입할지, 벌금형에 해당하는 노역장 유치 기간에 산입할지 명확히 밝혀야 한다.

#미결구금일수#징역형#벌금형#산입

형사판례

미결구금일수, 형기에 무조건 포함될까?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고 항소 등 상소를 했다가 취소한 경우, 상소 취하 전까지 구금되었던 기간(미결구금일수)을 최종 형기에 포함하지 않는다는 판결입니다. 법에 명시적인 규정이 없다는 것이 주된 이유입니다.

#상소취하#미결구금일수#형기산입#형사소송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