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7.10.26

형사판례

사기죄에서의 편취액과 항소심의 직권심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기 사건에서 항소심의 직권심리와 편취액 계산, 그리고 사기죄 조항 적용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살펴보겠습니다. 이번 판결은 사기 사건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법률적 쟁점들을 다루고 있어 주목할 만합니다.

1. 항소심의 직권심리와 판단 누락

피고인은 항소심에서 제1심 판결에 불복하여 항소했습니다. 항소심은 피고인이 주장하지 않은 부분까지 직권으로 심리하여 제1심 판결을 파기하고 새로운 판결을 내렸습니다. 이때, 피고인이 원래 주장했던 항소이유에 대해서는 판결문에 따로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피고인은 이 부분이 위법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대법원은 항소심이 직권으로 심리를 하는 경우, 피고인의 항소이유에 대해서도 이미 판단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따라서 판결문에 항소이유에 대한 판단을 따로 적지 않았더라도 위법한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관련 판례: 대법원 2006. 6. 27. 선고 2005도4177 판결)

2. 사기죄의 편취액 계산 - 선이자나 수수료는 공제하지 않는다!

사기죄에서 '편취액'은 피해자가 입은 실제 손해액을 의미합니다. 이 사건에서 피고인은 돈을 편취하면서 선이자나 수수료 명목으로 일부 금액을 피해자에게 지급했습니다. 피고인은 편취액을 계산할 때 이러한 지급액을 공제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사기죄에서 편취액은 피해자가 사기꾼에게 건넨 총액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즉, 선이자나 수수료 등을 지급했더라도 이를 공제하지 않고 피해자가 교부한 금액 전체가 편취액이 된다는 것입니다. (관련 판례: 대법원 1995. 3. 24. 선고 95도203 판결, 대법원 2000. 7. 7. 선고 2000도1899 판결)

3. 사기죄 조항 적용의 차이 - 형량이 같으면 문제없다!

사기죄는 형법 제347조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 조항은 제1항과 제2항으로 나뉘어 있는데, 피고인은 자신에게 적용된 조항이 잘못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대법원은 제1항과 제2항의 형량이 같다면 어떤 조항을 적용하든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설령 조항 적용이 잘못되었더라도 형량이 같다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관련 판례: 대법원 2005. 4. 29. 선고 2005도741 판결)

4. 증거 판단은 사실심 법원의 재량이다!

피고인은 원심이 증거를 잘못 판단했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증거 판단은 사실심 법원의 재량이라고 하면서, 원심의 판단에 명백한 오류가 없다면 개입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판결은 사기 사건에서 항소심의 직권심리 범위, 편취액 계산 방법, 사기죄 조항 적용, 그리고 증거 판단에 대한 대법원의 입장을 명확히 보여주는 중요한 판례입니다. 사기 사건에 연루되었거나 관심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사기죄의 범의 판단과 항소심에서의 양형 문제

이 판례는 사기죄에서 '속일 의도'를 어떻게 판단하는지, 그리고 항소심에서 원심의 형량이 부당하다고 판단될 경우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를 보여줍니다. 특히 항소심에서 형량을 낮춰야 한다고 판단하면서도 원심과 같은 형량을 선고하는 것은 잘못이라는 점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사기죄#범의#항소심#양형

형사판례

사기죄 판단 시점과 항소심에서의 양형 문제

돈을 빌릴 당시 갚을 능력과 의사가 있었다면, 나중에 상황이 어려워져 갚지 못하게 되더라도 사기죄로 처벌할 수 없다. 또한, 항소심에서 형량이 과중하다고 판단하여 1심 판결을 파기했으면서 1심과 같은 형을 선고하는 것은 판결에 모순이 있다.

#사기죄#변제능력#변제의사#항소심

형사판례

항소 취하와 사기죄, 그리고 법원의 판단 범위

돈을 받기 위해 소송에서 이긴 사람이 상대방을 속여 항소를 취하하게 만들면 사기죄가 될 수 있다. 법원은 공소장 변경 없이도 사기죄의 종류를 바꿔 유죄 판결을 내릴 수 있다.

#항소취하#사기죄#공소장변경#처분행위

형사판례

사기, 배임, 횡령죄에 대한 대법원 판결 분석

이 판결은 사기, 배임, 횡령죄에 관한 중요한 법리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사기죄에서 일부 대가를 지급했더라도 편취액은 받은 돈 전체라는 점, 회사 자금을 개인적으로 사용하면 주주총회 결의가 있더라도 횡령죄가 성립할 수 있다는 점 등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사기죄#배임죄#횡령죄#편취액

형사판례

사기죄의 '고의' 판단과 항소 범위에 대한 오해

사기죄에서 '속일 의도'를 어떻게 판단하는지, 그리고 항소장에 모든 죄를 다 적지 않았더라도 항소가 인정되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사기죄#편취범의#항소범위#항소이유서

형사판례

사기죄와 배임죄, 그리고 형평성을 고려한 형벌 적용

이 판결은 과거 유죄 판결이 확정된 죄와 그 이전에 저지른 죄를 함께 처벌할 때, 이미 확정된 판결의 형량을 고려해 형을 감경할 수 있는지, 사기죄의 고의를 어떻게 판단하는지, 그리고 분양권을 담보로 돈을 빌리고 나서 분양권을 포기한 행위가 배임죄에 해당하는지를 다루고 있습니다.

#경합범#형평#사기죄#편취범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