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8.07.12

민사판례

분양계약 해제 시, 신탁회사에 직접 돈 돌려달라 할 수 있을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파트 분양계약 해제와 관련된 법률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분양계약을 했는데 해제가 되었을 때, 분양대금을 누구에게 돌려받아야 할지 헷갈리는 경우가 있죠. 특히 분양대금을 신탁회사 계좌로 입금했을 경우, 신탁회사에 직접 돈을 돌려달라고 할 수 있을까요? 대법원 판례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A씨는 아파트 분양계약을 하고 분양대금을 신탁회사 B의 계좌에 입금했습니다. 그런데 분양계약이 해제되었습니다. A씨는 B에게 분양대금 반환을 요청했지만, B는 거절했습니다. A씨는 B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A씨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즉, A씨는 신탁회사 B에게 직접 분양대금 반환을 청구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 삼각관계에서의 돈의 흐름: A씨가 B의 계좌에 분양대금을 입금한 것은, 시행사 C에게 돈을 지급한 것과 같습니다. A씨 → B(신탁회사) → C(시행사) 이렇게 삼각형 모양으로 돈이 이동한 것이죠. A씨는 B에게 직접 돈을 지급한 것이 아니라, C에게 돈을 지급하기 위해 B의 계좌를 이용한 것에 불과합니다.

  • 신탁회사는 정당한 수령자: B는 C와의 사업약정에 따라 A씨로부터 분양대금을 받았기 때문에, 정당하게 돈을 받은 것입니다. A씨와 C의 분양계약이 해제되었다고 해서, B와 C의 사업약정까지 무효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 계약 당사자 간의 책임: A씨와 C 사이의 분양계약이 해제된 책임을 B에게 전가하는 것은 부당합니다. B는 A씨와 C 사이의 분양계약에 대한 당사자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 제3자를 위한 계약이 아님: B와 C 사이의 신탁계약 및 사업약정은 A씨와 같은 제3자에게 직접 권리를 주기 위한 계약이 아닙니다. 신탁계약은 C의 사업 자금을 관리하고, 분양사업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체결된 것입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 민법 제741조 (부당이득의 내용): 법률상 원인 없이 타인의 재산 또는 노무로 인하여 이익을 얻고 이로 인하여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자는 그 이익을 반환하여야 한다.

  • 민법 제539조 (제3자를 위한 계약): 계약 당사자는 계약으로 제3자에게 권리를 취득하게 하는 것을 약정할 수 있다.

  • 대법원 2003. 12. 26. 선고 2001다46730 판결

  • 대법원 2017. 7. 11. 선고 2013다55447 판결

  • 대법원 1997. 10. 24. 선고 97다28698 판결

  • 대법원 2006. 9. 14. 선고 2004다18804 판결

결론적으로, 분양계약이 해제되었다면, 분양대금은 신탁회사가 아니라 시행사에게 청구해야 합니다. 신탁회사 계좌에 돈을 입금했다고 해서 신탁회사에 직접 반환을 청구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계약 관계와 돈의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분양계약 해지 관련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분양대금 돌려받을 수 있을까? - 제3자에게 직접 납부한 경우

분양회사와 분양계약을 맺고 신탁회사에 분양대금을 직접 납부한 후 분양계약을 해제했을 경우, 신탁회사에 직접 분양대금 반환을 청구할 수 없다.

#분양계약 해제#분양대금 반환#신탁회사#직접청구 불가

민사판례

오피스텔 분양계약 해지 후 매매대금 반환, 누구에게 청구해야 할까?

오피스텔 분양계약이 해제되었다 하더라도, 분양대금 관리를 위탁받은 회사는 대주(돈을 빌려준 사람)의 동의 없이 분양계약자에게 바로 돈을 돌려줄 의무가 없다.

#오피스텔#분양계약 해제#분양대금 반환#대주 동의

민사판례

분양대금, 누구에게 돌려받아야 할까? - 삼각관계에서의 부당이득반환청구

분양계약자가 분양회사의 지시로 분양대금을 신탁회사에 직접 납부한 경우, 분양계약이 해제되더라도 신탁회사에 직접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할 수 없다. 분양회사에 청구해야 한다.

#분양대금#직접납부#신탁회사#부당이득반환청구

민사판례

분양계약 해제 후 분양대금 반환, 누구에게 청구해야 할까?

아파트 분양계약을 해제한 수분양자가 분양대금을 돌려받기 위해 분양회사를 대신하여 자금관리회사에 돈을 지급하라고 요구할 수 있다는 판결. 분양회사가 돈이 없어 보이지 않더라도, 분양대금을 돌려받을 다른 방법이 마땅치 않다면 채권자대위권을 행사할 수 있다.

#분양계약 해제#분양대금 반환#채권자대위권#자금관리

민사판례

아파트 분양계약 해지, 내 맘대로 안 돼요!

아파트 분양계약에서 수분양자가 잔금을 내지 않아 아파트가 경매로 넘어가 소유권 이전이 불가능해진 경우, 수분양자는 자신의 잘못으로 계약 이행이 불가능해졌기 때문에 계약을 해제할 수 없다.

#잔금미납#계약해제불가#수분양자귀책사유#이행불능

민사판례

아파트 분양계약 해지 시 위약금 이자, 돌려받을 수 있을까?

* 분양계약이 매수자 잘못으로 해제되어 위약금이 발생한 경우, 판매자는 위약금에 대한 이자를 추가로 지급할 필요가 없다. * 서로 관련 없는 여러 청구를 주위적·예비적 청구로 섞어서 소송을 제기하는 것은 잘못된 방식이다. 이렇게 잘못 제기된 소송에서 일부만 인용되고 나머지는 기각되었을 때, 패소한 측에서 인용된 부분만 상고하면 상고심에서는 인용된 부분만 다룬다.

#분양계약 해제#위약금 이자#청구 병합#주위적·예비적 청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