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0.10.14

민사판례

소액사건 상고, 아무 때나 할 수 없어요!

소액사건은 절차가 간편한 만큼, 항소심(2심) 판결에 불복하더라도 아무 때나 대법원에 상고(3심)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소액사건심판법은 헌법 위반이나 대법원 판례에 어긋나는 판단이 있을 때만 상고를 허용하고 있어요. 그런데 이 '대법원 판례에 어긋나는 판단'이 뭘까요? 오늘은 이 부분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대법원 판례 위반, 뭘까요?

소액사건심판법 제3조 제2호는 "대법원의 판례에 상반되는 판단을 한 때"에 상고할 수 있다고 규정합니다. 그런데 단순히 판결 결과가 대법원 판례와 다르다고 해서 무조건 상고할 수 있는 건 아니에요. 핵심은 법률 해석에 있습니다.

대법원 판례 위반이란, 구체적인 사건에 적용될 법 조항의 해석이 대법원의 기존 판례와 어긋나는 경우를 말합니다. 쉽게 말해, 법을 어떻게 이해하고 적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대법원의 '정답'과 원심(2심)의 판단이 다른 경우죠.

단순한 법리 오해나 증거 판단 잘못은 안 돼요!

만약 원심이 법 조항의 해석은 대법원 판례를 따랐지만, 증거를 잘못 판단했거나 법리를 잘못 적용해서 대법원 판례와 다른 결론을 냈다면? 이 경우는 대법원 판례 위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즉, 소액사건에서는 단순한 법리 오해나 증거 판단의 잘못을 이유로 상고할 수 없다는 뜻이죠.

관련 판례를 살펴볼까요?

  • 대법원 1997. 12. 26. 선고 96다51714 판결 : 소액사건 상고는 법률 해석이 대법원 판례와 어긋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고 명시했습니다.
  • 대법원 2004. 5. 13. 선고 2004다6979, 6986 판결 : '구체적인 사건에 적용될 법령 해석'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설명했습니다.
  • 대법원 2006. 10. 13. 선고 2006다53078 판결 : 법 해석은 대법원 판례를 따랐지만 증거 판단 등을 잘못한 경우는 상고할 수 없다고 판시했습니다.

결론

소액사건에서 상고는 제한적으로 허용됩니다. 대법원 판례와 다른 결론이 나왔다고 해서 무조건 상고할 수 있는 건 아니라는 점, 꼭 기억하세요! 법률 해석에 대한 대법원 판례와 원심의 판단이 다른 경우에만 상고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소액사건, 대법원 판례에 어긋나면 상고 가능할까?

소액사건은 상고가 제한되는데, 대법원 판례에 어긋나는 판단을 했을 때만 상고할 수 있습니다. 이때 '대법원 판례 위반'은 단순한 법 적용의 실수가 아니라, 대법원이 내린 법 해석 자체에 반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소액사건#상고#대법원 판례 위반#정의적 해석

민사판례

소액사건, 대법원까지 갈 수 있을까? 상고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자!

소액사건에서 상고하려면 대법원 판례와 정확히 어떤 부분에서 어긋나야 하는지를 명확히 제시해야 합니다. 단순히 판결이 잘못됐다고 주장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소액사건#상고#대법원 판례 위반#법률 해석

민사판례

소액사건 상고, 대법원 판례 위반이란 무엇일까?

소액사건에서 상고하려면 대법원 판례와 **법령 해석**이 어긋나야 합니다. 단순히 법을 잘못 적용했거나 증거를 잘못 판단한 경우는 안 됩니다.

#소액사건#상고#대법원 판례#법령 해석

민사판례

소액사건, 대법원까지 갈 수 있을까? 상고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자!

소액사건은 단순히 법을 잘못 적용했다거나, 증거 조사를 잘못했다는 이유로는 상고할 수 없고, 대법원 판례에서 해석한 법령의 의미와 정반되는 해석을 했을 때에만 상고할 수 있습니다.

#소액사건#상고#대법원 판례 위반#법률 해석

민사판례

소액 사건에서 대법원 판례에 어긋나는 판단이란 무엇일까요?

소액사건에서 대법원 판례에 어긋난다는 이유로 상고하려면, 단순히 법을 잘못 적용했거나 증거를 잘못 판단한 것이 아니라, 대법원이 내린 법률 해석 자체에 반하는 판단이 있어야 합니다.

#소액사건#상고#대법원 판례 위반#정의적 해석

민사판례

소액사건 상고, 생각보다 까다롭습니다!

소액사건에서 단순히 대법원 판례와 다른 결론을 내렸다고 해서 무조건 상고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대법원 판례가 제시하는 법률 해석 자체에 반하는 판단을 했을 때만 상고가 가능합니다. 대법원 판례와 같은 법리 해석을 전제로 하되, 사실관계 적용에서 단순히 잘못 판단한 경우(법리오해, 증거판단 잘못 등)는 상고 사유가 되지 않습니다.

#소액사건#상고#대법원 판례 위반#법리 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