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0.09.24

형사판례

성폭행 피해자 진술, 어떻게 봐야 할까요?

성폭행 사건에서 피해자의 진술은 매우 중요한 증거입니다. 하지만 피해자의 진술만으로 사건의 진실을 밝히기 어려운 경우도 많습니다. 피해자가 즉시 저항하거나 신고하지 않았다거나, 다른 이야기를 먼저 했다는 이유로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을 의심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대법원은 최근 판결을 통해 피해자 진술의 증명력을 판단하는 기준을 다시 한번 명확히 했습니다.

이번 사건은 고등학교 교사가 학생들을 추행했다는 혐의로 기소된 사건이었습니다. 1심 법원은 피해 학생들이 바로 항의하거나 신고하지 않았다는 점 등을 들어 무죄를 선고했지만, 2심과 대법원은 다른 판단을 내렸습니다.

핵심은 피해자의 특별한 사정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성폭행 피해자는 충격과 두려움 때문에 즉시 저항하거나 신고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해자와의 관계, 사건 당시의 상황 등도 피해자의 대처 양상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피해자가 왜 즉시 신고하지 않았는지, 왜 다른 이야기를 먼저 했는지 등을 피해자의 입장에서 충분히 고려해야 합니다. 단순히 피해자의 대처가 일반적인 성폭력 피해자의 모습과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진술의 신빙성을 배척해서는 안 됩니다.

대법원은 이러한 판단 기준을 **'정의와 형평의 이념에 입각하여 논리와 경험의 법칙에 따른 증거판단'**이라고 설명하며, 피해자 진술의 증명력을 가볍게 배척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판결은 성폭행 사건에서 피해자 진술의 증명력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이를 통해 성폭력 피해자들의 목소리에 더욱 귀 기울이고, 진실을 밝히는 데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관련 법조항 & 판례

  •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7조 제3항
  • 형법 제298조 (강제추행)
  • 형사소송법 제308조 (증거재판주의)
  • 대법원 2019. 7. 11. 선고 2018도2614 판결
  • 대법원 2020. 3. 26. 선고 2019도15994 판결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성폭행 사건에서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 판단,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 판례는 성폭행 사건에서 피해자의 진술이 유일한 증거일 경우, 어떤 기준으로 신빙성을 판단해야 하는지, 그리고 피해자의 특수한 상황과 처지를 고려하는 '성인지 감수성'이 왜 중요한지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원심은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무죄를 선고했으나, 대법원은 이를 뒤집고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했습니다.

#성폭행#피해자 진술 신빙성#성인지 감수성#폭행·협박

형사판례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 유죄 판결의 핵심 열쇠

피해자의 진술에 일관성이 없고 주변 상황과도 맞지 않아 신빙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피해자 진술에만 의존한 유죄 판결을 대법원이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환송한 사례.

#성폭행#유죄판결파기#피해자진술신빙성부족#증거재판주의

형사판례

강간 사건에서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 문제

피해자가 강간당했다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그 진술이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증거로 인정하지 않고 피고인에게 무죄 취지 판결을 내렸습니다. 유죄를 입증하려면 의심의 여지가 없을 정도로 확실한 증거가 필요하다는 원칙을 재확인했습니다.

#강간 무죄#진술 신빙성 부족#증거 불충분#대법원 파기환송

형사판례

군대 내 성폭력,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은 어떻게 판단해야 할까?

이 판례는 성폭력 피해자의 진술 신빙성을 판단할 때 피해자의 특수한 상황과 군대라는 특수한 환경을 고려해야 하며, 피해자의 즉각적인 대응이나 일관된 태도만으로 신빙성을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또한, 통신매체를 이용한 성적 언행에 대한 처벌 기준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습니다.

#성폭력 피해자 진술 신빙성#군대 환경#폐쇄적 조직#신고 지연

형사판례

강간죄 성립요건과 증거의 증명력에 대한 고찰

피해자의 일관되지 않은 진술과 범행 전후 정황 등을 고려했을 때, 강간 혐의에 대한 증거가 부족하여 유죄로 판단한 원심을 파기하고 다시 심리하도록 환송한 사례.

#강간죄#증거불충분#진술신빙성#유죄파기

형사판례

억울한 성추행 신고, 무고죄로 처벌될까?

성폭행 피해 신고 후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는 사실만으로 무고죄를 인정할 수 없으며, 피해자의 특수한 상황과 대처 양상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무고죄#성폭력#피해자#특별한 사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