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9.04.09

형사판례

사기죄의 범의 판단과 항소심에서의 양형 문제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기죄에서 '편취할 의도'가 있었는지 판단하는 기준과, 항소심에서 원심의 형량이 너무 무겁다고 판단했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복잡한 법률 용어를 쉽게 풀어서 설명드릴 테니 잘 따라와 주세요!

1. 사기죄의 핵심, '편취할 의도'를 어떻게 판단할까?

사기죄가 성립하려면, 단순히 거짓말을 한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상대방을 속여서 재산상 이득을 취하려는 의도, 즉 '편취의 범의'가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속마음을 들여다볼 수는 없으니, 판사는 여러 가지 정황을 보고 판단할 수밖에 없겠죠?

이 판결에서 대법원은 피고인이 스스로 '편취할 의도가 있었다'고 자백하지 않는 이상, 범행 전후 피고인의 재산 상태, 생활 환경, 범행의 동기와 구체적인 내용, 거래 과정 등 객관적인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참고로 이 판단 기준은 대법원 2005. 10. 14. 선고 2005도12 판결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항소심에서 원심의 형량이 부당하게 무겁다고 생각되면?

이 사건에서는 피고인이 여러 건의 사기 범죄를 저질렀고, 1심에서 각 범죄에 대해 형을 선고받았습니다. 피고인은 항소했고, 항소심 법원은 1심의 형량이 너무 무겁다고 판단하여 1심 판결을 파기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파기한 후에 다시 1심과 똑같은 형량을 선고했다는 것입니다.

대법원은 이런 경우, 판결의 이유와 결론이 서로 모순된다고 지적했습니다. 형량이 무겁다고 판결을 파기해놓고 똑같은 형을 선고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다는 것이죠.

만약 항소심에서 1심의 형량이 부당하게 무겁다고 판단되어 1심 판결을 파기한다면, 당연히 1심보다 더 가벼운 형을 선고해야 합니다. 특히, 이 사건처럼 여러 범죄에 대해 각각 형을 선고한 경우에는 각각의 범죄에 대해 1심보다 가벼운 형을 선고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참고로 이 부분은 대법원 1999. 7. 23. 선고 99도1682 판결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관련 법조항:

  • 형법 제347조 (사기)
  • 형사소송법 제361조의5 (양형 이유 기재), 제364조 (판결의 방식), 제383조 (항소심의 심판)

이번 판결은 사기죄의 '편취의 범의' 판단 기준과 항소심에서의 양형에 대한 중요한 법리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법률 용어가 어려워 이해하기 쉽지 않지만, 핵심은 객관적인 정황을 바탕으로 공정하게 판단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판결의 이유와 결론이 모순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사기죄의 '고의' 판단과 항소 범위에 대한 오해

사기죄에서 '속일 의도'를 어떻게 판단하는지, 그리고 항소장에 모든 죄를 다 적지 않았더라도 항소가 인정되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사기죄#편취범의#항소범위#항소이유서

형사판례

사기죄 판단 시점과 항소심에서의 양형 문제

돈을 빌릴 당시 갚을 능력과 의사가 있었다면, 나중에 상황이 어려워져 갚지 못하게 되더라도 사기죄로 처벌할 수 없다. 또한, 항소심에서 형량이 과중하다고 판단하여 1심 판결을 파기했으면서 1심과 같은 형을 선고하는 것은 판결에 모순이 있다.

#사기죄#변제능력#변제의사#항소심

형사판례

사기죄, 남의 돈 가로챌 생각이 있었어야 죄가 된다!

돈을 갚을 생각 없이 빌렸다면 사기죄가 성립합니다. 사기죄의 핵심은 '편취할 고의'가 있었는지인데, 이는 직접적인 증거가 없더라도 객관적인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알 수 있습니다. '혹시라도 안 갚게 될 수도 있지'라는 생각만으로는 부족하고, '안 갚아도 괜찮아'라고 생각하는 정도의 '미필적 고의'가 있어야 합니다.

#사기죄#고의#편취#미필적 고의

형사판례

사기죄, 알고 보면 더 복잡하다? 고의, 기망, 편취액에 대한 오해와 진실!

돈을 빌리거나 물건을 살 때 거짓말이나 속임수를 써서 상대방을 속이고 재산상 이득을 취하면 사기죄가 성립합니다. 일부 대가를 지급했더라도 받은 금액 전체가 사기 금액으로 계산됩니다. 또한, 중요한 사실을 숨겨서 상대방이 잘못된 판단을 하게 만든 경우에도 사기죄가 될 수 있습니다.

#사기죄#성립요건#편취액#기망행위

형사판례

사기죄, 돈 떼먹을 의도가 있었어야 합니다!

사기죄에서 돈을 속여서 가져갈 의도(편취 범의)가 있었는지를 판단하는 기준과, 토지 매매에서 사기죄가 성립하려면 단순히 계약금만 받은 것으로는 부족하고 실제 소유권 이전 등기까지 이루어져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사기죄#편취의도#재산상이득#소유권이전등기

형사판례

사기죄에서의 편취액과 항소심의 직권심리

이 판례는 항소심이 항소이유에 없는 내용을 스스로 판단해서 1심 판결을 뒤집을 수 있는지, 사기죄에서 피해액은 어떻게 계산하는지, 그리고 사기죄 유형을 잘못 적용했을 때 판결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항소심 직권심리#사기죄 편취액#사기죄 유형 오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