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4.03.25

민사판례

배 수리비 내줬는데, 보관료까지 내 책임인가요?

배를 수리해 줬는데, 배 주인이 배를 찾아가지 않아 보관료까지 물어야 하는 억울한 사례가 있었습니다. 과연 법원은 어떤 판단을 내렸을까요?

사건의 개요

고려조선 주식회사(이하 원고)는 배 주인의 요청으로 배를 수리해 주었습니다. 그런데 수리 후 배 주인이 배를 가져가지 않았습니다. 원고는 어쩔 수 없이 자신의 사업장에 배를 보관하게 되었고, 결국 배 주인은 배를 찾아가지 않은 채 배에 대한 경매가 진행되었습니다.

원고는 경매 과정에서 수리비는 물론, 배를 보관한 기간 동안의 보관료(상가료)까지 배당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원고는 배를 수리한 비용은 물론이고, 배를 보관한 비용, 즉 상가료도 당연히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하지만 법원은 원고의 상가료 청구를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원고는 상법 제861조 제1항 제1호에 따라 '최후 입항 후의 선박과 그 속구의 보존비'로서 상가료도 우선적으로 배당받아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법원은 상가료가 배 자체의 상태와 기능을 유지·보존하기 위해 지출된 비용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단순히 배를 보관한 비용은 배 자체를 보존하기 위한 비용으로 볼 수 없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상법에서 정한 '선박의 보존비'에 해당하지 않아 우선 배당 대상이 아니라고 판결했습니다.

핵심 정리

  • 쟁점: 배 수리 후 배 주인이 찾아가지 않아 발생한 보관료(상가료)를 선박우선특권에 따라 배당받을 수 있는지 여부
  • 관련 법 조항: 상법 제861조 제1항 제1호 (최후 입항 후의 선박과 그 속구의 보존비)
  • 법원의 판단: 상가료는 선박의 보존비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선박우선특권을 인정할 수 없다.

이 사례는 배와 관련된 수리, 보관 등의 업무를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비용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합니다. 단순히 배를 보관하는 것만으로는 '선박의 보존'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법원의 판단을 기억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배 수리비, 언제까지 우선으로 받을 수 있을까? - 선박우선특권 이야기

선박이 마지막 항해를 마치고 돌아온 후가 아니라도, 경매 등으로 항해가 중단된 곳에서 발생한 선박 보존 비용에도 선박우선특권이 인정된다.

#선박우선특권#최후 입항#선박 보존 비용#경매

민사판례

배 수리비, 언제나 최우선 변제 대상일까? - 선박우선특권 이야기

배가 항해를 계속할 목적으로 수리되었다면, 그 수리비는 '최후 입항 후' 발생한 비용으로 볼 수 없어 선박우선특권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선박우선특권#최후 입항#수리비#출항

민사판례

배 경매와 정박료, 누가 내야 할까?

경매 진행 중인 선박의 정박료는 경매 절차의 비용이지, 선박우선특권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다른 채권보다 우선적으로 변제받을 수 없다.

#선박우선특권#정박료#경매#집행비용

민사판례

보세창고에 맡긴 내 물건, 누가 책임져야 할까? - 수입화물 분실 사고와 책임 소재

보세창고는 항공운송인의 지시 없이 수하인 아닌 사람에게 화물을 인도하면 안 되며, 이를 어길 경우 손해배상 책임을 진다.

#보세창고#화물인도#책임#손해배상

민사판례

배 수리 감독 비용, 누가 내야 할까? 그리고 엇갈린 상계 주장, 법원은 어떻게 판단해야 할까?

선박 충돌사고 후 수리 과정에서 파견된 직원의 숙식비와 교통비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가해자가 배상할 손해가 아니며, 법원은 상계항변에 대한 판단을 누락해서는 안 된다는 판결.

#선박충돌#손해배상#상계항변#수리감독비

일반행정판례

항만 부두 사용료, 누가 내야 할까요? 화주 vs. 하역사업자

항만에 화물을 보관할 때 발생하는 장치장 사용료(체화료)는 화물의 주인인 화주가 내야 하며, 단순히 화주를 대리해서 행정 절차를 진행한 항만하역사업자는 납부 의무가 없다.

#항만#부두#장치장#사용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