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8.12.27

민사판례

보장성 보험의 압류금지, 어디까지?

오늘은 보험금 압류와 관련된 중요한 대법원 판결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특히 보장성 보험과 저축성 보험이 섞여 있는 경우, 압류가 가능한지, 어떤 기준으로 판단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건의 발단: 채권자(국민은행)가 채무자의 보험 해약환급금을 압류하려고 했는데, 보험사(동양생명)는 해당 보험이 압류할 수 없는 보장성보험이라고 주장하면서 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핵심 쟁점: 이 사건의 핵심은 해당 보험이 정말 압류가 금지되는 '보장성보험'인지 여부였습니다. 특히 이 보험은 보장성과 저축성의 성격을 모두 가지고 있어 더욱 복잡한 문제였죠.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보장성보험의 압류금지에 대한 법리를 명확히 제시했습니다.

  1. 소액사건이라도 중요한 법리 다툼은 대법원이 판단한다: 소액사건은 보통 대법원까지 가지 않지만, 이 사건처럼 하급심 판단이 엇갈리고, 국민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법률 해석이 문제 되는 경우에는 대법원이 직접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을 재확인했습니다. (소액사건심판법 제3조 제2호, 대법원 2004. 8. 20. 선고 2003다1878 판결 등)

  2. 보장성보험 압류금지의 목적: 민사집행법 제246조 제1항 제7호와 시행령은 보장성보험 보험금을 압류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국민의 최소한의 생활 보장을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즉, 만약 사고나 질병으로 경제적 어려움에 처했을 때, 보험금마저 압류당하면 생계유지가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3. 보장성보험과 저축성보험 구분, 그리고 압류 가능성:

    • 보장성보험: 사망, 질병, 사고 등에 대비하는 보험으로, 일반적으로 만기 환급금이 납입보험료보다 적거나 같습니다.
    • 저축성보험: 목돈 마련이나 노후 대비를 위한 보험으로, 만기 환급금이 납입보험료보다 많습니다.

    만약 하나의 보험에 보장성과 저축성 요소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면, 저축성 부분만 떼어내서 압류할 수는 없습니다. 보험의 사회보장적 기능을 보호하기 위해서입니다.

  4. 압류 가능성 판단 기준:

    • 원칙: 만기 환급금이 납입보험료 총액보다 적거나 같으면 보장성보험으로 압류 금지.
    • 예외: 만기 환급금이 납입보험료보다 많더라도, 보험의 목적, 보험사고의 종류, 보험료 구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보장성이 주된 목적이라면 압류 금지.

결론: 대법원은 원심이 이러한 기준을 제대로 적용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파기환송했습니다. 즉, 단순히 만기환급금이 납입보험료를 초과하는지 여부만 볼 것이 아니라 보험의 성격과 목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민사집행법 제246조 제1항 제7호)

이 판결은 보험금 압류와 관련된 분쟁에서 중요한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특히 보장성과 저축성이 혼합된 보험에 대해 구체적인 판단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유사한 분쟁 해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보험금 압류, 어디까지 가능할까? 보장성 보험과 저축성 보험 이야기

이 판례는 보험금 채권에 대한 압류 가능 여부를 다룬 판례로, 특히 보장성 보험과 저축성 보험의 성격을 모두 가지는 보험의 경우 어떤 기준으로 압류 가능성을 판단해야 하는지를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만기 시 환급금이 납입보험료를 초과하더라도 보험의 주된 목적이 보장성이라면 압류가 금지될 수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는 만기 환급금이 납입보험료를 초과하지만 보장성 부분이 극히 적은 보험을 저축성 보험으로 판단하여 압류를 허용했습니다.

#보험금 압류#보장성 보험#저축성 보험#혼합 보험

민사판례

퇴직연금, 압류될 수 있을까? - 압류금지에 대한 법원의 판단

근로자의 퇴직연금은 전액 압류가 금지됩니다. 퇴직연금을 관리하는 금융기관은 압류명령이 와도 지급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퇴직연금#압류금지#전액보호#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민사판례

압류, 양도담보, 그리고 보험금: 알쏭달쏭한 법률 관계 풀어보기

이 판례는 양도담보로 설정된 물건이 화재로 소실된 경우, 그 화재보험금에 대한 압류 및 전부명령의 효력과 양도담보권자의 권리 행사 범위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법원은 압류·전부명령의 주문에 해당 채권이 명시되어 있다면 이유에 일부 기재가 누락되었더라도 효력이 있다고 판단했으며, 양도담보권자는 화재보험금에 대해서도 권리를 행사할 수 있고, 양도담보 설정자도 피보험이익을 가진다고 판결했습니다.

#양도담보#화재보험금#압류#전부명령

민사판례

퇴직연금도 압류금지? 회사 임원의 퇴직연금과 압류, 상계

회사 이사 등의 퇴직연금도 일반 근로자의 퇴직연금처럼 압류가 어려운 재산에 해당할 수 있으며, 압류할 채권을 표시할 때는 명확하게 기재해야 한다.

#퇴직연금#압류#이사#압류금지

상담사례

보험금 압류해놨는데, 보험사가 계약을 해지해버렸다면?!

보험금 청구권을 압류해도 보험계약 해지 시 청구권이 소멸되어 보험금을 받을 수 없다.

#보험금 압류#계약 해지#청구권 소멸

민사판례

압류된 보훈연금, 생계 곤란하면 돌려받을 수 있을까?

압류금지채권(예: 보훈연금)이더라도 은행 계좌에 입금되면 압류가 가능하지만, 생계 곤란 등을 이유로 법원에 압류 취소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서 제목을 잘못 썼더라도 법원은 내용을 보고 압류 취소 신청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보훈연금#압류#압류취소#생계곤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