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0.02.27

형사판례

재판장 서명 없는 판결, 무효!

법원의 판결은 우리 삶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그런 중요한 판결이 제대로 된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면 어떨까요? 오늘은 재판장의 서명이 누락된 판결이 무효라는 대법원 판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피고인들은 원심(광주고등법원)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고, 이에 불복하여 대법원에 상고했습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원심 판결서에는 재판장의 서명이 없었습니다! 변호인은 이를 문제 삼아 상고이유로 주장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변호인의 주장을 받아들여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광주고등법원으로 돌려보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형사소송법 제38조: 재판은 법관이 작성한 재판서에 의해야 합니다.
  • 형사소송법 제41조: 재판서에는 재판한 법관이 서명날인해야 하고, 재판장이 서명날인할 수 없는 때에는 다른 법관이 그 사유를 부기하고 서명날인해야 합니다.

이러한 법 조항에 비추어 볼 때, 재판장의 서명날인이 없는 재판서는 법률이 정한 필수적인 요건을 갖추지 못한 것입니다. 원심 판결서에는 재판장의 서명날인이 누락되었을 뿐만 아니라, 재판장이 서명날인할 수 없었던 사유에 대한 부기도 없었습니다. 따라서 원심 판결은 형사소송법 제383조 제1호에서 정한 '판결에 영향을 미친 법률위반'에 해당하여 파기 사유가 됩니다. 즉, 재판장의 서명이 없는 판결은 무효인 것입니다.

핵심 정리

  • 재판장 서명은 판결의 필수 요건입니다.
  • 서명이 없거나 서명할 수 없는 사유가 기재되지 않은 판결은 무효입니다.
  • 이러한 판결은 상고심에서 파기될 수 있습니다.

이번 판례는 법원 판결의 형식적 요건 준수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판결의 효력은 내용뿐 아니라 절차적 정당성에도 기반한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판사 싸인 빠진 판결, 무효!

판사 전원이 서명날인하지 않은 판결서는 법률 위반으로 무효이며, 다시 재판해야 한다.

#판사 서명#판결 무효#형사소송법 위반#재판 파기

형사판례

판사 서명 없는 판결, 무효! 공인중개사법 위반 벌금, 따로따로!

판사 서명이 없는 판결서는 무효이며, 공인중개사법 위반죄와 다른 죄가 함께 있을 경우 벌금형을 분리 선고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

#판사 서명 누락#판결 무효#벌금형 분리 선고#공인중개사법 위반

형사판례

검사 서명 없는 공소장, 효력 있을까?

검사의 서명(기명날인 또는 서명)이 없는 공소장은 원칙적으로 무효지만, 추후 검사가 서명을 보완하면 유효하게 됩니다.

#공소장#검사 서명#무효#보완

상담사례

판결서에 낯선 판사님 서명?! 😱 이게 무슨 일이죠?!

변론에 참여하지 않은 판사가 판결서에 서명한 경우, '법률에 따라 판결법원을 구성하지 아니한 때'에 해당하는 절대적 상고이유가 될 수 있다.

#판결서#낯선 판사 서명#절대적 상고이유#절차 위반

형사판례

검사의 서명/날인 없는 공소장, 효력은?

검사가 서명이나 날인 없이 공소장을 제출하면 원칙적으로 무효지만, 나중에 보완하면 유효하게 될 수 있다.

#공소장#서명/날인#무효#보완

민사판례

대법원 판결로 알아보는 재심, 언제 가능할까?

대법원 판결에 대해 재심을 청구하려면 대법원의 판결 절차나 판결 자체에 법적인 문제가 있어야 합니다. 단순히 사실관계가 잘못되었다고 주장하는 것만으로는 재심을 청구할 수 없습니다.

#대법원#재심#사실관계#절차적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