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주운전 단속을 피하려다 큰 사고를 냈을 때, 과연 자동차보험으로 보상받을 수 있을까요? 오늘은 음주단속 도주 중 발생한 사고와 관련된 중요한 판례를 소개하고, 자동차보험의 면책약관 적용 여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한 운전자가 음주단속을 피해 도주하려는 운전자의 차에 경찰관이 매달렸습니다. 운전자는 속도를 높여 도주를 시도했고, 결국 경찰관은 차에서 떨어져 지하철 공사장의 철제 빔에 부딪히는 사고를 당했습니다. 이 사고로 경찰관은 뇌손상을 입어 식물인간 상태가 되었습니다.
쟁점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운전자의 행위가 자동차보험의 면책사유인 '고의'에 해당하는지 여부였습니다. 보험사는 운전자가 경찰관의 상해 가능성을 인지했기에 '고의'로 인한 사고라고 주장하며 보험금 지급을 거부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운전자의 행위가 '고의'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결했습니다. 운전자는 경찰관이 차에서 떨어지면 다소의 상해를 입을 수 있다는 점은 예상했을 수 있지만, 철제 빔에 부딪혀 식물인간 상태가 될 정도의 중대한 결과까지 예견하고 의도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것입니다.
법원은 판결의 근거로 다음과 같은 법리를 제시했습니다.
자동차보험의 면책약관은 엄격하게 해석해야 한다. (상법 제659조 제1항, 민법 제105조)
상해와 사망 또는 중상해 사이에는 피해의 중대성에 질적인 차이가 있다. 보험계약자나 피보험자가 상해를 예상했다고 하더라도 사망이나 중상해와 같은 중대한 결과까지 예상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보험계약자 등이 적극적으로 사망 등의 결과를 의도한 것이 아니라면, 면책약관을 적용하지 않더라도 인위적인 사고를 조장할 위험성이 크지 않다. 오히려 보험의 사회보장적 기능에 부합한다.
결론
이 판례는 음주단속 도주와 같은 위험한 행위라도, 사고 발생의 구체적인 경위와 결과 발생 가능성에 대한 인식 여부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고의성'을 판단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단순히 상해 가능성을 인지했다고 해서 모든 결과에 대한 '고의'가 인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한 중요한 판례입니다.
형사판례
음주운전 단속을 피해 도주하던 운전자가 경찰관의 정지 신호를 무시하고 계속 운전하다가 경찰관을 다치게 한 경우, 운전자에게 업무상 과실치상죄가 인정된다는 판례입니다.
민사판례
술 마시고 운전하다 사고가 나도, 고의로 사고를 낸 것이 아니라면 보험금을 받을 수 있다. 보험 약관에 '음주운전 사고는 보험금을 안 준다'라고 써있더라도, 과실로 인한 사고는 보험사가 보험금을 지급해야 한다.
상담사례
경찰 추격 중 음주운전 도주차량에 의한 사고 발생 시, 국가배상 책임은 경찰의 추격이 위법했는지, 즉 추격의 필요성과 위험성, 도로 상황, 추격 방법 등을 고려했을 때 경찰의 과실이 있었는지에 따라 판단된다.
민사판례
자동차보험의 자기신체사고(자손)에서 음주운전을 했다고 해서 무조건 보험금을 못 받는 것은 아닙니다. 운전자의 고의로 사고가 난 경우가 아니라면, 음주운전을 했더라도 과실로 인한 사고에 대해서는 보험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형사판례
술 취한 채 운전석에 앉아있던 사람이 경찰의 음주 측정 요구에 불응하고 도주하자, 경찰이 추격하여 제지한 행위는 정당한 공무집행으로 인정된다는 판결입니다.
민사판례
무면허 음주 상태로 훔친 차를 운전하다 사고로 사망한 경우, 보험사는 사망보험금을 지급해야 한다. 면책약관에서 무면허·음주운전 사고를 보상하지 않는다고 해도, 사고가 '고의'가 아닌 '과실'로 발생했다면 보험금을 지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