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사례

전세 끝났는데 집주인이 전세금 안 돌려줘요! 이자도 받을 수 있을까요? 😭

전세 계약 만료 후 이사는 나왔는데, 집주인이 전세금을 돌려주지 않는 상황, 정말 답답하시죠? 게다가 기간이 길어지면서 이자까지 생각하면 속이 더욱 타들어 갑니다. 저도 비슷한 고민을 하는 분들의 이야기를 많이 듣는데요, 특히 전세금 반환과 관련된 질문 중 가장 많은 것이 바로 "이자도 받을 수 있나요?"입니다.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례를 통해 이해해 봐요!

만약 2010년 2월 16일에 1억 원짜리 전세 계약을 2년간 맺었다고 가정해 봅시다. 2012년 2월 15일 계약이 끝나 이사는 나왔지만, 집주인에게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했습니다. 이때 집주인은 전세권 말소에 필요한 서류를 세입자에게서 받지 못했기 때문에 전세금을 줄 수 없다고 주장합니다. 과연 세입자는 전세금과 함께 연체 이자도 받을 수 있을까요?

법적으로 따져보면...

민법 제317조에 따르면, 전세권이 소멸한 경우 집주인은 세입자로부터 집의 인도와 전세권 말소등기에 필요한 서류를 받는 동시에 전세금을 돌려줘야 합니다. 즉, 집주인의 '전세금 반환 의무'와 세입자의 '집 인도 및 서류 교부 의무'는 동시이행 관계에 있습니다.

🔑 핵심 포인트: 동시이행! 서로 의무를 이행해야 하는 상황이라는 거죠.

그런데 세입자가 집은 비웠지만, 필요한 서류를 집주인에게 넘겨주지 않았다면 어떻게 될까요? 판례는 이런 경우, 집주인은 전세금 반환을 거부할 수 있다고 봅니다. 세입자가 집을 비웠더라도 서류를 주지 않았기 때문에 의무를 완전히 이행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죠. 따라서 집주인이 전세금을 바로 돌려주지 않았다고 해서 이자를 줘야 할 의무는 없다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위 사례처럼 세입자가 집은 비웠지만 전세권 말소에 필요한 서류를 집주인에게 주지 않았다면, 집주인에게 연체 이자를 청구하기는 어렵습니다. 세입자는 먼저 집주인에게 필요한 서류를 전달하고 전세금 반환을 요구해야 합니다. 만약 집주인이 그래도 전세금을 돌려주지 않는다면, 소송을 통해 전세금 반환 판결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서류 미제출 기간 동안의 이자는 받기 어려울 가능성이 높습니다.

전세 계약 만료 시에는 집주인과 원활한 소통을 통해 필요한 서류를 제때 전달하고, 전세금을 안전하게 돌려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혹시라도 분쟁이 발생하면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전세 끝났는데 집주인이 전세금 안 돌려줘요! 😭 동시이행 알아보기

전세 계약 만료 후, 세입자의 집 반환/등기말소 의무와 집주인의 전세금 반환 의무는 동시이행 관계이므로, 세입자는 집주인의 전세금 반환 전 등기말소를 할 필요가 없다.

#전세금#반환#동시이행#등기말소

상담사례

전세금 돌려받기, 이사 나갔는데 월세까지 내야 하나요? 😰

전세금 미반환으로 이사 후에도 열쇠를 갖고 있었다면, 실제로 빈집을 사용해 이득을 본 것이 아니라면 월세를 낼 필요 없고, 집주인은 전세금 전액을 반환해야 할 의무가 있다. (동시이행항변권)

#전세금#월세#동시이행항변권#실제 이익

상담사례

전세 계약 끝났는데 집주인 바뀌었어요! 보증금은 어떻게 받죠? 😥

전세 계약 종료 후 집주인이 바뀌었더라도 전입신고(대항력)를 했다면 새 집주인에게 전세금 반환을 요구할 수 있다.

#전세#보증금#집주인 변경#대항력

상담사례

전세 끝났는데, 전세금 돌려받을 권리만 넘겨받을 수 있나요?

전세 계약 종료 후에는 전세금반환채권만 별도로 양도 가능하며, 사례의 민수처럼 채권 양수인은 전세권 등기 없이도 집주인에게 전세금 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

#전세금반환채권#양도#전세권#계약만료

상담사례

전세/월세 계약 끝났는데 집주인이 보증금 안 돌려준다고요? 🤔

임대차 계약 종료 후 집주인이 보증금을 반환하지 않을 경우, 세입자는 '동시이행의 항변권'에 따라 보증금을 받을 때까지 집을 비워주지 않아도 된다.

#보증금#미반환#동시이행항변권#임대차계약

민사판례

전세 계약 끝났는데, 세입자가 안 나가요! 그럼 돈은 누가?

이 판례는 채권자가 이행인수인에게 직접 채무 이행을 청구할 수 없으며, 채권적 전세계약에서 전세금 이자는 임료와 대가관계에 있다는 것을 확인합니다. 또한 면책적 채무인수의 경우 채권자의 승낙은 묵시적으로도 가능하다는 점을 명시합니다.

#이행인수#채권자 청구권#채권적 전세계약#전세금 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