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5.02.26

민사판례

번호계는 돈 빌려준 걸 받으려 소송을 낼 수 있을까? - 당사자능력에 대한 이야기

혹시 번호계라고 들어보셨나요? 여러 사람이 돈을 모아 순번대로 타는 일종의 사금융인데요, 만약 누군가 돈을 갚지 않는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당연히 소송을 생각하시겠죠? 하지만 법원은 번호계 자체가 소송을 낼 수 있는 '자격'이 있는지 먼저 따져봅니다. 이걸 법률 용어로 당사자능력이라고 합니다.

최근 대법원 판결(대법원 2014. 2. 27. 선고 2013다89563 판결)에서 번호계의 당사자능력에 대한 중요한 판단이 나왔습니다. 이 판결은 "집행판결을 청구하는 소송도 일반 소송과 마찬가지로 당사자능력 등 소송 요건을 갖춰야 한다"라고 명시했습니다.

좀 더 쉽게 설명드리자면, 번호계처럼 법인격이 없는 단체가 누군가에게 돈을 돌려받기 위해 '집행판결'을 신청하려면, 일반 소송을 내는 것처럼 소송을 낼 수 있는 자격, 즉 당사자능력이 있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이 사건에서 원고인 번호계는 돈을 갚지 않은 사람에게 돈을 받기 위해 집행판결을 청구했습니다. 하지만 법원은 번호계가 법인 아닌 사단으로서 법적인 실체를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당사자능력이 없다고 판단했고, 결국 소송은 각하되었습니다. 즉, 번호계는 소송을 낼 자격이 없다는 것이죠.

이 판결은 민사집행법 제23조, 제26조, 제27조민사소송법 제51조, 제52조, 제217조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이 조항들은 소송을 제기하기 위한 기본적인 요건과 당사자능력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번 판례를 통해 번호계와 같은 법인격 없는 사단은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당사자능력이 없음을 명확히 했습니다. 따라서 번호계와 같은 형태로 금전 거래를 할 경우, 법적 분쟁 발생 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계약 당시부터 법적 효력을 갖출 수 있는 방법을 미리 강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번호계, 돈 못 받았을 때 소송? 가능할까요?

번호계 자체는 소송 주체가 될 수 없으므로, 돈을 못 받았다면 번호계가 '법인 아닌 사단'으로 인정될 경우에만 번호계 이름으로 소송 가능하고, 그렇지 않다면 개인이 돈을 빌려간 사람을 상대로 직접 소송해야 한다.

#번호계#소송#당사자능력#법인 아닌 사단

상담사례

미국 번호계 판결, 한국에서 내 재산을 압류할 수 있을까요? (당사자능력 문제)

미국 번호계는 한국 법원에서 당사자능력이 인정될 가능성이 낮아 한국 재산에 대한 미국 판결 집행이 어려울 수 있지만, 번호계의 구체적인 성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전문가 상담이 필요하다.

#미국 번호계#한국 집행#당사자능력#대법원 판례

민사판례

돈 받을 권리 압류당하면 소송도 못할까? - 채권압류와 당사자적격

돈을 빌려준 사람(채권자)이 돈을 빌린 사람(채무자)에게 받을 돈을 다른 사람에게 압류당한 경우, 채무자는 돈을 갚아야 할 사람(제3채무자)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이는 소송을 제기할 자격(당사자적격)이 없기 때문입니다. 법원은 당사자적격 유무를 직접 조사해야 하며, 상고심에서도 이를 다툴 수 있습니다.

#채권압류#당사자적격#추심채권자#소송

민사판례

빌려준 돈 받으려다 오히려 빚만 진 이야기 - 상계와 기판력

이전 소송에서 상계(서로 빚진 것을 없애는 것)로 주장된 채권은 확정판결의 효력(기판력)이 미치므로, 이후 소송에서 같은 채권을 다시 주장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또한, 이러한 확정판결의 존재는 법원이 직접 확인해야 할 사항이며, 상고심에서도 새롭게 주장할 수 있습니다.

#기판력#상계#직권조사사항#확정판결

민사판례

자연부락도 소송할 수 있을까? 당사자능력과 기판력에 대한 이야기

이전 소송에서 당사자 능력이 없다고 판단되어 패소한 자연부락이, 이후 조직을 정비하여 다시 소송을 제기한 경우, 이전 판결의 효력(기판력)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는 판례입니다. 즉, 이전에 패소했더라도 법적인 단체로서의 요건을 갖추면 다시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자연부락#소송#당사자능력#기판력

민사판례

사찰도 소송할 수 있을까? - 당사자능력을 둘러싼 법정 공방

오래된 사찰이 소송을 냈는데, 상대방은 "이 사찰은 소송을 낼 자격(당사자 능력)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대법원은 사찰의 역사, 등록 현황, 활동 내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소송을 낼 자격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전통사찰#당사자능력#소송#비법인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