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3.03.28

민사판례

빚진 사람이 파산하면, 채권자 대신 소송하던 사람은 어떻게 되나요?

채권자는 돈을 빌려준 사람이고, 채무자는 돈을 빌린 사람입니다. 만약 채무자가 돈을 갚지 않으면 채권자는 소송을 통해 돈을 받아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채무자에게 재산이 없어 보인다면, 채권자는 채권자대위소송이라는 것을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채무자에게 돈을 받을 권리가 있는 제3채무자를 상대로 채권자가 채무자를 대신해서 소송을 거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 내 돈을 갚지 않은 사람(채무자)에게 돈을 빌려준 다른 사람(제3채무자)에게 내가 직접 돈을 받아내는 소송입니다.

그런데 만약 채권자대위소송이 진행 중인데 채무자가 파산하면 어떻게 될까요? 이번 판례는 바로 그 상황에 대한 판단을 내렸습니다.

핵심 내용: 채권자대위소송 중에 채무자가 파산하면, 소송은 일시 중단되고 파산관재인이 소송을 이어받게 됩니다.

왜 그럴까요?

파산이란 채무자가 더 이상 빚을 갚을 수 없는 상태가 되어 법원이 채무자의 재산을 정리하여 채권자들에게 분배하는 절차입니다. 파산 선고가 나면 채무자의 재산은 파산재단에 속하게 되고, 이를 관리하고 처분하는 권한은 파산관재인에게 넘어갑니다. 채권자대위소송도 채무자의 재산에 관한 소송이기 때문에, 파산관재인이 소송을 이어받아 파산재단을 위한 최선의 결과를 얻도록 해야 합니다.

이 판례는 채권자취소소송에 관한 법률 조항(채무자회생법 제406조, 제347조 제1항)을 유추 적용하여 채권자대위소송에도 같은 원리가 적용된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채권자취소소송처럼 채권자대위소송도 채무자의 재산 보전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파산 선고 후에는 파산관재인이 소송을 이어받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관련 법 조항:

  • 민법 제404조 (채권자대위권) 채권자는 자기의 채권을 보전하기 위하여 채무자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 민사소송법 제239조 (소송절차의 중단) 당사자가 파산선고를 받은 경우에는 파산재단에 관한 소송절차는 중단된다.
  •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347조 (소송의 수계) 파산관재인은 파산재단에 관하여 소송절차를 수계하여야 한다.
  •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382조 (파산재단의 구성) 파산선고 당시 채무자가 가진 모든 재산은 파산재단에 속한다.
  •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384조 (파산관재인의 관리처분권) 파산관재인은 파산재단을 관리하고 처분할 권한을 가진다.
  •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406조 (채권자취소소송의 중단 등) 채권자취소소송의 계속 중 채무자가 파산선고를 받은 경우 소송절차는 중단되고 파산관재인이 수계할 수 있다.
  •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424조 (파산채권의 행사) 파산채권자는 파산절차에 의하지 아니하고는 파산채권을 행사할 수 없다.

이 판례는 채무자의 파산 시 채권자대위소송의 처리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채권자와 채무자, 그리고 제3채무자 모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이므로 관련된 분들은 꼭 알아두시면 좋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빚진 사람이 파산하면 소송은 어떻게 될까?

빚진 사람(채무자)이 파산 선고를 받은 후, 법원이 이 사실을 모르고 파산관재인의 소송 인수(소송수계) 없이 채권자취소소송을 진행하여 판결을 내렸다면, 그 판결은 잘못된 것입니다.

#파산#채권자취소소송#소송수계#파산관재인

상담사례

파산하면 진행 중인 소송은 어떻게 되나요? (채권자대위소송)

파산 선고 시 진행 중인 채권자대위소송은 중단되고 파산관재인이 소송을 이어받아 진행한다.

#파산#소송중단#채권자대위소송#파산관재인

민사판례

파산한 채권자, 소송은 어떻게 될까요?

누군가에게 돈을 빌려준 사람(채권자)이 파산했을 때, 돈을 빌린 사람(채무자)이 "나는 돈을 갚을 의무가 없다"는 것을 확인받기 위해 소송을 진행 중이었다면, 채권자의 파산으로 소송은 일시 중단됩니다. 이때 파산 관리인이나 상대방이 소송을 이어받는 절차(수계)를 밟아야 소송이 다시 진행될 수 있습니다. 만약 수계 절차 없이 판결이 났더라도 그 판결이 무효는 아니며, 항소심에서 수계 절차를 밟으면 문제가 해결됩니다.

#파산#소송수계#채권자#채무자

상담사례

파산한 회사 돈, 내 돈 받으려면? (채권자 대위권과 파산)

회사 파산 시 채권자는 파산관재인의 재산 관리/회수 업무에 직접 소송 등으로 개입할 수 없고, 관재인에게 조치를 요구하거나 법원에 이의를 제기해야 한다.

#채권자대위권#파산#파산관재인#배당이의

민사판례

파산 선고 후 소송은 어떻게 될까요? 채권자취소소송과 파산

빚을 갚지 못해 파산한 사람(채무자)이 재산을 빼돌렸다고 의심되어 채권자가 제기한 소송(채권자취소소송)이 진행 중이었는데, 소송 중에 채무자가 파산 선고를 받았음에도 법원이 이를 모르고 소송을 계속 진행하여 판결을 내렸다면, 그 판결은 무효입니다. 파산 선고 후에는 파산관재인이 소송을 이어받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파산#채권자취소소송#소송수계#파산관재인

민사판례

빚진 사람이 파산하면, 그 빚은 어떻게 될까요? - 가장채권과 파산관재인 이야기

빚진 사람(채무자)이 파산했을 때, 파산관재인은 채무자가 숨겨놓은 재산(가장재산)에 대해 진짜 채권자인 것처럼 행동할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즉, 파산관재인은 채무자의 거짓 행위에 속지 않은 제3자로 보호받습니다.

#파산관재인#가장채권#통정허위표시#제3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