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상가 임대차 계약,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지시나요? 내 소중한 돈이 걸린 만큼 꼼꼼하게 따져보고 안전하게 계약해야 합니다. 오늘은 상가 임대차 계약 시 꼭 알아야 할 사항과 표준계약서 활용법, 그리고 주의해야 할 특약사항까지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1. 상가건물 임대차 표준계약서, 왜 중요할까요?
법무부와 국토교통부는 상가 임대차 계약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예방하고 임차인을 보호하기 위해 상가건물 임대차 표준계약서(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19조)를 마련했습니다. 국토교통부(www.molit.go.kr)와 법무부(www.moj.go.kr) 홈페이지에서 쉽게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표준계약서를 사용하면 복잡한 법률 용어를 이해하지 못해 불리한 계약을 하는 상황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2. 표준계약서, 어떤 내용이 담겨 있나요?
표준계약서에는 계약의 당사자, 임대할 상가건물 정보, 보증금 및 월세, 임대 기간, 임대 목적, 건물 관리 및 수리 책임, 계약 해지 및 손해배상, 권리금 회수, 재건축 관련 사항, 비용 정산, 중개수수료 등 임대차 계약에 필요한 모든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3. 계약 시 꼭 확인해야 할 핵심 포인트!
4. 특약사항, 꼼꼼하게 확인하고 나에게 유리하게 작성하세요!
표준계약서 외에 추가적인 약정이 필요하다면 특약사항에 기재할 수 있습니다. 특약사항은 임대인과 임차인이 서로 합의하여 자유롭게 작성할 수 있지만, 임차인에게 불리한 조건이 포함되지 않았는지 꼼꼼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5. 계약 후 받아야 할 서류 잊지 마세요!
상가 임대차 계약은 장기간 지속되는 중요한 계약입니다. 표준계약서를 활용하고 특약사항을 꼼꼼히 확인하여 안전하고 성공적인 계약을 하시기 바랍니다!
상담사례
상가 임대차 계약 시 표준계약서 사용은 의무는 아니지만, 분쟁 예방 및 권익 보호를 위해 적극 권장되며, 법무부 등에서 제공하는 표준계약서를 참고하여 상황에 맞게 수정 및 활용할 수 있다.
생활법률
상가 임대차 계약 시 임대인의 권한과 신분 확인을 철저히 하고, 등록된 공인중개사를 통해 계약하는 것이 안전한 사업 시작의 첫걸음이다.
생활법률
상가 임대차 계약 시, 계약서 필수 항목 확인 및 계약서, 확인·설명서, 공제증서 3종 세트를 확보하고,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갖춰 보증금을 보호하며, 권리금 회수 방해 금지 행위를 숙지하여 권리금을 보호해야 한다.
생활법률
상가 임대차 계약 전 건축물대장, 토지대장, 토지이용계획확인서, 등기부등본 등을 통해 건물 정보와 권리관계를 확인하고,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적용 여부에 따라 보증금, 계약 기간 등 필수 기재 사항이 명시된 계약서를 꼼꼼히 작성해야 안전하게 사업을 시작할 수 있다.
생활법률
상가임대차보호법은 사업자등록 대상, 지역별 보증금 이하의 상가 세입자에게 최대 10년 임대, 5% 임대료 상한, 권리금 회수 보호 등의 권리를 보장한다.
생활법률
상가 임차인은 사용·수익권, 임대차등기협력청구권, 차임감액청구권, 부속물매수청구권, 필요비·유익비상환청구권, 폐업 시 해지권 등의 권리와 차임지급, 선량한 관리자로서의 의무, 원상회복의무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