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2.03.31

세무판례

세금 때문에 압류된 부동산을 샀는데… 소송 걸 수 있을까?

세금 체납으로 부동산이 압류된 후에 그 부동산을 구매한 사람은 압류 자체에 대해 소송을 걸 수 있을까요? 오늘은 대법원 판례를 통해 이 문제를 살펴보겠습니다.

사례:

A씨는 B씨 소유의 건물에 압류등기가 된 후에 그 건물을 매입했습니다. 세금 체납으로 인한 압류였죠. A씨는 자신이 소유권을 취득했으니 압류는 효력이 없다고 생각하고 압류처분의 무효확인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A씨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압류등기 이후에 부동산을 산 사람은 압류처분이나 그에 따른 공매처분에 대해 **"사실상, 간접적인 이해관계"**만 있을 뿐, **"법률상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이익"**이 없다는 것이죠. 쉽게 말해, 압류 때문에 재산상 손해를 볼 수는 있지만, 압류 자체를 직접 다툴 법적인 자격은 없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A씨는 압류처분의 무효확인을 청구할 당사자적격이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 국세징수법 제24조 제2항, 제45조: 국세 징수를 위한 압류 및 공매에 관한 규정
  • 행정소송법 제12조: 취소소송의 원고적격에 관한 규정
  • 대법원 1985.2.8. 선고 82누524 판결, 1990.10.10. 선고 89누5706 판결: 압류된 부동산을 이후에 취득한 자는 압류처분의 무효확인을 구할 당사자적격이 없다는 취지의 판결

결론:

세금 체납으로 압류된 부동산을 구매하려는 분들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압류등기 후 소유권을 얻더라도 압류 자체를 직접 다툴 수는 없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부동산 구매 전 꼼꼼한 확인과 주의를 통해 예상치 못한 법적 분쟁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세금 때문에 압류된 부동산, 나중에 산 사람이 취소해달라고 할 수 있을까?

세금 체납으로 이미 압류된 부동산을 다른 사람으로부터 산 경우, 그 압류가 잘못되었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낼 수 없다.

#세금 체납#압류#부동산#원고적격

일반행정판례

세금 체납으로 압류된 부동산, 매수인이나 가압류권자가 압류 취소 소송을 낼 수 있을까?

국세 체납으로 압류된 부동산을 매수했거나 가압류한 사람은 해당 압류 처분을 직접 취소해달라고 소송할 수 없다.

#세금 체납#압류#부동산#매수인

세무판례

세금 체납으로 압류된 부동산을 샀다면? 압류 효력 범위 알아보기

세금 안 낸 사람의 부동산이 압류된 후 다른 사람에게 팔렸다면, 압류는 소유권이 넘어가기 전에 발생한 세금 체납액에 대해서만 효력이 있다. 즉, 새로운 주인은 이전 주인이 소유권 이전 후에 발생시킨 세금 체납에 대해서는 책임지지 않는다.

#세금 체납#부동산 압류#소유권 이전#압류 효력

상담사례

😱 부동산 샀는데 압류당했어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부동산 매매 대금 완납 후 등기 전 판매자의 체납 세금으로 압류당했을 경우, 판매자에게 해결 요청하거나 대신 납부 후 구상권 행사를 해야 하며, 사전에 체납 여부 확인 및 신속한 등기로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동산압류#등기미처리#체납세금#압류취소소송불가

일반행정판례

세금 체납으로 압류된 부동산, 다른 채권자가 가압류나 소송을 걸면 압류 풀어줘야 할까요?

세금 체납으로 압류된 부동산에 대해, 압류 전 다른 채권자가 가압류를 했거나, 압류 후 소유권 관련 소송을 제기했더라도 그 사실만으로는 압류를 해제할 수 없다. 압류 당시 해당 부동산이 체납자 소유였다면, 압류는 유효하다.

#세금 체납#부동산 압류#가압류#소송

민사판례

세금 체납으로 압류당했는데, 압류가 잘못되었다고요? 알고 보니...

## 제목: 압류조서 없이도 채권압류는 유효하지만, 압류통지서에 채무이행 금지 문구가 없으면 무효 세금 체납으로 인한 채권압류 시 압류조서가 없더라도 압류 자체는 유효하지만, 압류통지서에 채무이행 금지 문구가 없으면 압류는 무효입니다. 이는 지방세외수입금 체납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구체적인 내용:** * **압류조서의 역할:** 압류조서는 세금 체납 시 세무서에서 압류 사실을 기록하고 증명하는 문서입니다. 압류조서가 없더라도 채권압류 자체는 유효합니다. * **압류통지서의 중요성:** 압류통지서는 제3채무자(돈을 빌려준 사람)에게 체납자에게 돈을 지급하지 말라고 알려주는 문서입니다. 이 통지서에 채무이행 금지 문구가 없으면 압류는 효력이 없습니다. 즉, 제3채무자가 체납자에게 돈을 지급해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 **지방세외수입금에도 동일 적용:** 이러한 법리는 지방세외수입금(과징금, 이행강제금 등) 체납에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판결 내용:** 대전광역시 유성구청장이 이행강제금 체납을 이유로 원고의 토지 수용보상금 채권을 압류했지만, 압류통지서에 채무이행 금지 문구를 기재하지 않아 압류는 무효가 되었습니다. **참조조문:** * 국세징수법 제29조, 제41조 * 구 지방세외수입금의 징수 등에 관한 법률 제9조, 제13조, 제19조 **참조판례:** * 대법원 1973. 11. 26.자 72마59 결정 * 대법원 1984. 8. 21. 선고 84도855 판결 * 대법원 1997. 4. 22. 선고 95다41611 판결

#채권압류#압류조서#압류통지서#채무이행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