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주운전 차량을 경찰이 추격하다 사고가 났습니다. 음주운전자는 무보험에 재산도 없다면, 피해자는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을까요? 오늘은 이런 안타까운 사례를 통해 국가배상책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례:
음주운전 적발을 피해 도주하는 갑의 차량을 경찰관 을이 추격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갑의 차량에 병이 치여 중상을 입었습니다. 갑은 무보험에 재산도 없는데요. 만약 경찰관 을이 갑의 음주운전을 알고 있었고, 추격으로 인한 사고 발생 가능성을 예상했음에도 추격을 계속했다면, 경찰관 을의 과실을 이유로 국가배상청구가 가능할까요?
국가배상책임의 요건 (국가배상법 제2조 제1항)
국가배상법에 따르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는 공무원이 직무를 집행하면서 고의 또는 과실로 법령을 위반하여 타인에게 손해를 입힌 경우 배상책임을 집니다. 즉, 경찰관의 추격 행위가 법령에 위반되어야 국가배상청구가 가능합니다.
관련 판례 (대법원 2000. 11. 10. 선고 2000다26807 판결 등)
대법원 판례는 경찰관의 직무집행이 법령에 적합하더라도, 그 과정에서 개인의 권리가 침해되었다고 해서 바로 위법하다고 볼 수는 없다고 판시했습니다. 경찰관은 범죄 혐의가 있는 사람을 정지, 질문, 체포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추적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경찰관이 도주차량을 추격하다 제3자에게 손해를 입혔더라도, 추격이 불필요했거나, 도주의 상황과 교통 상황 등에 비추어 추격 방법이 상당하지 않았다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위법하다고 볼 수 없습니다.
사례 적용
단순히 갑의 차량번호를 알 수 있었거나, 다른 순찰차의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는 사정만으로는 추격이 불필요했다고 단정할 수 없습니다. 경찰관 을의 추격이 직무 목적 수행에 불필요했거나, 도주의 상황과 교통 상황 등을 고려했을 때 추격 방법이 상당하지 않았다는 점을 입증해야 국가배상청구가 가능할 것입니다.
결론
음주운전 도주차량 추격 중 발생한 사고에 대해 국가배상책임을 묻기 위해서는 경찰관의 추격행위가 법령을 위반했음을 입증해야 합니다. 경찰관의 추격이 불필요했거나, 추격 방법이 상당하지 않았다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있어야 위법성이 인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 사례에서 국가배상책임 인정 여부는 구체적인 상황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민사판례
경찰관이 교통법규를 위반하며 도주하는 차량을 추격하던 중, 도주 차량으로 인해 제3자가 피해를 입었더라도 경찰의 추격 행위 자체가 위법한 것은 아니다. 추격의 필요성, 예측 가능한 위험성, 추격 방법의 적절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상담사례
공무원 동료의 과실로 개인 차량 탑승 중 사고를 당한 경우, 국가배상 청구가 가능하고, 공무원연금 장해보상금은 국가배상액에서 공제되며, 동료에게도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하다.
민사판례
음주운전자를 적발한 경찰관이 차키를 돌려주어 운전자가 다시 음주운전을 하다 사고를 낸 경우, 경찰관의 직무유기로 인한 국가 배상 책임이 인정된 판례입니다.
민사판례
술에 취한 군인이 군용트럭을 운전하다 사망사고를 내자, 국가가 유족에게 배상금을 지급한 후 사고를 낸 군인에게 배상금을 돌려달라고 소송을 제기하여 승소한 사례. 군인은 자신의 과실이 크지 않고, 오랜 기간 군 복무를 통해 국가에 기여했으니 배상금을 감액해달라고 주장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민사판례
음주단속을 피해 도주하던 운전자가 경찰관을 매달고 운전하다가 경찰관이 떨어져 중상을 입은 사고에서, 운전자가 경찰관의 사망이나 중상해까지 예상하고 운전했다고 볼 수 없다면, 자동차보험의 '고의로 인한 손해 면책' 약관을 적용할 수 없다는 판결.
형사판례
음주운전 단속을 피해 도주하던 운전자가 경찰관의 정지 신호를 무시하고 계속 운전하다가 경찰관을 다치게 한 경우, 운전자에게 업무상 과실치상죄가 인정된다는 판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