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3.09.14

민사판례

임대차 계약, 언제 끝난 걸까요? - 합의해지에 대한 대법원 판단

임대차 계약 도중 분쟁이 생겨 세입자가 집을 나갔다면, 계약은 언제 끝난 걸로 봐야 할까요? 단순히 집을 비웠다고 계약이 끝나는 건 아닙니다. 오늘은 임대차 계약의 합의해지에 대한 대법원의 판단을 살펴보면서, 계약 종료의 기준을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세입자 A씨는 집주인 B씨와 임대차 계약을 맺고 입주했습니다. 그런데 입주 후 발코니 창문 공사 과정에서 냄새가 발생하는 문제로 분쟁이 생겼습니다. A씨는 B씨에게 냄새 문제 해결을 요구했지만, B씨와 의견이 맞지 않았습니다. 결국 A씨는 집을 나가면서 B씨에게 임차보증금 반환을 요청했습니다. B씨는 A씨의 이사에는 동의했지만, 밀린 월세 등을 정산해야 보증금을 돌려줄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A씨는 B씨를 상대로 임차보증금 반환 소송을 제기했고, B씨는 A씨를 상대로 미지급 월세 등을 청구하는 반소를 제기했습니다.

원심 판결: 원심 법원은 A씨가 이사한 사실을 B씨가 알게 된 시점에 임대차 계약이 묵시적으로 합의해지되었다고 판단했습니다.

대법원 판결: 대법원은 원심 판결을 뒤집었습니다. A씨와 B씨 사이에 임차보증금 반환 문제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단순히 A씨가 이사했다는 사실만으로는 묵시적 합의해지가 성립했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대법원 판단의 핵심 내용

  • 합의해지란 무엇일까요? 기존 계약의 효력을 장래에 향하여 소멸시키는 새로운 계약입니다. 말 그대로, 서로 합의해서 계약을 끝내는 것입니다.
  • 합의해지는 묵시적으로도 가능할까요? 네, 가능합니다. 하지만 단순히 계약 내용을 이행하지 않는다고 해서 묵시적 합의해지가 성립하는 것은 아닙니다. 계약 당사자 쌍방이 계약을 더 이상 이행할 의사가 없다는 점이 객관적으로 드러나야 합니다.
  • 합의해지가 성립하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할까요? 계약 종료에 따른 법률관계 (예: 임차보증금 반환, 미납 월세 정산 등)가 중요한 사안인 경우, 이 부분에 대한 합의 없이 계약 해지만 합의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특히 임대차 계약에서 임차보증금 반환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므로, 보증금 반환에 대한 합의 없이 임대차 계약 해지만 했다고 보기는 더욱 어렵습니다.
  • 이 사건의 경우 왜 합의해지가 성립하지 않았을까요? A씨는 임차보증금 전액 반환을 요구했지만, B씨는 밀린 월세 등을 공제한 금액만 반환하겠다고 주장했습니다. 즉, 임차보증금 반환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또한 A씨와 B씨 모두 임대차 계약이 완전히 종료된 것처럼 행동하지 않았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민법 제105조 (의사표시): 의사표시는 법률행위의 내용의 중요한 부분에 착오가 있는 때에는 취소할 수 있다. 그러나 표의자가 그의 진의가 아니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민법 제543조 (임대인의 의무): 임대인은 목적물을 임차인에게 인도하고 계약존속기간 동안 사용, 수익하게 할 의무를 부담한다.
  • 민법 제618조 (임대차의 종료): 임대차는 그 기간이 만료한 때에는 당연히 종료한다.
  • 대법원 2018. 12. 27. 선고 2016다274270, 274287 판결
  • 대법원 2000. 3. 10. 선고 99다70884 판결
  • 대법원 1992. 6. 23. 선고 92다4130, 4147 판결
  • 대법원 1994. 9. 13. 선고 94다17093 판결
  • 대법원 1996. 2. 27. 선고 95다43044 판결
  • 대법원 2009. 7. 23. 선고 2008다1477 판결

이처럼 임대차 계약의 합의해지는 단순히 집을 비웠다고 성립하는 것이 아닙니다. 계약 당사자 쌍방의 명확한 의사 합치, 특히 임차보증금 반환과 같은 중요한 법률관계에 대한 합의가 필수적입니다. 임대차 계약 관련 분쟁이 발생했을 때는 관련 법리와 판례를 꼼꼼히 살펴보고, 필요하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임대차 계약 해지와 보증금 반환, 쟁점 총정리!

임차인이 입점 기한을 어겨 계약이 자동 해지되었지만, 이후 임대인의 행동으로 계약이 부활되었다가 다시 합의 해지된 사례. 임대차계약서에 보증금반환채권 양도금지 특약이 있으면 계약 종료 후에도 효력이 있지만, 양수인이 특약을 몰랐거나 알지 못한 데 중대한 과실이 없다면 특약으로 대항할 수 없다. 합의 해지 시에는 특약이 없는 한 이자를 지급할 의무는 없다.

#임대차계약#자동해지#합의해지#보증금반환채권

생활법률

전월세 계약, 언제 끝날까요? 주택임대차 종료 원인 완벽 정리!

주택임대차 계약은 기간 만료, 해지 통고, 즉시 해지 등 다양한 원인으로 종료되며, 당사자는 계약 내용과 관련 법률(묵시적 갱신, 임차권등기명령 등)을 숙지하여 보증금 반환 등 후속 절차를 원활히 진행해야 한다.

#주택임대차#계약종료#계약기간 만료#갱신거절

민사판례

임대차계약 해지, 보증금 돌려받으려면?

임대차계약을 합의해제 할 때 보증금 반환에 대한 명확한 합의가 없으면 해제로 보기 어렵다는 판례입니다. 단순히 해제에 동의한다는 말만으로는 부족하고, 보증금을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합의가 있어야 합니다.

#임대차계약#합의해제#보증금 반환#약정

생활법률

상가 임대차, 언제 끝날까요? 계약 종료 사유 완벽 정리!

상가 임대차 계약은 기간 만료, 합의 해지, 법정 해지(임차인/임대인), 전세권 소멸 등 다양한 사유로 종료되며, 종료 시 임차인은 임차물 반환, 임대인은 보증금 반환 의무를 가진다.

#상가 임대차#계약 종료#기간 만료#중도 해지

상담사례

임대차 끝났는데, 계약 해지하려면 수분양자 동의가 필요하다고요? 🤔

임대차 기간 종료 후 계약 해지는 수분양자 동의 없이 가능하며, 계약서에 명시된 '임대차기간 중' 해지 제한 조항은 기간 만료 후에는 효력이 없다.

#임대차 계약 종료#해지#수분양자 동의#소유권

생활법률

내 가게, 언제까지 지킬 수 있을까? 임대차계약 종료 사유 완벽 정리!

임대차계약은 기간 만료, 중도 해지(임차인/임대인 사유 존재), 불가항력 등으로 종료되며, 종료 시 임대물/보증금 반환 의무와 임차인의 권리금 회수 기회 보호가 중요하다.

#임대차계약#종료사유#계약기간 만료#중도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