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9.01.30

민사판례

시민단체의 당사자능력, 대표권, 그리고 명예훼손

오늘은 시민단체와 관련된 법적인 쟁점 몇 가지를 살펴보려고 합니다. 특히 비법인사단의 당사자능력, 대표권 문제, 그리고 언론 보도로 인한 명예훼손 여부에 대한 대법원의 판단을 알기 쉽게 풀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1. 비법인사단도 소송 당사자가 될 수 있을까?

네, 될 수 있습니다. 법인격이 없더라도 일정한 목적을 위해 조직된 다수인의 결합체로서 대외적으로 단체를 대표할 기관이 정해져 있다면 비법인사단으로 인정받아 소송을 제기하거나 소송을 당할 수 있습니다. (민사소송법 제52조, 민법 제31조) 즉, 구성원들이 모여 특정 목적을 추구하고, 대표자가 정해져 있다면 법인처럼 단체 이름으로 소송을 진행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심지어 사단법인의 하부조직이라도 독자적인 정관/규약, 의사결정기관, 업무집행기관을 가지고 독립적인 활동을 한다면 별개의 비법인사단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대법원 2003. 4. 11. 선고 2002다59337 판결)

2. 비법인사단 대표자의 권한은 어떻게 확인할까?

비법인사단의 대표자가 적법한 대표권을 가지고 있는지는 소송의 중요한 요건입니다. 법원은 당사자들이 제출한 자료만으로 대표권 유무를 판단하기 어렵거나 의심스러운 경우, 추가적인 심리와 조사를 진행할 의무가 있습니다. (민사소송법 제52조, 제58조, 제64조, 제134조, 대법원 1997. 10. 10. 선고 96다40578 판결) 단, 법원이 직접 증거를 찾아 나설 의무까지는 없습니다.

3. 신문 기사 제목만으로 명예훼손이 성립할까?

일반적으로는 기사 제목만으로 명예훼손 여부를 판단할 수 없습니다. (민법 제751조, 헌법 제21조 제4항, 언론중재 및 피해구제 등에 관한 법률 제30조) 제목은 본문 내용을 요약하여 독자의 관심을 끌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명예훼손 여부를 판단할 때는 제목과 본문을 포함한 기사 전체의 맥락을 살펴봐야 합니다. 제목이 본문 내용에서 크게 벗어나 그 자체로 독립된 기사처럼 보이는 특별한 경우는 예외입니다.

특히 공적인 관심 사안에 대한 언론 보도의 경우, 표현의 자유가 더욱 폭넓게 보장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기사 내용이 사실과 다른 부분이 있더라도, 그 기사가 공익을 위한 것이고, 기자가 진실이라고 믿을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었다면 명예훼손으로 인정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대법원 2008. 4. 24. 선고 2006다53214 판결, 대법원 2002. 1. 22. 선고 2000다37524, 37531 판결, 대법원 2003. 1. 24. 선고 2000다37647 판결, 대법원 1997. 12. 9. 선고 97다18547 판결, 대법원 1999. 4. 23. 선고 99다4504 판결)

이처럼 시민단체 관련 소송에서는 당사자능력, 대표권, 명예훼손 등 다양한 법적 쟁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관련된 분쟁이 발생했을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신중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비법인사단 소송에서 대표권과 총회 결의, 꼭 확인해야 할 중요한 사항들!

'한국장애인부모회 전라북도지회'라는 단체가 소송을 냈는데, 대표자가 적법하게 선출되었는지, 소송을 낼 권한이 있는지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재판을 진행한 것은 잘못이라는 판결입니다.

#비법인사단#소송#대표권#사원총회 결의

민사판례

법인 아닌 단체, 언제 소송 당사자가 될 수 있을까?

단순히 규약을 만들고 설립신고를 했다고 해서 모두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단체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법적으로 인정받는 단체가 되려면 실제로 운영되는 조직, 회원, 재산 관리 등이 증명되어야 합니다.

#소송#단체#법인 아닌 사단#실체

민사판례

시민단체 비판, 언론의 자유인가 명예훼손인가?

한국논단이 주최한 대통령 후보 토론회에서 시민단체에 대한 부정적인 발언을 한 것이 명예훼손에 해당하는지 여부

#시민단체#명예훼손#대법원#한국논단

민사판례

노인요양원, 소송 당사자가 될 수 있을까?

노인요양원은 법인이나 법인격 없는 단체(비법인사단/재단)로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소송의 당사자가 될 수 없다.

#노인요양원#소송#당사자능력#법인

상담사례

우리 아파트 입대의, 소송 걸 수 있을까요?

입주자대표회의는 비법인 사단으로서 당사자 능력을 인정받아 회의 이름으로 직접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입주자대표회의#소송#당사자능력#비법인사단

생활법률

비영리사단법인, 무슨 일을 할 수 있고 책임은 어떻게 질까요?

비영리 사단법인은 대표기관을 통해 설립 목적 범위 내에서만 법인으로서 행위하고, 대표기관의 직무 관련 불법행위에 대해 법인이 책임을 진다.

#비영리 사단법인#행위능력#불법행위 책임#대표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