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4.12.11

민사판례

주식 명의신탁과 확인의 소

오늘은 주식 명의신탁과 관련된 대법원 판결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이번 판결에서는 주주 명의가 신탁된 경우, 실제 주주임을 확인받기 위한 소송에서 어떤 점들을 주의해야 하는지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자신이 피고 1에게 주식을 명의신탁했다고 주장하며, 자신이 실질적인 주주임을 확인해달라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그러나 해당 주식은 이미 제3자에게 양도된 상태였고, 피고 1은 더 이상 주주명부에 등재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쟁점 1: 확인의 소에서 '확인의 이익'이란 무엇일까?

확인의 소를 제기하기 위해서는 '확인의 이익'이 있어야 합니다. 즉, 법률관계에 대한 분쟁이 있고, 그로 인해 원고의 권리나 법률상 지위에 불안·위험이 있는 경우, 확인판결을 받는 것이 그 불안·위험을 제거하는 가장 유효·적절한 수단이어야 합니다 (민사소송법 제250조).

대법원은 원고가 피고 1을 상대로 주주권 확인을 구하는 것은 확인의 이익이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왜냐하면 이미 주식이 제3자에게 양도되었기 때문에, 피고 1을 상대로 확인판결을 받더라도 회사나 제3자에게는 효력이 없기 때문입니다. 즉, 원고의 권리 불안을 해소할 수 없다는 것이죠 (대법원 2010. 2. 25. 선고 2009다93299 판결).

쟁점 2: 주주명부상 주주 명의의 명의신탁을 주장하려면 누가 입증해야 할까?

주주명부에 등재된 사람은 그 회사의 주주로 추정됩니다 (상법 제352조). 따라서 명의신탁을 주장하는 쪽, 즉 명의차용인이 실질적인 주주라고 주장하는 쪽에서 명의신탁 사실을 입증해야 합니다 (민사소송법 제288조).

이 사건에서 원고는 자신이 주식의 실질적 소유자라고 주장했지만, 대법원은 원고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명의신탁 사실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오히려 다른 증거들을 통해 피고 1이 원고와 다른 사람으로부터 주식을 양수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대법원 2007. 9. 6. 선고 2007다27755 판결, 대법원 1985. 3. 26. 선고 84다카2082 판결). 명의신탁은 민법 제103조에 따라 원칙적으로 무효이기 때문에, 명의수탁자의 소유권 취득을 주장하는 경우에도 그러한 사실관계에 대한 입증책임은 명의수탁자에게 있습니다.

결론

이번 판결은 주식 명의신탁과 관련하여 확인의 소 제기 요건과 입증책임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미 주식이 제3자에게 양도된 경우에는 명의수탁자를 상대로 한 확인의 소는 확인의 이익이 없어 부적법하다는 점, 그리고 명의신탁 사실에 대한 입증책임은 명의신탁을 주장하는 측에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주식 명의개서와 주주권 확인 소송에 대한 이야기

주주명부에 이름이 없는 사람이 실제 주식을 샀다 하더라도, 회사에 명의개서를 청구할 수 있으므로 주주권 확인 소송은 할 필요 없다.

#주주명부#정정#확인의 소#이익

민사판례

주식 명의신탁, 진짜 주인의 빚은 누가 책임질까?

주식의 실소유자가 다른 사람 이름으로 주식을 보유하게 하는 '명의신탁'의 경우, 실소유자의 빚을 받아야 하는 채권자는 채무자(실소유자)를 대신하여 명의신탁을 해지하고 주식에 대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명의신탁#채권자#채무자#주식

형사판례

명의신탁 주식 처분 후 세금 신고, 위조일까? 아닐까?

다른 사람 명의로 주식을 보유하고 있던 실소유주가 명의자를 변경하기 위해 명의자 이름으로 세금 신고서를 작성했는데, 이것이 사문서위조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판결. 대법원은 명의자가 명의 사용을 허락했다고 보아 위조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단.

#명의신탁#주식#처분#과세표준신고

세무판례

주식 명의신탁과 증여세, 핵심 쟁점 완벽 정리!

주식의 실제 소유자와 명의자가 다를 경우, 명의신탁 합의가 있었다면 그 합의일을 기준으로 증여세를 과세해야 하며, 이미 명의신탁으로 증여세 과세 대상이 된 주식에 대해서는 명의개서를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다시 증여세를 부과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또한, 기존 명의신탁이 종료되고 새로운 명의신탁이 이루어지면 새로운 명의신탁 관계에 따라 증여세를 과세해야 합니다.

#명의신탁#증여세#명의신탁 합의일#명의개서 해태

세무판례

주식 명의신탁과 증여세, 회사는 주주명부를 숨기고 있을까?

회사 임원들이 대주주로부터 비상장 회사 주식을 다른 사람 명의로 매수한 것에 대해, 세무서가 증여세를 부과했습니다. 법원은 회사에 주주명부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음에도 이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증여세 부과가 위법하다고 판단한 원심을 파기했습니다.

#명의신탁#주식#증여세#주주명부

민사판례

주식회사 주주, 누구일까요? 주주명부와 실질 주주 사이의 진실

회사 설립 시 제3자가 주식 인수 대금을 납부했더라도, 그 제3자가 실제 주주(명의수탁자)라고 단정 지을 수 없다. 제3자가 실제 주주라고 주장하는 쪽에서 명의신탁 사실을 입증해야 한다.

#주주명부#실제주주#명의신탁#입증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