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사례

전입신고, 공무원 실수로 지번 틀려도 괜찮을까요? 🏡

이사 후 전입신고, 필수죠! 그런데 만약 공무원의 실수로 주소가 잘못 기재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걱정되시죠? 오늘은 이런 상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례

철수는 학교 근처 ○○동 545-5번지 주택을 빌려 이사하고 바로 전입신고를 했습니다. 모든 절차를 정확히 밟았는데, 담당 공무원의 실수로 주소가 ○○동 545-2번지로 잘못 기재되었습니다. 이런 경우에도 철수는 자신의 권리를 제대로 보호받을 수 있을까요?

정답은 "네" 입니다!

전세나 월세로 집을 빌리는 경우, 등기 없이도 실제로 이사해서 살고(인도) + 전입신고를 마치면 다음 날부터 다른 사람들에게 내가 이 집에 살고 있다는 사실을 주장할 수 있는 효력(대항력)이 생깁니다. 이때 전입신고는 주민등록이 된 것으로 간주됩니다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제1항).

중요한 것은 임차인이 실제로 살고 있는 집 주소로 전입신고를 했다는 사실입니다. 공무원의 실수로 주민등록표에 기재된 주소가 조금 틀렸더라도, 임차인이 정확한 주소로 전입신고를 시도했다면 대항력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즉, 철수는 545-5번지로 전입신고를 하려고 했고, 실제로 그 집에 살고 있기 때문에 대항력을 갖게 됩니다.

이와 관련된 대법원 판례도 있습니다 (대법원 1991. 8. 13. 선고 91다18118 판결). 이 판례에 따르면 공무원의 착오로 주민등록표상 주소가 조금 틀리게 기재되었다고 하더라도 임차인의 대항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철수는 공무원의 실수에도 불구하고 전입신고를 통해 얻은 대항력을 유지하며, 제3자에게 자신의 임차권을 주장할 수 있습니다. 혹시라도 이런 일이 발생한다면 당황하지 마시고, 증빙자료를 잘 챙겨두시면 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전입신고, 공무원 실수로 주소가 틀려도 괜찮을까?

세입자가 전입신고를 정확하게 했지만, 공무원의 실수로 주민등록표의 주소가 조금 틀리게 기재되었다면, 세입자는 여전히 임대차의 대항력을 유지합니다. 즉, 집주인이 바뀌더라도 계속 살 수 있는 권리를 보호받습니다.

#주민등록 오류#공무원 착오#임대차 대항력#전입신고

상담사례

동사무소 직원 실수로 전입신고 엉망?! 대항력 인정될까요? 😱

동사무소 직원의 실수로 전입신고가 잘못되더라도, 제출된 전입신고서가 부정확하면 세입자는 대항력을 갖지 못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전입신고#공무원 실수#대항력#지번 오류

상담사례

공무원 실수로 주소 잘못 적혔어요! 전세금 날리는 건가요?! 😱

공무원의 실수로 전입신고 주소가 잘못 기재되었더라도 임차인의 대항력은 유효하며, 전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다.

#전세금#전입신고#주소 오류#공무원 실수

상담사례

🏠 전입신고, 주소 잘못 적었는데 괜찮을까요? - 토지 분할과 대항력 이야기

전입신고 주소가 토지 분할 전 주소로 잘못 기재되었더라도, 분할된 토지 중 해당 건물이 있는 곳이 명확하고 주변 사람들이 이전 주소로 인식하는 경우 대항력을 인정받을 가능성이 있으나, 정확한 주소로 신고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전입신고#주소오류#토지분할#대항력

상담사례

🏡 전입신고 잘못했는데, 내 전세금은 안전할까요? (주소 오류와 대항력)

전입신고 시 주소 오류는 대항력을 상실시켜 전세금 보호를 받지 못할 수 있으므로, 등기부등본과 주민등록등본으로 주소 정확성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전입신고#주소 오류#대항력#전세금 보호

민사판례

주소 잘못 적은 전입신고, 임대차 보호 못 받아요!

세입자가 실제 거주하는 집 주소와 다른 주소로 전입신고를 한 경우, 다른 사람이 보기에 그 전입신고만으로는 실제로 그 집에 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없다면, 세입자는 집주인이 바뀌더라도 계속 살 권리(대항력)를 주장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전입신고#주소오류#대항력#임차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