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8.12.11

민사판례

부동산 명의신탁, 유예기간 지나면 소유권 주장 못한다!

과거에는 세금 회피 등의 목적으로 부동산 명의신탁이 빈번하게 이루어졌습니다. 내 돈으로 부동산을 샀지만, 다른 사람 이름으로 등기를 하는 것이죠. 하지만 이런 관행에 제동을 걸기 위해 부동산 실권리자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이하 부동산실명법)이 제정되었습니다. 이 법은 실소유자 명의로 등기하도록 유도하고, 위반 시에는 불이익을 주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번 판례는 부동산실명법의 유예기간 내에 실명등기를 하지 않은 경우, 명의신탁자와 명의수탁자 모두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사건의 개요

망인 A는 자신의 돈으로 땅을 사서 아버지 B의 명의로 등기했습니다. A가 사망한 후, B는 A의 아내 C에게 땅을 넘겨주려 했지만 세금 문제 때문에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 가등기만 해주었습니다. B가 사망하고, B의 상속인들(원고)은 C를 상대로 가등기 말소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부동산실명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판단했습니다.

  1. 명의신탁자(A의 상속인 C)는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다. 부동산실명법은 일정 유예기간을 두고 실명등기를 하도록 규정했습니다. 이 기간 내에 실명등기를 하지 않으면 명의신탁 약정은 무효가 됩니다. C는 유예기간 내에 실명등기를 하지 않았으므로, B에게 소유권이전등기를 청구할 권리가 없습니다. 따라서 C가 해둔 가등기도 무효입니다. (부동산실명법 제4조, 제11조, 제12조)

  2. 명의수탁자(B의 상속인들)도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다. 명의수탁자 이름으로 된 등기도 유예기간 이후에는 무효가 됩니다. 따라서 B의 상속인들 역시 땅의 소유자라고 주장할 수 없고, C의 가등기 말소를 청구할 권리도 없습니다.

핵심 정리

부동산실명법의 유예기간 내에 실명등기를 하지 않으면, 명의신탁자와 명의수탁자 모두 소유권을 잃게 됩니다. 이는 명의신탁을 근절하고 부동산 거래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법의 취지입니다. 따라서 부동산 명의신탁은 절대 하지 말아야 하며, 이미 명의신탁을 해두었다면 반드시 실소유자 명의로 등기를 해야 불이익을 피할 수 있습니다.

관련 법 조항:

  • 부동산실명법 제4조, 제11조, 제12조
  • 민법 제214조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내 땅인데 내 땅이 아닌 것 같은 이상한 상황, 명의신탁과 부동산 실명제

부동산 실명제 시행 이후 유예기간 내에 실명등기를 하지 않은 명의신탁 부동산의 경우, 명의수탁자는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고, 명의신탁자는 명의수탁자에게 부당이득반환을 청구할 수 없다.

#명의신탁#부동산실명제#소유권#부당이득반환청구

민사판례

부동산 명의신탁, 유예기간 지나면 소유권 주장 못한다?

부동산 실권리자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이하 '부동산실명법') 시행 전 명의신탁된 부동산은 법 시행 후 1년 유예기간 내 실명등기를 하지 않으면, 명의수탁자는 누구에게도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다.

#명의신탁#부동산실명법#유예기간#소유권

민사판례

부동산 명의신탁, 유예기간 후에는 소유권 주장 못한다?

옛날처럼 부동산을 다른 사람 이름으로 등기하는 명의신탁을 했다면 법에서 정한 기간(유예기간) 안에 본인 이름으로 바꿔야 합니다. 기간을 놓치면 명의신탁 약속은 효력을 잃고, 나중에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습니다.

#부동산 명의신탁#유예기간#소유권#무효

민사판례

부동산 명의신탁, 유예기간 후 소유권 주장은 안돼요!

부동산 실명제법에 따른 유예기간 내에 실명등기를 하지 않으면 명의신탁 약정은 무효가 되며, 이후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다. 가처분은 소유권 분쟁에 대한 '쟁송'으로 인정되지 않아 유예기간 연장 사유가 될 수 없다.

#부동산 명의신탁#유예기간#실명등기#가처분

민사판례

내 땅인데 왜 내 이름으로 못해?! 명의신탁, 소송 끝내고도 등기 못하면 어쩌지?

여러 명의 상속인을 상대로 명의신탁 소송을 진행하여 각기 다른 시기에 판결이 확정된 경우, 최종 확정일이 실명등기 유예기간 기준일이 된다. 또한, 판결에 오류가 있어 경정신청을 한 경우에도, 이를 소송의 연장선으로 보아 유예기간 내에 진행되었다면 실명등기를 할 수 있다.

#명의신탁#공동상속인#소송#확정판결

민사판례

부동산 명의신탁, 소유권은 누구에게?

부동산실명법 시행 전에 맺은 명의신탁 약정이 법 시행 후 유예기간까지 실명등록을 하지 않아 무효가 된 경우, 명의수탁자(등기상 소유자)는 명의신탁자(실소유자)에게 해당 부동산의 소유권을 넘겨줘야 한다.

#명의신탁#부동산실명법#실소유자#소유권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