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상표권 분쟁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얼핏 보기에 비슷한 두 상표 때문에 발생한 분쟁인데요, 과연 어떤 상황이었을까요?
두 상표는 발음이 비슷했습니다. 한 상표에는 다른 상표에 없는 "인"이라는 음절이 끝에 붙어 있었지만, 법원은 이 "인"에 특별한 의미가 없고 약하게 발음된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오히려 두 상표의 앞부분이 같고 강하게 발음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칭호가 유사하다고 판단했죠.
더 흥미로운 점은 지정상품의 차이입니다. 한 상표는 살초제, 다른 상표는 소화기관용 약제로, 용도가 전혀 다릅니다. 상표법 시행규칙상으로는 두 상품이 같은 류에 속해있다는 점이 문제가 되었는데요, 법원은 단순히 같은 류에 속한다는 사실만으로 유사상품으로 판단할 수는 없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판매처나 형태 등을 고려했을 때, 일반 소비자가 두 상품을 혼동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결국 유사상품으로 인정했습니다.
즉, 비슷한 이름의 상표를 사용하면서, 소비자가 혼동할 만한 유사한 상품에 사용했기 때문에 상표권 침해로 인정된 사례입니다.
관련 법 조항과 판례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7호: 이 조항은 상표 등록을 거절해야 하는 사유 중 하나로, 이미 등록된 상표와 유사한 상표를 유사한 상품에 사용하려는 경우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관련 판례: 이번 사건과 유사한 판단을 내린 이전 판례들도 참고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상표권 분쟁은 상표의 유사성뿐 아니라 지정상품의 유사성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됩니다. 상표 출원 시에는 유사한 상표 및 상품에 대한 사전 조사가 필수적이며,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특허판례
'아르멕스'라는 상표를 페인트 제거제에 사용하려는 출원이 기존에 등록된 비슷한 상표('아멕스')와 유사하고, 지정 상품도 유사하여 거절되었습니다.
특허판례
출원상표 ""가 기존 상표 ""와 유사하며, 지정상품도 유사하여 상표 등록이 거절된 사례입니다. 단순히 앞에 다른 단어가 추가되었다고 해서 유사하지 않다고 볼 수 없으며, 지정상품이 기계류라는 큰 범주에서 유사하다면 세부적인 용도 차이가 있어도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특허판례
새로운 상표에 그림이 들어가 있어도, 핵심 단어가 기존 상표와 같다면 유사 상표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특허판례
발음이 비슷한 상표는 외관이나 의미가 다르더라도 유사 상표로 판단될 수 있으며, 다른 유사 상표의 출원/등록 여부는 판단 기준이 될 수 없다.
특허판례
'매바코'라는 이름의 의약품 상표 등록을 신청했는데, 이미 '매비코드'라는 농약 상표가 있어서 거절당했습니다. 법원은 두 상표의 이름이 비슷하고, 의약품과 농약도 같은 회사에서 만들어 약국에서 함께 팔리는 경우가 있어 소비자가 혼동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상표 등록 거절을 정당하다고 판결했습니다.
특허판례
A회사가 B회사로부터 상표권을 사용할 권리를 받아 조금 변형된 상표를 사용했는데, C회사가 B회사의 원래 상표가 D회사의 상표와 유사하다며 등록취소를 요청한 사건에서, 변형된 상표도 원래 상표와 유사하다면 상표법 위반으로 볼 수 있다는 대법원 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