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2.04.28

민사판례

세금보다 먼저 찜한 내 돈! 국가가 가져갈 수 있을까?

국세 체납으로 부동산이 공매에 넘어가는 경우, 세금을 먼저 징수하고 남은 돈을 저당권자에게 돌려주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하지만 관련 법 조항에 대한 위헌 결정이 나오면서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세와 저당권 사이의 우선순위에 대한 중요한 판례를 소개합니다.

사건의 발단

과거 국세기본법(1990.12.31. 법률 제427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5조 제1항 제3호는 국세가 저당권보다 우선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1990년 9월 3일, 헌법재판소는 이 조항의 일부("...으로부터 1년" 부분)에 대해 위헌 결정(89헌가95)을 내렸습니다. 이 결정으로 국세가 무조건 우선하는 것이 아니라, 저당권 설정 시점이 중요해졌습니다.

쟁점

만약 공매 절차는 위헌 결정 이전에 시작되었지만, 공매대금 수령은 위헌 결정 이후에 이루어졌다면 어떨까요? 국가는 여전히 옛 법 조항을 근거로 세금을 먼저 가져갈 수 있을까요?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아니오"라고 판결했습니다 (대법원 1992.1.17. 선고 91다42524 판결). 국세징수법 제77조 제2항에 따르면, 세무서장이 공매대금을 수령한 시점을 기준으로 세금 징수가 완료된 것으로 봅니다. 즉, 위헌 결정 이후에 공매대금을 수령했다면, 이미 효력을 잃은 옛 법 조항을 적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저당권자가 먼저 돈을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핵심 정리

  •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으로 국세의 무조건적인 우선권이 제한되었습니다.
  • 공매대금 수령 시점이 세금 징수 완료 시점으로 간주됩니다.
  • 위헌 결정 이후 공매대금을 수령했다면, 국가는 위헌 결정 이전에 시작된 공매라도 옛 법에 따른 우선징수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구 국세기본법(1990.12.31. 법률 제427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5조 제1항 제3호 (헌법재판소 1990.9.3. 자, 89헌가95 결정으로 “으로부터 1년”이라는 부분은 실효)
  • 국세징수법 제77조 제2항
  • 헌법재판소법 제47조 제2항
  • 대법원 1992.1.17. 선고 91다42524 판결
  • 헌법재판소 1990.9.3. 자 89헌가95 결정

이 판례는 국세와 저당권 사이의 우선순위를 명확히 함으로써, 저당권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중요한 판단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세금보다 은행 빚 갚는 게 먼저라고? 헌법재판소가 바꿔놓은 세금과 저당권의 순서!

과거에는 국세 체납 시, 체납 발생일로부터 1년 이내에 설정된 저당권은 국세보다 후순위였습니다. 하지만 헌법재판소가 이 조항에 위헌 결정을 내리면서, **국세 체납 전에 설정된 저당권은 설정 시기와 관계없이 국세보다 우선**하게 되었습니다. 이 판례는 비록 국세 체납 처분이 위헌 결정 전에 시작되었더라도, **매각 대금 배분이 위헌 결정 이후에 이루어졌다면 새로운 법리를 적용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저당권#국세#우선순위#위헌

민사판례

국세와 저당권, 누가 먼저일까? - 세금보다 빚이 먼저인 경우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으로 국세보다 1년 이내 설정된 저당권이 후순위라는 법 조항이 효력을 잃게 되면서, 위헌 결정 이후에 매각대금을 배분하는 경우에는 저당권이 국세보다 우선한다는 판결.

#국세#저당권#우선순위#위헌

민사판례

부동산 공매와 세금, 그리고 저당권 - 누가 먼저 받아갈까?

부동산에 대한 등록세와 그 가산금을 징수할 때, 저당권보다 세금이 우선되는 원칙과 그 적용 시점, 그리고 가산금의 우선순위에 대한 판결입니다.

#등록세#가산금#저당권#우선순위

민사판례

저당권과 당해세, 누구에게 우선권이 있을까요?

부동산을 담보로 돈을 빌려준 은행(저당권자)보다 국가가 세금(당해세)을 먼저 가져가는 것이 원칙이지만, **저당 설정 이후 부동산의 새 주인(양수인)이 체납한 세금은 기존 저당권보다 우선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저당권#당해세#우선순위#양수인

민사판례

지방세 vs. 저당권, 누가 먼저일까요?

부동산을 취득할 때 내는 지방세(취득세)와 그 가산금은, 취득세 납부 의무가 생긴 날 *이후*에 설정된 저당권보다 우선해서 징수됩니다. 즉, 세금 먼저, 저당권 다음입니다.

#지방세#가산금#저당권#우선순위

민사판례

부동산 양수인의 체납 지방세, 저당권보다 우선할까?

부동산에 저당권이 설정된 후, 그 부동산을 다른 사람이 사들였는데, 새 주인이 지방세를 내지 않았다면, 지방자치단체는 체납된 지방세를 이유로 저당권보다 먼저 돈을 받아갈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저당권#지방세#우선순위#양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