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0.04.27

세무판례

아빠 돈으로 엄마 빚 갚았다는데, 증여세는 왜 나올까?

부인의 부동산을 판 돈으로 부인의 빚을 갚았다면, 그 돈은 증여받은 것으로 볼 수 있을까요? 오늘은 배우자의 돈을 받아 배우자의 빚을 변제한 경우 증여세 부과가 정당한지에 대한 판례를 소개해 드립니다.

사건의 개요

김영헌 씨는 아내 김삼성 씨 소유의 부동산을 팔아 7억 7천여만 원을 받았습니다. 세무서는 이 중 6억 6천5백만 원을 김영헌 씨가 증여받은 것으로 보고 증여세를 부과했습니다. 김영헌 씨는 해당 금액을 아내의 빚을 갚는 데 사용했으므로 증여가 아니라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

김영헌 씨가 아내로부터 받은 돈을 아내의 채무 변제에 사용했다는 주장에 대한 입증 책임은 누구에게 있을까요?

판결

대법원은 김영헌 씨가 아내로부터 돈을 받은 사실이 인정되므로, 그 돈을 아내의 채무 변제에 사용했다는 주장에 대한 입증 책임은 김영헌 씨에게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즉, 김영헌 씨가 돈을 어떻게 사용했는지 스스로 증명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세금을 부과하는 근거가 되는 사실에 대한 입증 책임은 세무서와 같은 과세관청에 있습니다. 하지만, 경험칙상 세금 부과의 근거가 되는 사실이 추정되는 경우, 그 추정이 틀렸다는 것을 주장하는 쪽에서 반대 증거를 제시해야 합니다. 이 사건에서는 김영헌 씨가 아내로부터 돈을 받은 사실이 인정되었기 때문에, 경험칙상 증여가 추정됩니다. 따라서 김영헌 씨는 그 돈을 채무 변제에 사용했다는 사실을 입증해야 증여세 부과를 피할 수 있습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 행정소송법 제26조 (입증책임): 행정소송에 관하여 법률에 다른 규정이 없으면 처분 등의 위법을 주장하는 원고에게 입증책임이 있다. 다만, 처분 등의 적법성에 관한 입증책임은 처분 등을 한 행정청에게 있다.

  • 참조판례: 대법원 1987.12.22. 선고 87누811 판결, 1989.9.12. 선고 89누183 판결

결론

배우자의 재산을 처분한 돈을 받았다면, 그 돈의 사용처를 명확히 입증하지 못할 경우 증여로 추정되어 증여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금전 거래 시에는 자금의 출처와 사용처에 대한 증빙을 잘 갖춰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부부간 계좌이체, 무조건 증여일까?

남편이 아내 명의 계좌로 돈을 이체했다고 해서 바로 증여라고 볼 수는 없다. 증여세 부과는 세무서가 증여 사실을 입증해야 한다.

#부부간 계좌이체#증여 추정 불가#입증책임#세무서

세무판례

증여세, 누구에게 부과해야 할까요? - 자금 관리자와 실소유자

돈의 실제 주인(실권리자)이 배우자 명의의 계좌에서 돈을 빼내 자녀에게 준 경우, 배우자 명의로 돈을 인출했더라도 실제 돈을 준 사람(실권리자)에게 증여세를 부과할 수 있다. 또한, 돈을 받은 사람이 증여가 아니라고 주장하려면 그에 대한 증거를 제시해야 한다.

#증여세#명의대여#실권리자#차명계좌

세무판례

부모 자식 간 부동산 증여, 세금은 어떻게 계산될까? (부담부증여)

부모-자식 간에 재산을 증여할 때 빚이 있는 경우, 그 빚을 증여 재산에서 빼려면 빚이 진짜여야 하고, 자식이 빚을 떠안았거나 빚 때문에 재산이 압류될 게 확실하고 부모가 빚을 갚을 능력이 없어 자식이 부모에게 빚을 대신 갚으라고 요구해도 소용없는 경우에만 빚을 뺀 금액으로 증여세를 계산합니다.

#증여세#부담부증여#채무#공제

세무판례

빚 있는 부동산 증여, 증여세는 어떻게 계산할까?

빚이 있는 부동산을 증여할 때, 받는 사람이 빚을 떠안지 않으면 증여세는 빚을 빼지 않은 전체 부동산 가치를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단, 빚진 사람이 빚을 못 갚을 게 확실하고 받는 사람이 빚을 대신 갚은 후 돌려받을 가능성이 없다면 빚을 뺀 가치로 증여세를 계산합니다.

#부동산 증여#증여세#채무#담보

세무판례

부모님에게 빚 있는 땅을 증여받았다면? 증여세 폭탄?!

부모로부터 빚이 있는 부동산을 증여받았을 때, 그 빚을 자녀가 바로 떠안은 것으로 볼 수 없으며, 증여세와 양도소득세는 경우에 따라 함께 부과될 수 있다.

#부동산 증여#증여세#양도소득세#채무

세무판례

부부간 부동산 증여, 임대보증금도 빼고 세금 계산해야 할까?

남편이 아내에게 건물을 증여할 때, 아내가 기존 임차인과 새로 임대차계약을 맺어 임대보증금 반환 채무를 졌다면 증여받은 건물 가치에서 해당 채무액을 빼야 한다.

#배우자#부동산 증여#임대보증금#채무 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