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2.03.10

세무판례

세금 체납으로 압류당했는데, 절차상 문제가 있다면 압류는 무효일까?

회사를 운영하다 보면 예상치 못한 세금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특히 세금을 체납하게 되면 재산이 압류될 수도 있는데요, 이때 압류 과정에서 절차상의 문제가 있었다면 해당 압류는 무효가 될 수 있을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인 주식회사 공생사는 세금 체납으로 중부세무서장(피고)으로부터 재산 압류 처분을 받았습니다. 이에 원고는 압류 처분에 앞서 독촉 절차가 없었고, 압류 조서에 납부 기한도 잘못 기재되는 등 절차상 하자가 있다며 압류 처분 무효 확인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또한, 이후 결손처분으로 납세 의무가 소멸되었으니 압류도 무효라고 주장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1. 행정처분 무효 확인 소송의 입증 책임

법원은 행정처분이 무효라고 주장하는 쪽이 무효 사유를 입증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대법원 1976.1.13. 선고 75누175 판결, 1984.2.28. 선고 82누154 판결). 원고는 상고심에서야 납세고지서에 필요한 사항이 기재되지 않았다는 주장을 처음 했기에, 이는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1. 독촉 절차 및 납부 기한 오류의 영향

원고는 압류 전 독촉 절차가 없었고, 납부 기한도 잘못 기재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법원은 세금 미납으로 인한 압류 처분에서 이러한 절차상 오류가 있다고 해도, 그것만으로는 압류 처분 자체를 무효로 할 만큼 중대하고 명백한 하자라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국세징수법 제24조 제1항 제1호, 대법원 1982.7.13. 선고 81누360 판결, 1987.9.22. 선고 87누383 판결).

  1. 결손처분 이후 압류의 효력

원고는 결손처분으로 납세 의무가 소멸했으므로 압류도 무효가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결손처분 이후에도 압류 처분은 유효하며, 이는 세금을 납부하여 납세 의무가 소멸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라고 판단했습니다 (국세징수법 제86조, 국세기본법 제26조, 대법원 1989.2.28. 선고 87다카684 판결, 1989.5.9. 선고 88다카17174 판결). 즉, 납세 의무 소멸과 압류 처분의 효력은 별개의 문제라는 것입니다.

  1. 법원의 직권 심리 및 석명권의 한계

원고는 법원이 압류 해제 신청 거부에 대해 직권으로 심리하거나 석명권을 행사하여 해제 신청 거부 취소 소송을 제기하도록 권유해야 했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법원은 압류 무효 확인 소송과 압류 해제 신청 거부 처분 취소 소송은 별개의 소송이므로, 법원이 직권으로 심리하거나 석명권을 행사할 의무는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행정소송법 제26조, 제8조, 민사소송법 제126조, 국세징수법 제57조, 제53조, 대법원 1987.11.10. 선고 86누491 판결, 1990.4.27. 선고 89다카7563 판결, 1991.4.12. 선고 90다17491 판결).

결론

이 판례를 통해 세금 체납으로 인한 압류 처분의 경우, 단순한 절차상 하자만으로는 압류 처분이 무효가 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결손처분으로 납세 의무가 소멸하더라도 압류는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세금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적절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세금 체납으로 압류당했는데, 압류가 잘못되었다고요? 알고 보니...

## 제목: 압류조서 없이도 채권압류는 유효하지만, 압류통지서에 채무이행 금지 문구가 없으면 무효 세금 체납으로 인한 채권압류 시 압류조서가 없더라도 압류 자체는 유효하지만, 압류통지서에 채무이행 금지 문구가 없으면 압류는 무효입니다. 이는 지방세외수입금 체납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구체적인 내용:** * **압류조서의 역할:** 압류조서는 세금 체납 시 세무서에서 압류 사실을 기록하고 증명하는 문서입니다. 압류조서가 없더라도 채권압류 자체는 유효합니다. * **압류통지서의 중요성:** 압류통지서는 제3채무자(돈을 빌려준 사람)에게 체납자에게 돈을 지급하지 말라고 알려주는 문서입니다. 이 통지서에 채무이행 금지 문구가 없으면 압류는 효력이 없습니다. 즉, 제3채무자가 체납자에게 돈을 지급해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 **지방세외수입금에도 동일 적용:** 이러한 법리는 지방세외수입금(과징금, 이행강제금 등) 체납에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판결 내용:** 대전광역시 유성구청장이 이행강제금 체납을 이유로 원고의 토지 수용보상금 채권을 압류했지만, 압류통지서에 채무이행 금지 문구를 기재하지 않아 압류는 무효가 되었습니다. **참조조문:** * 국세징수법 제29조, 제41조 * 구 지방세외수입금의 징수 등에 관한 법률 제9조, 제13조, 제19조 **참조판례:** * 대법원 1973. 11. 26.자 72마59 결정 * 대법원 1984. 8. 21. 선고 84도855 판결 * 대법원 1997. 4. 22. 선고 95다41611 판결

#채권압류#압류조서#압류통지서#채무이행금지

민사판례

세금 체납했는데 압류할 재산이 없다면? 시효는 어떻게 될까?

세금 체납자가 숨긴 재산을 찾기 위해 세무공무원이 수색했지만 압류할 재산이 없었다 하더라도, 그 수색 행위 자체만으로 세금 징수 시효가 중단된다는 판결입니다.

#세금#체납#수색#시효중단

민사판례

세금 체납으로 압류당한 내 땅, 돌려받을 수 있을까?

한 번 세금 체납으로 재산이 압류되면, 해당 체납액을 납부하더라도 다른 세금을 체납할 경우 압류가 해제되지 않고 그대로 공매될 수 있다.

#세금 체납#압류#공매#체납액 납부

세무판례

내 물건인데 왜 세금 때문에 압류당하나요? 제3자 압류, 어디까지 가능할까?

세금 체납자의 배우자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물건이라도 배우자 소유라면 세금 체납을 이유로 압류할 수 없다. 체납자가 타인 소유 물건을 점유하고 있다면, 압류로 인해 점유를 방해받는 체납자는 압류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부부 공동 소유 물건 압류에 관한 민사집행법 조항은 세금 체납 압류에도 적용된다.

#세금 체납#타인 소유#물건 압류#불법

민사판례

세금 안 냈다고 내 재산 압류? 그거 무효일 수도 있습니다!

세금 납부 안내만 하고 정식 고지 없이 진행된 재산 압류는 무효이며, 이후 세금이 체납됐더라도 압류가 자동으로 유효하게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무효인 압류에 기초한 공매 또한 무효입니다.

#납세고지#압류#무효#공매

일반행정판례

결손처분 취소와 채권압류 효력에 대한 이야기

세금 결손처분을 취소하려면 명백한 잘못이 있어야 하고, 채권 압류는 배당 절차가 끝날 때까지 효력이 있다.

#결손처분#취소#채권압류#효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