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3.07.13

특허판례

'젠'과 '젠나', 너무 비슷한 거 아닌가요? 상표권 분쟁 이야기

혹시 '젠'이라는 이름을 가진 상품을 보신 적 있으신가요? 오늘은 비슷한 이름 때문에 발생한 상표권 분쟁 이야기를 들려드리려고 합니다. '젠(Zenn)'이라는 상표를 등록하려던 출원인과 이미 '젠나'라는 상표를 등록한 사람 사이에 분쟁이 발생했는데요, 과연 법원은 어떤 판단을 내렸을까요?

사건의 핵심은 출원상표 '젠(Zenn)'과 인용상표 '젠나'가 얼마나 유사한지였습니다. 출원인은 '젠'은 한 음절, '젠나'는 두 음절이므로 다르다고 주장했죠. 하지만 법원은 '젠나'의 두 번째 음절인 '나' 발음이 약하고 짧아서 전체적으로 들었을 때 '젠'과 매우 비슷하게 들린다고 판단했습니다. 일반 소비자 입장에서는 두 상표를 구분하기 어려워 혼동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죠.

결국 법원은 '젠'이라는 상표는 '젠나'와 너무 유사해서 등록할 수 없다고 결정했습니다. 비슷한 상표를 사용하면 소비자들이 상품 출처를 혼동할 수 있기 때문이죠. 이런 경우, 먼저 등록된 상표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나중에 출원된 상표는 등록이 거절됩니다.

이 사건은 구 상표법(1990.1.13. 법률 제4210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9조 제1항 제7호를 적용하여 판단되었고, 유사한 판례로는 대법원 1990.3.27. 선고 89후1943 판결(공1990,972), 1990.7.10. 선고 90후328 판결(공1990,1713), 1990.9.28. 선고 90후366 판결(공1990,2170) 등이 있습니다.

이처럼 상표를 만들 때는 기존에 등록된 상표와 유사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발음이나 전체적인 느낌이 비슷하면 소비자 혼동을 초래할 수 있고, 상표 등록이 거절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 두시면 좋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상표권 분쟁, 핵심은 '소비자 혼동'!

새로운 상표에 그림이 들어가 있어도, 핵심 단어가 기존 상표와 같다면 유사 상표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상표#유사#그림#핵심 단어

특허판례

상표권 침해? 비슷한 상표는 안돼요!

출원상표 ""가 기존 상표 ""와 유사하며, 지정상품도 유사하여 상표 등록이 거절된 사례입니다. 단순히 앞에 다른 단어가 추가되었다고 해서 유사하지 않다고 볼 수 없으며, 지정상품이 기계류라는 큰 범주에서 유사하다면 세부적인 용도 차이가 있어도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상표유사성#상표등록거절#지정상품유사#혼동가능성

특허판례

유명 상표와 비슷하지 않아도 등록 못할 수 있다? 상표권 분쟁 이야기

유명 상표와 비슷한 부분이 있더라도 전체적인 모양과 느낌이 다르고, 유명 상표가 쉽게 연상되지 않는다면 새로운 상표로 등록할 수 있다.

#상표#유사#등록#혼동

특허판례

상표권 분쟁, 비슷한 이름 때문에?

이름이 비슷한 살충제 상표와 소화제 상표가 유사상표로 인정되어 등록이 거절되었습니다. 상표의 앞부분 발음이 같고, 일반 소비자가 상품을 혼동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주된 이유입니다.

#살충제#소화제#유사상표#상표법

특허판례

상표권 분쟁, 결국 핵심은 '오인혼동' 가능성!

도형과 문자가 결합된 두 상표에서, 공통적인 문자 부분이 상표의 핵심 요소로 판단되어 유사 상표로 인정된 사례입니다. 지정상품도 유사하여 소비자 혼동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었습니다.

#유사상표#도형+문자 결합상표#핵심요소#소비자 혼동

특허판례

상표 유사 판단, 어떻게 할까요? - 발음 유사성 중심으로 살펴본 사례

발음이 비슷한 상표는 외관이나 의미가 다르더라도 유사 상표로 판단될 수 있으며, 다른 유사 상표의 출원/등록 여부는 판단 기준이 될 수 없다.

#상표#발음#유사#혼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