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1.10.09

민사판례

부동산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의 양도와 압류, 가처분의 효력

부동산 매매 후 소유권 이전등기를 둘러싼 법적 분쟁은 흔히 발생합니다. 오늘은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의 양도와 관련하여 압류와 가처분의 효력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이란 무엇일까요?

쉽게 말해, 부동산을 매매했을 때 매수인이 매도인에게 소유권 이전등기를 해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단순한 채권처럼 보이지만, 매도인과 매수인 간의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특수한 권리입니다.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 마음대로 양도할 수 있을까요?

일반적인 채권은 채무자의 동의 없이도 양도할 수 있지만,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은 다릅니다. 매도인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양도했다 하더라도, 매도인은 그 양도에 구속되지 않습니다. 즉, 제3자는 매도인에게 직접 소유권이전등기를 요구할 수 없습니다. (민법 제186조, 제449조, 제450조 제1항, 대법원 1995. 8. 22. 선고 95다15575 판결, 1996. 2. 9. 선고 95다49325 판결, 1997. 5. 16. 선고 97다485 판결)

이미 가처분이 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에 압류가 들어오면 어떻게 될까요?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에 대해 "처분금지가처분"이 되어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처분금지가처분은 해당 권리를 함부로 양도하지 못하게 막는 조치입니다. 그런데 이후에 다른 채권자가 이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을 압류했다면 어떻게 될까요?

가처분이 먼저 이루어졌더라도, 나중에 이루어진 압류의 효력을 막지는 못합니다. 즉, 압류는 유효하며 가처분보다 우선합니다. (민사소송법 제577조, 제696조, 제714조, 제719조 제3항, 대법원 1998. 4. 14. 선고 96다47104 판결, 1999. 2. 9. 선고 98다42615 판결)

정리하자면,

  •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은 매도인의 동의 없이 양도될 수 없고, 양수인은 매도인에게 직접 등기를 청구할 수 없습니다.
  • 가처분이 있더라도, 나중에 이루어진 압류는 유효하며 가처분보다 우선합니다.

부동산 거래는 복잡한 법적 절차를 수반하므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신중하게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이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을 둘러싼 법적 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부동산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 양도, 함정에 빠지지 마세요!

부동산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 양도는 채무자의 동의/승낙 없이는 제3자에게 대항할 수 없으므로, 양도 시 채무자 동의를 반드시 확보해야 분쟁을 예방할 수 있다.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양도#대항력#채무자 동의

민사판례

부동산 가처분 후 가압류, 누가 우선할까요?

부동산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을 놓고 먼저 가처분을 한 후 나중에 다른 채권자가 가압류를 한 경우, 먼저 한 가처분이 나중에 한 가압류보다 우선적인 효력을 갖지 못한다.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가처분#가압류#우선효력 없음

민사판례

부동산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 가압류의 효력과 한계

돈을 빌려주고 못 받았을 때, 채무자가 갖고 있는 부동산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을 가압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가압류는 채무자와 제3채무자 사이에만 효력이 있고, 제3자가 해당 부동산에 대한 소유권을 취득했을 경우에는 그 소유권에 대항할 수 없습니다.

#부동산#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가압류#효력범위

민사판례

부동산 소유권 분쟁, 압류와 가압류의 효력은 언제 발생할까?

다른 사람에게 넘겨받기로 한 부동산에 대한 권리(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가 압류된 후에, 압류를 무시하고 이루어진 등기는 무효입니다. 설령 법원 판결을 받아서 등기를 했다 하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중요한 것은 등기 원인이 발생한 날짜가 아니라, 실제로 등기가 된 날짜입니다.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압류#등기#무효

민사판례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 압류와 제3자, 그리고 손해배상

돈을 빌려준 사람(채권자)이 돈을 빌려간 사람(채무자)이 다른 사람(제3채무자)에게 받을 부동산 소유권 이전등기 청구권을 압류했는데, 제3채무자가 이를 무시하고 제3자에게 등기를 넘겨줘 채권자가 손해를 입었다면 제3채무자는 불법행위 책임을 진다. 이때 채권자의 손해는 압류한 채권액 범위 내에서 경매를 통해 받을 수 있었던 금액으로 계산한다.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압류#제3채무자#불법행위

민사판례

아파트 분양받았는데, 압류/가압류/가처분 폭탄?! 어떻게 해야 할까요?

부동산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에 여러 가압류나 가처분이 걸려있는 경우, 등기의무자는 가압류/가처분 해제를 조건으로 등기절차를 이행해야 한다. 또한, 가압류/가처분의 효력은 해당 채권자에게만 적용되며, 먼저 설정된 가압류/가처분이 나중에 설정된 것에 우선권을 갖지 않는다.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가압류#가처분#소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