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0.04.24

민사판례

조합 청산인 해임과 직무대행자 선임 가처분, 가능할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조합 청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분쟁과 관련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특히 청산인의 해임과 직무대행자 선임을 위한 가처분 신청이 가능한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건의 개요

두 사람이 동업으로 부동산 개발 사업을 진행하다가 분쟁이 발생했습니다. 사업 진행 과정에서 투자금 문제 등으로 갈등이 생겨, 동업 계약과 토지 매매 계약 해지, 토지 소유권 이전 등기 말소 소송 등 여러 차례 법적 분쟁이 이어졌습니다. 결국 사업은 무산되었고, 동업 관계 청산을 둘러싼 분쟁이 계속되었습니다. 신청인은 피신청인(동업자)을 조합의 청산인에서 해임하고, 법원이 새로운 청산인을 선임해 달라는 가처분을 신청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이 사건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1. 가처분의 요건: 가처분은 본안 소송의 결과가 나올 때까지 임시적으로 권리 관계를 정하는 제도입니다. 가처분을 신청하려면 다툼이 있는 권리 관계가 존재해야 합니다. (민사집행법 제300조 제2항)

  2. 형성의 소: 법률 관계를 새롭게 만들거나 변경하는 소송을 형성의 소라고 합니다. 형성의 소는 법률에 명문으로 규정되어 있는 경우에만 제기할 수 있습니다. 단체 대표자 해임 청구 소송은 형성의 소에 해당하는데, 법적 근거 없이는 이러한 소송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3. 조합 청산인 해임: 민법에는 조합원들이 청산인을 선임하는 방법(민법 제721조)과 해임하는 방법(민법 제723조, 제708조)이 규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법원에 청산인 해임을 청구할 수 있다는 규정은 없습니다. 따라서 법원에 청산인 해임을 청구할 권리가 조합원에게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근거로 한 직무집행정지 및 직무대행자 선임 가처분 신청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즉, 법원은 조합원이 법원에 청산인 해임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가 법적으로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한 가처분 신청 역시 허용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민법: 제708조, 제721조, 제723조
  • 민사집행법: 제300조 제2항
  • 대법원 판례: 1995. 3. 10.자 94마605 결정, 1997. 10. 27.자 97마2269 결정, 2001. 1. 16. 선고 2000다45020 판결, 2007. 1. 25. 선고 2005다11626 판결

이번 판례는 조합 청산 과정에서 청산인 해임 및 직무대행자 선임을 위한 가처분 신청의 요건과 한계를 명확히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조합 관련 분쟁에 휘말리지 않도록 관련 법규를 잘 이해하고,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조합 이사장 해임과 법인 조합원의 피선출권에 관하여

법률에 명시적인 규정이 없는 경우, 조합 이사장이나 이사의 해임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할 수 없으며, 조합원이 법인인 경우 그 법인의 대표자가 이사장, 이사, 감사로 선출될 자격이 있다.

#조합#이사장#이사#해임청구

민사판례

아파트 재건축 조합, 직무집행정지 가처분 취소 신청할 수 있을까?

회사 대표 등의 직무를 정지시키는 법원의 결정(가처분)이 있은 후 상황이 바뀌었을 때, 그 가처분을 취소해달라고 요청할 수 있는 사람은 직무가 정지된 당사자이며, 회사 자체는 신청할 수 없다.

#직무정지 가처분 취소#신청자격#당사자#회사 신청 불가

민사판례

청산인 직무대행자의 권한과 회사 계속 결의

회사 청산 중 청산인 직무대행자가 선임된 후, 주주총회에서 회사 계속을 결의하고 새로운 이사를 선임했더라도 청산인 직무대행자의 권한은 바로 없어지지 않으며, 원래 청산인은 상황 변화를 이유로 법원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청산인#직무대행자#권한#주주총회

민사판례

재개발조합 설립과 시공사 계약, 그리고 가처분

재개발조합 설립 후 조합과 시공사 간의 계약에 대한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은 가능하지만, 조합 설립 자체에 문제가 없다면 가처분이 인용될 수 없다는 판결.

#도시환경정비#재개발조합#가처분#공사도급계약

민사판례

직무대행 가처분과 임기 만료: 사정변경으로 인한 가처분 취소 가능성

회장의 직무집행이 정지된 후 새로운 회장이 선출되면 직무집행정지 가처분은 사정변경으로 취소될 수 있다. 직무가 정지된 전임 회장도 가처분 취소를 신청할 수 있다.

#직무집행정지#가처분#취소#사정변경

민사판례

공동주택 공사도급 약정 해지 분쟁, 가처분 인용은 신중해야

건설사(한화건설)와 시행사(더다올)가 공사도급 약정을 맺었지만, 분양가 등에 이견이 생겨 시행사가 약정을 해지하자 건설사가 해지 효력 정지를 위한 가처분을 신청했습니다. 법원은 단순히 계약 해지로 인한 손해는 금전으로 배상 가능하므로, 특별한 사정 없이 가처분을 인용해서는 안 된다고 판단했습니다.

#공사도급#약정해지#효력정지가처분#손해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