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0.09.30

세무판례

세금 부과, 마음대로 번복할 수 없다!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세금과 관련된 중요한 판례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바로 세무서가 한번 취소한 세금 부과를 다시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사건의 개요

땅을 팔아 양도소득세 감면을 신청했던 갑씨. 세무서는 갑씨가 8년 이상 농사를 지었다는 증거가 부족하다며 감면을 거부하고 세금을 부과했습니다. 갑씨는 억울함을 호소하며 이의신청을 했고, 세무서는 갑씨의 주장을 받아들여 세금 부과를 취소했습니다. 그런데! 세무서는 얼마 후 갑씨의 땅이 대규모 개발사업지역에 포함되지 않아 감면 대상이 아니라는 새로운 이유를 들어 다시 세금을 부과했습니다. 과연 이게 가능한 일일까요?

법원의 판단

법원은 세무서의 행동이 잘못되었다고 판단했습니다. 왜냐하면 세무서는 갑씨의 이의신청을 받아들일 때, 8년 이상 농사를 지었는지 뿐만 아니라 대규모 개발사업지역 해당 여부도 함께 검토했어야 했기 때문입니다. 이미 검토했던 사항을 다시 문제 삼아 세금 부과를 번복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것이죠.

국세기본법(2007. 12. 31. 법률 제883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5조 제1항, 제3항, 제66조 제1항, 제4항, 제6항은 납세자가 부당한 세금 부과에 대해 이의신청을 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있습니다. 세무서가 이의신청을 받아들여 처분을 취소했다면, 특별한 사유 없이 이를 번복하고 다시 같은 내용의 처분을 할 수는 없습니다. (대법원 1978. 1. 31. 선고 77누266 판결, 대법원 2010. 6. 24. 선고 2007두18161 판결 등 참조)

결론

이 판례는 세무서의 자세에 대해 경종을 울리는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세금 부과는 신중해야 하고, 한번 내린 결정을 번복하는 것은 납세자의 신뢰를 저버리는 행위입니다. 세금 관련 분쟁에 휘말리지 않도록 관련 법규를 잘 숙지하고, 부당한 처분을 받았을 때 적극적으로 권리를 행사해야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세금 부과, 다시 할 수 있을까? - 위법한 세금 부과 후 정정

세무서가 처음에 세금을 잘못 계산해서 법원에서 취소 판결을 받았더라도, 잘못된 부분을 고쳐서 다시 세금을 부과하는 것은 문제없다는 판결입니다.

#세금 재부과#기판력#증여세#토지 가격

세무판례

세금 돌려줬다가 다시 뺏어가면 안 되겠죠?

세무서가 한번 잘못된 과세를 인정하고 취소했으면 특별한 사유 없이 다시 같은 과세를 할 수 없고, 소득금액변동통지는 행정소송의 대상이 아니다.

#과세처분 번복#소득금액변동통지#행정소송#위법

세무판례

세금 부과, 번복했다가 다시 원래대로? 안됩니다!

세무서가 세금 감면 결정을 내린 후, 특별한 사유 없이 이를 번복하고 다시 세금을 부과하는 것은 위법입니다. 이미 옳다고 인정된 세금 감면 사유를 뒤집고 다시 과세하는 것은 불복 절차와 시정 방식을 규정한 국세기본법의 취지에 어긋납니다.

#세금 감면#기속력#조세심판원#국세기본법

세무판례

세금 부과 취소했다가 다시 부과할 수 있을까?

세무서가 세금 부과를 취소한 후, 그 취소가 잘못되었다고 생각해서 다시 원래대로 부과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 판례는 단순히 취소를 취소하는 것으로는 안 되고, 처음부터 다시 세금 부과 절차를 밟아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세금부과취소#재부과#새로운처분#취소의취소

세무판례

세금 부과, 다시 할 수 있을까? - 확정판결의 기판력

이전 과세처분이 취소된 후, 과세당국이 *다른 이유*로 다시 과세처분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이전 판결에서 지적된 문제점만 고치면 새로운 과세가 가능합니다.

#기판력#과세처분#취소소송#저가양도

세무판례

세금 부과 취소됐다면, 소송도 끝!

세무서가 세금 부과를 취소하면, 그 처분에 대한 소송은 더 이상 진행할 필요가 없어 각하된다는 판례입니다.

#세금부과취소#소의이익#각하#행정소송법 제12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