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9.08.14

민사판례

주식의 진짜 주인은 누구? 주권 점유의 중요성!

주식 투자를 하다 보면 주식의 실제 소유권을 둘러싼 분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주권 점유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판례를 통해 주식의 진짜 주인을 가리는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A 회사의 자회사인 B 회사가 신주를 발행했고, A 회사 대표이사 C의 동서 D가 그 주식을 매입하여 주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시간이 흘러 C가 해임된 후, A 회사는 D에게 "사실 그 주식은 우리 회사가 너에게 명의만 빌려준 것이니 돌려달라"고 요구했습니다. A 회사는 B 회사에도 D 명의의 주식을 A 회사 명의로 바꿔달라고 요청했고, B 회사는 이를 받아들였습니다. 이에 D가 주식을 돌려달라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주식의 주권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주식의 적법한 소유자로 추정된다고 판단했습니다 (상법 제336조 제2항). 즉, 주권을 가지고 있는 D가 진짜 주인이라고 보는 것이 원칙입니다. 누군가 D가 주인이 아니라고 주장하려면 그에 대한 증거를 제시해야 합니다.

이 사건에서 B 회사는 D가 주권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음에도 A 회사의 요구에 따라 명의를 변경해 주었습니다. 법원은 B 회사가 주식 명의 변경을 요청한 A 회사의 주장이 진실인지 제대로 확인하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A 회사는 D와 명의신탁 약정을 했다는 증거도 제시하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B 회사의 명의 변경은 잘못된 것이고, D가 주식의 주인이라고 판결했습니다.

핵심 포인트

  • 주권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주식의 적법한 소유자로 추정됩니다 (상법 제336조 제2항).
  • 회사는 주식 명의 변경을 요청받았을 때, 요청하는 사람이 주권을 가지고 있는지 등 형식적인 요건만 확인하면 되고, 실제 소유권 분쟁까지 조사할 의무는 없습니다.
  • 하지만 이 사건처럼 주권 소유자와 다른 사람이 명의 변경을 요청하는 경우, 회사는 요청의 근거가 진실인지 신중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법적 분쟁에 휘말릴 수 있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상법 제336조, 제337조 제1항
  • 대법원 1989. 7. 11. 선고 89다카5345 판결
  • 대법원 1995. 5. 23. 선고 94다36421 판결

이처럼 주식 관련 분쟁에서는 주권의 점유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식 투자를 할 때는 주권 관리에 신중해야 하며, 관련 법규와 판례를 이해하는 것이 권리를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내 주식인데, 내 주식 아닌 것 같은 이상한 상황?! 주식 명의와 의결권에 대한 이야기

내 이름으로 주식을 샀지만, 돈은 다른 사람이 냈다면 주식은 누구 것일까요? 또, 법원에서 의결권 행사를 금지당한 주식도 회사의 의사결정에 필요한 주식 수에 포함될까요? 이 판례는 이 두 가지 질문에 답합니다.

#명의차용#주주권#의결권 제한#발행주식 총수

민사판례

내 주식, 마음대로 뺏길 수 없다?! - 주주권 상실에 대한 오해와 진실

회사 설립 6개월 후에 주식을 양도받은 사람은 회사 명부에 이름이 등록되지 않았더라도 주주로서의 권리를 갖습니다. 회사가 임의로 다른 사람에게 명의개서를 해주었다고 해서 원래 주식을 양도받은 사람의 주주권이 없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주주권은 법에 정해진 사유(주식 양도, 주식 소각, 주금 미납으로 인한 실권 등)에 의해서만 없어지며, 단순히 당사자끼리의 약속이나 주식 포기 의사만으로는 없어지지 않습니다.

#주식양도#명의개서#주주권#주주권 상실

민사판례

내 주식 어디있니? 주식 소유권 분쟁과 주권 인도 청구

주주명부에 이름이 올라가 있더라도, 주권을 받을 권리가 있다는 것만으로 다른 사람과의 주식 소유권 분쟁에서 자동으로 이긴다고 볼 수 없으며, 회사가 명의개서대리인을 통해 주권을 관리하고 있더라도 주주는 회사에 주권을 요구할 수 있다.

#주권#주식 소유권 분쟁#명의개서대리인#주권 발행 청구

민사판례

주식 명의신탁, 진짜 주인의 빚은 누가 책임질까?

주식의 실소유자가 다른 사람 이름으로 주식을 보유하게 하는 '명의신탁'의 경우, 실소유자의 빚을 받아야 하는 채권자는 채무자(실소유자)를 대신하여 명의신탁을 해지하고 주식에 대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명의신탁#채권자#채무자#주식

민사판례

주식 양도 후 명의개서가 잘못되었을 때, 진짜 주주는 누구일까?

회사 설립 6개월 후, 주권 발행 전에 주식을 양도받은 사람은 회사에 양도 사실을 알리고 주주 명부에 이름을 올리지 않았더라도 주주로 인정된다. 회사가 나중에 다른 사람에게 주권을 발행했더라도, 원래 주식을 양도받은 사람의 주주 자격은 없어지지 않는다.

#주권발행전#주식양도#주주자격#주주명부

민사판례

타인 명의의 주식, 진짜 주인은 누구?

다른 사람 이름으로 주식을 사면, 실제 돈을 낸 사람이 주주일까요, 아니면 명의를 빌려준 사람이 주주일까요? 이 판례는 누가 진짜 주주인지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합니다.

#타인명의#주식인수#진짜주주#주식인수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