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4.07.08

세무판례

세금 소송, 피고 잘못 지정했다고 바로 각하? 안됩니다! + 법인세할 주민세 납부, 언제 해야 할까요?

세금 문제, 복잡해서 머리 아프시죠? 오늘은 세금 관련 소송과 법인세할 주민세 납부 시점에 대한 중요한 판례 이야기를 쉽게 풀어드리겠습니다.

1. 세금 소송, 피고를 잘못 지정하면 어떻게 될까?

세금 부과가 부당하다고 생각해서 소송을 제기했는데, 담당 공무원이 아닌 다른 사람을 피고로 지정하는 실수를 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법원은 바로 소송을 각하(소송 요건을 갖추지 못해 소송을 종료시키는 것)해서는 안 됩니다. 법원은 **석명권(법원이 당사자에게 불분명한 점을 밝히도록 하는 권리)**을 행사해서 원고에게 올바른 피고를 지정하도록 알려주고 소송을 진행하도록 해야 합니다. (행정소송법 제13조, 제14조, 민사소송법 제136조) 소송을 시작하는 것도 어려운데, 이런 사소한 실수 때문에 소송 자체가 진행되지 못하는 것은 억울하겠죠? 다행히 법원은 이런 부분을 고려해서 소송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대법원 1985. 11. 12. 선고 85누621 판결, 1997. 2. 28. 선고 96누1757 판결 등)

2. 법인세할 주민세, 언제 내야 할까?

법인세를 내는 회사는 법인세할 주민세도 납부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 세금, 언제 내야 하는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법인세 납부 의무가 생기는 날(사업연도 종료일)로부터 120일 이내에 신고하고 납부해야 합니다. 하지만, 회사가 법인세 신고를 안 했거나 신고 내용에 오류가 있어 세무서에서 세금을 다시 계산(결정 또는 경정)하는 경우에는 얘기가 달라집니다. 이때는 세무서에서 세금을 다시 계산한 날에 법인세할 주민세 납부 의무가 생깁니다. 그러므로 세무서의 고지서에 적힌 납부 기한으로부터 30일 이내에 신고하고 납부해야 합니다. 만약 이를 어기면, 가산세를 추가로 내야 할 수 있습니다. (구 지방세법(1999. 12. 28. 법률 제606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77조의2, 제178조 제2항)

즉, 세무서에서 세금을 정정하면 납부 기한도 바뀐다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

세금 관련 문제는 늘 복잡하고 어렵지만, 관련 법규와 판례를 잘 이해하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세무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고 안전한 방법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법인세와 주민세, 별개로 다툴 수 있을까?

법인세 납부에 대한 이의제기와는 별도로, 법인세 계산 자체가 잘못되었다면 법인세를 기준으로 계산되는 법인세할 주민세 납부에 대해서도 따로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법인세할 주민세#불복#법인세#별개

민사판례

법인세 취소되면 법인세할 주민세도 자동으로 취소될까?

법인세 납부액을 기준으로 계산되는 법인세할 주민세는 법인세와는 별개의 세금이므로, 법인세 부과가 취소되더라도 법인세할 주민세 부과는 유효하다. 단, 법인세할 주민세 부과 자체에 중대하고 명백한 하자가 있는 경우는 예외다.

#법인세#법인세할 주민세#취소#별개 세금

세무판례

법인세 계산, 생각보다 복잡하네? - 사업연도 중 세법 개정, 임대료 제한, 시행령과 시행규칙

법인세는 사업연도 종료 시점의 법률을 적용하고, 정부의 임대료 관리지침은 법적 제한으로 보지 않으며, 시행령과 시행규칙의 적용 시점이 다를 경우 시행령이 적용될 때만 시행규칙도 적용된다는 판결.

#법인세 적용시점#임대료 제한#시행령 시행규칙 적용시점 불일치

세무판례

등기할 때 등록세 납부, 하루 늦으면 가산세 내야 할까?

등기 신청 당일 등록세를 내지 못했더라도, 그럴만한 정당한 사유가 있었다면 가산세를 낼 필요가 없다는 판결.

#등록세#가산세#납부지연#정당한 사유

세무판례

세금, 제대로 알고 내야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세, 법인세 추계 과세)

이 판례는 소득세 부과처분 취소소송을 제기하기 전에 반드시 해당 과세처분에 대한 전심절차를 거쳐야 하며, 법인세 추계과세는 법에서 정한 요건을 충족해야 하고, 단일 과세목적물에 대해 실지조사와 추계조사를 혼합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소득세#법인세#전심절차#추계과세

세무판례

부동산 양도세 신고했으면 주민세도 바로 신고해야 한다?!

부동산을 팔고 양도소득세를 예정신고할 때, 함께 내야 하는 주민세의 납부기간은 신고서를 제출한 날부터 시작합니다. 단순히 납부기간을 잘못 알았다는 이유로 가산세를 면제받을 수는 없습니다.

#양도소득세#예정신고#주민세#납부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