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9.12.24

형사판례

위법 은폐 목적의 허위공문서 작성 시, 직무유기죄는 성립할까?

경찰관이 도박 현장을 목격하고도 이를 숨기려고 허위 보고서를 작성했다면, 단순히 허위 문서 작성 혐의만 적용될까요? 아니면 보고 의무를 다하지 않은 직무유기 혐의까지 적용될까요? 오늘은 위법 은폐를 위해 허위 공문서를 작성한 경우, 직무유기죄의 성립 여부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이 사건은 경찰관들이 도박 현장을 적발하고도 이를 묵인하는 대가로 돈을 받고, 마치 도박 현장을 발견하지 못한 것처럼 근무일지를 허위로 작성한 사건입니다. 1심과 2심 법원은 경찰관들의 행위에 대해 허위공문서작성죄, 동행사죄 뿐만 아니라 직무유기죄까지 인정하여 세 가지 죄를 모두 적용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하지만 대법원은 달랐습니다. 대법원은 공무원이 위법 사실을 발견하고도 이를 숨기기 위해 허위 공문서를 작성했다면, 직무유기죄는 따로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허위 공문서를 작성하는 행위 자체에 이미 직무를 제대로 수행하지 않은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도박 현장을 숨기려고 허위 보고서를 작성하는 행위는 '허위 보고서 작성'이라는 하나의 행위로 이루어진 것입니다. 이 행위 안에는 '보고를 제대로 하지 않은 직무유기'의 의미가 이미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직무유기죄를 따로 적용할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결국 대법원은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허위공문서작성죄와 동행사죄만 적용하도록 사건을 돌려보냈습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 형법 제37조(경합범)
  • 형법 제122조(직무유기)
  • 형법 제227조(허위공문서작성)
  • 형법 제229조(공문서부정행사)
  • 대법원 1982. 12. 28. 선고 82도2210 판결
  • 대법원 1993. 12. 24. 선고 92도3334 판결

이 판례는 위법 행위를 은폐하기 위한 허위 공문서 작성 행위에 대해 직무유기죄의 성립 여부를 명확히 한 중요한 판례입니다. 단순히 문서의 허위 여부 뿐 아니라, 그 이면에 숨겨진 직무 수행의 문제까지 고려하여 판단해야 함을 보여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위법사실 은폐 목적의 허위공문서 작성 시, 직무유기죄는 성립할까?

공무원이 위법 사실을 숨기려고 허위 공문서를 작성했을 때, 허위공문서작성죄 외에 직무유기죄도 따로 처벌받는지 여부. (답: 따로 처벌하지 않음)

#허위공문서작성#직무유기#경합범#불성립

형사판례

경찰의 도박 수사, 어디까지 해야 할까요? - 직무유기와 허위공문서 작성

경찰관들이 도박 현장에서 현행범을 체포했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된 조사 없이 석방하고 허위 보고서를 작성한 행위에 대해 직무유기 및 허위공문서 작성죄가 인정되었습니다.

#경찰#도박#직무유기#허위공문서작성

형사판례

경찰관의 재수사 결과서 허위 작성, 유죄일까?

경찰관이 검사의 재수사 요청에 따라 피해자 진술을 듣지 않고 임의로 작성한 재수사 결과서가 허위공문서작성죄로 인정된 사례. 실제 내용과 일부 부합하더라도, 작성 과정에서 허위로 기재했으면 유죄.

#경찰관#허위공문서작성죄#재수사#피해자 진술

형사판례

공무원 속여서 허위 증명서 받으면 문서위조죄일까?

일반인이 관공서에 허위 내용의 증명원을 제출하여 공무원이 이를 모르고 허위 내용대로 증명서를 발급해 준 경우, 일반인을 공문서위조죄의 간접정범으로 처벌할 수 없다.

#허위증명서#공문서위조죄#간접정범#무죄

형사판례

공무원의 직무유기죄, 어떤 경우에 성립할까?

경찰관이 교통사고 발생 사실을 알고도 정당한 이유 없이 수사를 미루면 직무유기죄가 성립한다. 직무유기죄는 단순히 업무를 성실히 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업무를 하지 않은 경우에 성립한다. 또한, 직무유기는 하지 않아야 할 의무를 위반한 순간 죄가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의무를 계속 이행하지 않는 동안 죄가 지속되는 것으로 본다.

#경찰관#교통사고#수사지연#직무유기죄

형사판례

불법체류자 훈방과 직무유기, 그리고 뇌물죄 증명에 관한 이야기

경찰관이 불법체류자를 훈방하고 인적사항도 기록하지 않은 경우 직무유기죄가 성립하는지, 뇌물죄는 어떤 기준으로 판단하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또한 경찰이 작성한 조서의 증거능력과 관련된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불법체류자#훈방#직무유기죄#뇌물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