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6.03.10

일반행정판례

부동산 등기 안 하면 과징금! 언제까지 내야 할까?

부동산을 사고도 등기를 미루는 분들, 계신가요? 등기를 하지 않으면 '부동산 실권리자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이하 부동산실명법)에 따라 과징금을 물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부동산실명법 위반 과징금과 관련된 중요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과징금, 언제까지 내야 할까? (제척기간)

세금처럼 과징금에도 '제척기간'이 있습니다. 일정 기간이 지나면 더 이상 부과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그렇다면 부동산실명법 위반 과징금의 제척기간은 언제부터 시작될까요?

이번 대법원 판결에서는 소유권이전등기신청 의무 위반 상태가 종료된 날부터 5년이라고 명확히 했습니다. 즉, 등기를 마친 날부터 5년 동안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등기를 미루면 미룰수록 과징금 부과 가능 기간도 길어지니 주의해야겠죠?

(관련 법률: 부동산실명법 제5조 제7항, 제10조 제1항, 제3항, 부동산실명법 시행령 제3조 제5항, 지방세기본법 제38조 제1항 제3호, 지방세기본법 시행령 제18조 제1항 제2호, 구 지방세법 제30조의4 제1항 제3호, 구 지방세법 시행령 제14조의2 제1항 제2호)

(참고 판례: 대법원 2006. 1. 13. 선고 2004두2776 판결, 대법원 2013. 6. 14. 선고 2012두20021 판결)

과징금, 꼭 내야 할까? (예외 사유)

부동산실명법 시행 이후 3년 동안 등기를 하지 않았더라도, 조세 포탈이나 법령상 제한 회피 목적이 아니었다면 과징금을 내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중요한 점은, 이러한 예외 사유를 본인이 입증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번 판결에서 원고는 등기 지연으로 취득세를 면제받았다는 이유로 조세 포탈 목적이 아니라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예외 사유를 주장하려면 객관적인 증거를 제시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관련 법률: 부동산실명법 제10조 제1항, 행정소송법 제26조)

(참고 판례: 대법원 2005. 9. 15. 선고 2005두3257 판결)

핵심 정리

  • 부동산실명법 위반 과징금 제척기간은 등기 완료일로부터 5년입니다.
  • 조세 포탈 등의 목적 없이 등기를 미룬 경우 과징금이 면제될 수 있지만, 본인이 입증해야 합니다.

부동산 등기는 권리 보호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불필요한 과징금 부담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등기를 미루지 말고 제때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부동산 등기 안 하고 버티면 과징금 폭탄?! 의무위반 경과기간 계산법과 조세포탈 목적 입증 책임은 누구에게?

부동산 실권리자 명의 등기를 하지 않고 장기간 방치할 경우 과징금이 부과되는데, 이 과징금 계산의 기준 시점과 등기 지연의 목적이 조세 포탈 등인지 판단하는 시점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부동산#등기 지연#과징금#기준 시점

일반행정판례

부동산 명의신탁 과징금, 언제까지 내야 할까? 그리고 과징금 계산은 적절할까?

부동산 명의신탁에 대한 과징금 부과 제척기간은 명의신탁 해소일로부터 5년이며, 현재 과징금 부과기준은 합헌적이다.

#부동산 명의신탁#과징금#제척기간(5년)#부과기준

일반행정판례

부동산 명의신탁 과징금, 언제까지 부과할 수 있을까?

명의신탁된 부동산을 제3자가 횡령하여 등기를 가져갔다가, 원래 주인(명의신탁자)이 다시 소유권을 찾아온 경우, 과징금 부과 제척기간은 언제부터 시작할까요? 대법원은 원래 주인이 소유권을 되찾은 날짜(실명등기 시점)부터 시작한다고 판결했습니다.

#명의신탁#부동산#과징금#제척기간

일반행정판례

배우자 명의 부동산, 과징금 부과는 언제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할까요?

남편이 부인 명의로 땅을 산 후 실명 전환 기간 내에 자신의 이름으로 바꾸지 않아 과징금을 부과받은 사건에서, 과징금 부과는 땅을 살 당시가 아니라 실명 전환 기간이 끝났을 당시를 기준으로 불법적인 목적이 있었는지 판단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

#배우자 명의 부동산#과징금#실명전환#유예기간

일반행정판례

부동산 과징금, 언제 면제될까? 또 계산은 어떻게 할까?

부동산 실명제 위반으로 과징금을 부과할 때, 위헌 결정으로 법이 개정된 경우에는 개정된 법에 따라 과징금을 산정해야 한다. 특히, 실명등기를 이미 마친 경우라면 실명등기 시점의 토지 가액을 기준으로 과징금을 계산해야 한다.

#부동산실명제#과징금#토지가액#실명등기시점

일반행정판례

40년 넘게 등기 안했는데, 과징금 내야 할까? 토지 분할과 등기의 딜레마!

건물이 타인 소유 토지의 경계를 침범한 경우, 침범 부분을 매수했더라도 건축법상 토지 분할이 제한되어 소유권 이전 등기를 바로 할 수 없다면, 등기 지연에 대한 과징금 부과는 부당하다.

#건축법#토지분할 제한#등기 지연#과징금 부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