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이의

사건번호:

2003다35680

선고일자:

200403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상가료가 상법 제861조 제1항 제1호에서 정한 '최후 입항 후의 선박과 그 속구의 보존비'에 해당하지 아니한다는 원심의 판단을 수긍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상법 제861조 제1항 제1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고려조선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임숙경) 【피고, 피상고인】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외 1인 (소송대리인 변호사 민병일 외 2인) 【원심판결】 광주고법 2003. 6. 13. 선고 2002나9027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은, 판시 이 사건 선박에는 1995. 11. 3. 및 같은 달 8. 피고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와 피고 근해안강망수산업협동조합 명의의 근저당권이 각 설정된 사실, 원고가 소유자인 소외인의 요청에 따라 2001. 3. 25.까지 수리비 18,589,000원을 들여 판시 이 사건 선박을 수리한 사실, 피고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가 위 근저당권에 기하여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원에 이 사건 선박에 관하여 선박임의경매신청을 한 사실, 원고가 위 경매절차에서 수리비 18,589,000원과 그에 대한 이자 및 이 사건 선박에 대한 상가료(체가료, 원고는 이 사건 선박을 수리하였지만 소외인이 찾아가지 아니하자 2002. 2. 21.까지 원고의 사업장 내에 설치된 상가대에 이 사건 선박을 보관하였다면서 보존·관리비로 1일당 524,400원 씩 총 333일 동안의 금원을 상가료로 구하는 것으로 보인다) 174,625,000원을 합한 195,070,352원에 대한 배당신청을 한 사실, 그러나 경매법원은 배당기일에 이 사건 선박의 매각대금과 이자를 합한 배당할 금액 213,757,893원에서 집행비용 16,558,330원(이 중 감수보존비용은 13,680,000원이다)을 공제한 197,199,563원을 실제 배당할 금액으로 하여, 제1순위로 수리비에 대한 선박우선특권자인 원고에게 18,589,000원을, 제2순위로 근저당권자인 피고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에게 77,000,000원을, 제3순위로 근저당권자인 피고 근해안강망수산업협동조합에게 101,610,563원을 각 배당하는 이 사건 배당표를 작성한 사실을 각 인정한 후, 상가료가 상법 제861조 제1항 제1호에서 정한 '최후 입항 후의 선박과 그 속구의 보존비'에 해당하여 선박우선특권이 발생하는 채권이므로 상가료도 제1순위로 배당 받아야 한다는 원고의 주장에 대하여, 원고 주장의 상가료는 이 사건 선박 자체의 상태 및 기능을 유지·보존하기 위하여 지출한 비용이라고 보기 어려우므로 상법 제861조 제1항 제1호 소정의 '선박의 보존비'에 해당하지 아니한다고 판단하여 원고의 주장을 배척하였는바, 관련 법령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고 주장의 상가료가 '선박의 보존비'에 해당하지 아니한다고 판단한 원심은 옳고, 거기에 주장과 같은 상가료·유치권·선박우선특권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조무제(재판장) 이용우 이규홍(주심) 박재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배 수리비, 언제까지 우선으로 받을 수 있을까? - 선박우선특권 이야기

선박이 마지막 항해를 마치고 돌아온 후가 아니라도, 경매 등으로 항해가 중단된 곳에서 발생한 선박 보존 비용에도 선박우선특권이 인정된다.

#선박우선특권#최후 입항#선박 보존 비용#경매

민사판례

배 수리비, 언제나 최우선 변제 대상일까? - 선박우선특권 이야기

배가 항해를 계속할 목적으로 수리되었다면, 그 수리비는 '최후 입항 후' 발생한 비용으로 볼 수 없어 선박우선특권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선박우선특권#최후 입항#수리비#출항

민사판례

배 경매와 정박료, 누가 내야 할까?

경매 진행 중인 선박의 정박료는 경매 절차의 비용이지, 선박우선특권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다른 채권보다 우선적으로 변제받을 수 없다.

#선박우선특권#정박료#경매#집행비용

민사판례

보세창고에 맡긴 내 물건, 누가 책임져야 할까? - 수입화물 분실 사고와 책임 소재

보세창고는 항공운송인의 지시 없이 수하인 아닌 사람에게 화물을 인도하면 안 되며, 이를 어길 경우 손해배상 책임을 진다.

#보세창고#화물인도#책임#손해배상

민사판례

배 수리 감독 비용, 누가 내야 할까? 그리고 엇갈린 상계 주장, 법원은 어떻게 판단해야 할까?

선박 충돌사고 후 수리 과정에서 파견된 직원의 숙식비와 교통비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가해자가 배상할 손해가 아니며, 법원은 상계항변에 대한 판단을 누락해서는 안 된다는 판결.

#선박충돌#손해배상#상계항변#수리감독비

일반행정판례

항만 부두 사용료, 누가 내야 할까요? 화주 vs. 하역사업자

항만에 화물을 보관할 때 발생하는 장치장 사용료(체화료)는 화물의 주인인 화주가 내야 하며, 단순히 화주를 대리해서 행정 절차를 진행한 항만하역사업자는 납부 의무가 없다.

#항만#부두#장치장#사용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