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3.04.27

세무판례

변호사 성공보수, 토지 받으면 언제 취득한 걸까? - 양도소득세와 토지 소유권 취득시점

변호사가 소송에서 이기면 땅을 받기로 했는데, 이 땅을 나중에 팔았을 때 양도소득세는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이번 판례에서는 변호사의 성공보수로 받은 토지의 소유권 취득 시점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사건의 개요

변호사들이 모인 법률사무소가 의뢰인으로부터 토지 관련 소송을 맡았습니다. 소송에서 이기면 해당 토지의 일부를 성공보수로 받기로 약정했죠. 결국 소송에서 이겼고, 나중에 변호사들은 해당 토지를 다른 사람에게 팔았습니다. 그런데 세무서는 변호사들이 토지를 판 시점과 소송에서 이긴 시점 사이의 기간 동안 발생한 차익에 대해 양도소득세를 부과했습니다. 변호사들은 이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

핵심 쟁점은 토지의 소유권 취득 시점입니다. 양도소득세는 자산을 취득한 시점과 양도한 시점의 차액에 과세하기 때문에, 취득 시점이 언제인지가 중요합니다. 변호사들은 소송에서 이긴 시점이 아니라, 실제로 다른 사람에게 토지를 판 시점에 소유권을 취득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즉, 취득과 양도가 동시에 이루어졌으므로 양도차익이 없다는 것이죠.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변호사들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대법원은 소득세법(제4조 제1항 제3호, 제3항, 제23조 제1항)에 따라 양도소득세는 자산의 양도로 발생하는 소득에 부과되며, 여기서 소유권이란 등기뿐 아니라 사실상의 소유권도 포함한다고 판시했습니다. 즉, 등기가 없더라도 사회통념상 대가를 거의 다 지불했다고 볼 수 있으면 소유권을 취득한 것으로 본다는 뜻입니다.

이 사건에서는 변호사들이 소송에서 이김으로써 성공보수를 받을 권리가 확정되었고, 이는 사회통념상 토지에 대한 사실상의 소유권을 취득한 것과 같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소유권 취득 시점은 소송에서 이겨 판결이 확정된 날이며, 그 이후 토지를 처분할 때까지 발생한 차익에 대해 양도소득세를 내야 한다는 결론입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소득세법: 제4조 제1항 제3호, 제4조 제3항, 제23조 제1항, 제27조
  • 구 소득세법 시행령(1988.12.31. 대통령령 제1256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3조 제1항 제1호
  • 판례: 대법원 1983.5.10. 선고 83누48 판결, 1983.6.14. 선고 81누206 판결, 1984.2.14. 선고 82누286 판결, 1974.10.25. 선고 73누201판결

결론

이 판례는 변호사 성공보수와 관련된 양도소득세 계산에 있어 중요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단순히 등기 여부만이 아니라 사실상의 소유권 취득 시점을 판단해야 함을 명확히 한 것입니다. 변호사뿐 아니라, 소송 결과로 토지 등 자산을 취득하는 경우라면 이 판례의 내용을 참고하여 양도소득세 문제에 대비해야 할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변호사 성공보수, 언제 세금 내야 할까요?

변호사가 승소금액의 일정 비율을 성공보수로 받기로 약정한 경우, 소송이 최종 확정되기 전에 의뢰인이 받은 가집행금에서 성공보수 명목으로 일부 금액을 미리 받았더라도 이는 아직 소득으로 볼 수 없다.

#변호사#성공보수#소득세#소송 확정

세무판례

변호사 성공보수, 세금은 언제 내야 할까? - 소득 귀속 시점에 대한 이야기

변호사가 소송에서 이겨 성공보수를 받기로 했는데, 의뢰인과 보수 금액에 대한 다툼이 생겨 소송까지 갔다면, 최종 판결이 확정된 시점에 소득이 발생한 것으로 본다.

#변호사#성공보수#소득#귀속시기

세무판례

땅 팔고 세금 내는 이야기: 취득 시기와 필요경비, 그리고 가산세

토지 양도 후 양도소득세 신고 당시 취득시기를 잘못 계산하여 세금을 적게 낸 경우, 과세관청은 나중에라도 세금을 다시 계산하여 추가로 징수할 수 있고, 이 경우 납세자는 가산세를 부담해야 한다.

#양도소득세#취득시기 오류#가산세#예정신고

세무판례

토지 수용 시, 세금 계산은 언제부터?

법률에 따라 토지가 수용된 경우에도, 양도소득세 계산을 위한 양도 시기는 실제 소유권 이전 시점이 아닌, 소득세법 시행령에 따라 등기 접수일로 본다.

#토지수용#양도소득세#양도시기#등기접수일

세무판례

땅 판 시점, 계약일? 잔금일? 그리고 세금은?

임야를 판 시점, 즉 양도 시점을 언제로 볼 것인지, 그리고 그에 따라 세금 계산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또한 국세청의 세금 계산 기준을 정한 훈령의 효력과, 법원이 증거를 제대로 살펴보았는지 여부도 다룹니다.

#임야#양도시점#대금청산일#소득세

세무판례

토지 양도소득세 계산, 쟁점 총정리!

이 판례는 토지 양도소득세 계산 시 기준시가 적용 시점, 실제 양도가액에 지연손해금 포함 여부, 그리고 장기보유특별공제 대상 판단 기준에 대한 내용입니다. 즉, 세금 계산의 기준이 되는 금액과 시점, 그리고 공제 가능 여부를 명확히 하는 판례입니다.

#토지#양도소득세#기준시가#실지양도가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