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빚을 갚을 재산이 좀 남아있더라도 '강제집행면탈죄'가 될 수 있다는, 다소 의아하게 들릴 수 있는 판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피고인은 채권자에게 갚아야 할 돈이 있었는데, 재산을 빼돌려 빚을 갚지 않으려고 허위의 채무(전세보증금)를 만들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 소유의 건물 시가에서 기존 근저당과 허위 채무를 빼면, 채권자에게 갚아야 할 돈보다 훨씬 많은 금액이 남아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빚을 갚을 재산이 충분히 있으니 강제집행면탈죄는 성립하지 않는다고 본 것이죠. 검사는 이 판결에 불복하여 상고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원심을 뒤집고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했습니다. 핵심은 '채권자를 해할 위험'이 있느냐는 것이었습니다. 대법원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피고인에게 강제집행면탈죄가 성립한다고 보았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결론
이 판례는 채무자가 빚을 갚을 능력이 어느 정도 있다고 하더라도, 고의로 재산을 빼돌리려는 시도 자체를 엄격하게 처벌한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약간의 재산'이 남아있다는 사실만으로는 강제집행면탈죄를 피할 수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입니다.
형사판례
빚을 갚지 않기 위해 재산을 숨기거나 거짓으로 양도하는 강제집행 면탈죄는 채권(빚을 받을 권리)이 존재하고, 강제집행을 피하려는 의도가 있어야 성립합니다. 이 판례는 채권이 양도되었더라도 다른 채권자의 가압류가 있었다면 채권이 존재한다고 보고, 거짓 담보 설정 후 이를 양도하는 행위도 면탈죄에 해당한다고 판결했습니다. 또한, 여러 사람이 순차적 또는 암묵적으로 범죄에 가담해도 공모 관계가 인정됩니다.
형사판례
빚이 많아 파산 직전인 사람이 빚을 갚지 않으려고 재산을 숨기면 강제집행면탈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 채권자가 소송을 시작하지 않았더라도, 빚 독촉이 심해지고 재산을 빼돌릴 가능성이 높아 보이면 죄가 성립한다.
형사판례
강제집행면탈죄는 채권자에게 실제 손해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강제집행을 피하기 위한 행위를 했다면 성립합니다. 즉, '위험범'이므로 실제 손해 발생 여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형사판례
빚을 갚지 않기 위해 거짓으로 빚이 있는 것처럼 꾸며서 채권자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강제집행면탈죄)는 실제 피해가 발생하지 않아도 범죄가 성립하며, 거짓 빚 증서를 만들어 법원으로부터 돈을 받아낼 권리를 인정받은 시점에 범죄가 완료되어 공소시효가 시작된다.
형사판례
빚 때문에 강제집행을 당할 위기에 놓인 사람이 재산을 숨기거나 거짓으로 다른 사람에게 넘기는 행위(강제집행 면탈)는, 실제로 채권자에게 손해가 발생하지 않았더라도 범죄가 된다. 특히, 거짓으로 넘긴 재산에 설정된 담보가 그 재산의 실제 가치보다 높더라도 마찬가지로 유죄이다. 또한, 부동산 실소유자 명의로 등기하지 않는 행위를 처벌하는 법률은 합헌이다.
형사판례
빚을 갚지 않으려고 가짜 빚을 만들어 다른 사람에게 근저당권을 설정해주면, 다른 재산이 조금 있더라도 강제집행면탈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