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1.12.16

형사판례

검사의 서명/날인 없는 공소장, 효력은?

안녕하세요. 오늘은 검사가 공소장에 서명이나 날인을 하지 않고 제출했을 때, 그 공소의 효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대법원 판결을 바탕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사건의 핵심: 검사가 실수로 공소장에 서명이나 날인을 깜빡하고 법원에 제출했습니다. 이런 경우 공소는 효력이 있을까요, 아니면 무효일까요? 그리고 나중에라도 서명이나 날인을 보완할 수 있을까요?

법원의 판단: 법원은 공소장에 검사의 서명이나 날인이 없으면 원칙적으로 무효라고 판단했습니다.

왜냐하면, 형사소송법 제57조 제1항은 공무원이 작성하는 서류에는 날짜, 소속, 그리고 기명날인 또는 서명을 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공소장도 여기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형사소송법 제254조 제1항은 공소를 제기하려면 공소장을 관할법원에 제출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서명/날인이 없는 공소장은 법이 정한 형식을 갖추지 못한 것이므로 무효라는 것입니다 (형사소송법 제327조 제2호).

보완 가능성: 그렇다면, 서명이나 날인을 아예 안 한 경우에는 어떤 희망도 없는 걸까요? 다행히 그렇지는 않습니다. 법원은 검사가 추후에 서명이나 날인을 보완하면 공소가 유효하게 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처음부터 완벽한 형식을 갖추지 못했더라도 나중에 보완할 기회가 주어지는 것입니다.

핵심 정리:

  • 검사의 서명/날인 없는 공소장 제출은 형사소송법 위반.
  • 원칙적으로 공소 무효.
  • 하지만 추후 서명/날인 보완 가능.

관련 법조항:

  • 형사소송법 제57조 제1항 (공무원의 서류 작성)
  • 형사소송법 제254조 제1항 (공소의 제기)
  • 형사소송법 제327조 제2호 (공소제기 절차 위반으로 인한 무효)

참고 판례:

  • 대법원 2007. 10. 25. 선고 2007도4961 판결
  • 대법원 2012. 9. 27. 선고 2010도17052 판결

이번 판례를 통해 공소장의 형식적 요건과 그 보완 가능성에 대해 명확히 알 수 있었습니다. 법 절차는 엄격하지만, 실수를 바로잡을 기회도 주어진다는 점을 기억해야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검사의 서명 없이 날인만 된 공소장, 유효할까요?

검사가 서명하지 않고 이름과 도장만 찍은 공소장도 유효하며, 나중에 서명을 보완할 수 있다.

#공소장#서명#기명날인#유효

형사판례

검사 서명 없는 공소장, 효력 있을까?

검사의 서명(기명날인 또는 서명)이 없는 공소장은 원칙적으로 무효지만, 추후 검사가 서명을 보완하면 유효하게 됩니다.

#공소장#검사 서명#무효#보완

형사판례

공소장에 검사 도장 꼭 다 찍어야 할까요?

검사의 간인이 없는 공소장이라도, 내용이 완전하고 동일 검사가 작성한 것으로 확인되면 유효한 공소장으로 인정됩니다.

#공소장#간인누락#효력#공소제기

형사판례

재판장 서명 없는 판결, 무효!

재판장의 서명이 없고 서명할 수 없는 이유도 기록되지 않은 판결문은 법률 위반으로 무효입니다.

#재판장 서명#판결 무효#법률 위반#파기환송

형사판례

피의자신문조서, 서명만 있고 도장이 없으면 증거가 될까요?

검사가 작성한 피의자신문조서에 피고인의 서명만 있고 도장(지장 포함)이나 간인이 없다면, 법정에서 증거로 사용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피의자신문조서#증거능력#서명#날인(무인)

형사판례

서명 없는 진술조서, 증거로 쓸 수 있을까?

피고인의 진술조서에 피고인 본인의 서명이나 기명날인이 없으면, 해당 진술조서는 법적인 증거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피고인 진술조서#서명/날인#증거능력#무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