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7.04.07

민사판례

주유소 임대차 계약 종료 후, 영업양도로 볼 수 있을까?

주유소 임대차 계약이 끝나고 주유소 주인이 다시 영업을 시작했을 때, 이를 이전 임차인으로부터의 영업양도로 볼 수 있을까요? 최근 대법원 판결을 통해 이 문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건물주인 피고는 소외 회사에 주유소를 임대했습니다. 소외 회사는 기존 시설을 이용하여 주유소를 운영하다가 임대차 계약이 해지되어 피고에게 주유소를 반환했습니다. 이후 피고는 직접 주유소 영업을 시작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소외 회사의 채권자가 피고에게 소외 회사의 채무를 변제하라고 요구하면서 분쟁이 발생했습니다.

쟁점

핵심 쟁점은 피고가 소외 회사로부터 주유소 영업을 양도받은 것으로 볼 수 있는지였습니다. 만약 영업양도로 인정된다면, 피고는 상법 제42조 제1항에 따라 소외 회사의 채무를 변제할 책임을 지게 됩니다.

대법원의 판단 (2016. 8. 24. 선고 2014다9212 판결)

대법원은 피고의 행위를 영업양도로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영업의 의미: 상법 제42조 제1항에서 말하는 '영업'이란 단순한 영업활동이 아니라, 일정한 영업목적을 위해 조직화된 유기적 일체로서 기능하는 재산을 의미합니다. 즉, 수익을 창출하는 기능을 하는 유형·무형의 재산과 경제적 가치를 갖는 사실관계가 결합된 것을 말합니다.
  • 영업양도의 판단 기준: 영업양도가 있었는지는 양수인이 이러한 유기적으로 조직화된 수익의 원천으로서의 기능적 재산을 이전받아 양도인과 같은 영업활동을 계속하고 있는지에 따라 판단해야 합니다. (대법원 2005. 7. 22. 선고 2005다602 판결 등 참조)
  • 상법 제42조 제1항의 취지: 이 조항은 영업양도 시 채무 승계가 제외되어 채권자가 피해를 보는 것을 막기 위한 것입니다. 양수인이 양도인의 상호를 계속 사용하는 경우, 채권자는 영업양도 사실을 알기 어려워 채권추구의 기회를 잃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양수인에게 양도인의 채무에 대한 변제 책임을 지우는 것입니다. (대법원 1989. 12. 26. 선고 88다카10128 판결, 대법원 2010. 9. 30. 선고 2010다35138 판결 등 참조)
  • 영업임대차와 영업양도의 구별: 영업임대차의 경우, 영업재산의 소유권은 임대인에게 유보되어 있고 임차인은 사용·수익권만을 가집니다. 따라서 임차인에게 임대인의 채무 변제 책임을 지우는 것은 과도한 부담입니다. 따라서 영업임대차에는 상법 제42조 제1항을 유추적용할 수 없습니다. 이는 임대차 종료 후 영업을 반환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사건에서 주유소의 주요 설비는 피고의 소유였고, 관련 등록 및 신고도 피고 명의로 되어 있었습니다. 따라서 피고는 단지 소외 회사에게 영업을 임대했다가 반환받은 것으로 볼 수 있을 뿐, 영업 자체를 양도받았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피고는 소외 회사의 채무를 변제할 책임이 없습니다.

결론

이 판결은 영업양도와 영업임대차를 명확히 구분하고, 임대차 계약 종료 후 영업을 반환받는 경우에도 이를 영업양도로 보아 임차인의 채무 변제 책임을 임대인에게 지울 수 없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는 영업임대차 관계에서 임대인과 임차인의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주유소 상호 같다고 영업양도는 아니다!

기존 주유소 운영 회사가 사용하던 건물을 새로 임차하여 같은 상호로 주유소를 운영하더라도, 이는 기존 사업의 영업양도로 볼 수 없다. 따라서 기존 회사의 채무에 대한 책임을 묻기 어렵다.

#주유소#임대#영업양도#채무

상담사례

주유소 인수했는데, 돌려줘야 한다고? 영업양도와 주주총회 특별결의에 대해 알아보자!

주유소를 인수했지만, A회사가 주주총회 특별결의를 거치지 않고 영업의 중요한 일부를 양도했기에 계약이 무효가 되어 주유소를 돌려줘야 할 위기에 처했다.

#주유소 인수#영업양도#주주총회 특별결의#상법 제374조

민사판례

영업양도와 채권양도, 별개로 봐야 할까?

가식의 상호를 계속 사용하는 영업양수인은 양도인의 영업상 채무를 변제할 책임이 있습니다. 그러나 양도인에 대한 채권을 다른 사람에게 양도하더라도 양수인에 대한 채권까지 당연히 양도되는 것은 아니며, 양수인에 대한 채권까지 양도하려면 채권양도의 대항요건을 양수인에게도 갖추어야 합니다.

#영업양도#채권양도#대항요건#상호속용

민사판례

유흥주점 운영권 양도 계약 분쟁, 대법원 "다시 판단하라"

유흥주점 운영권 양도계약 해지 시, 해지 사유와 관계없이 양도인은 양수인에게 이미 받은 돈을 돌려줘야 하고, 양도인이 주점을 함부로 다시 점유한 경우 손해배상 책임도 져야 한다.

#유흥주점#운영권#양도계약#해지

민사판례

골프연습장 임대차와 빚 책임, 누가 져야 할까?

골프연습장을 임차하여 운영하는 사람은 임대인의 상호를 사용했더라도 임대인의 기존 채무를 갚을 책임이 없다. 영업양수인의 책임을 규정한 상법 제42조는 영업임대차에는 유추적용할 수 없다.

#골프연습장#임차인#임대인#채무

민사판례

돈 안 갚고 사업 넘겨버렸다고?! 영업양도와 채권자취소권

빚진 사람이 자신의 영업을 팔아서 재산을 빼돌리는 행위를 했을 때, 채권자는 그 영업양도를 취소하고 돈을 돌려받을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채권자취소권#영업양도#채무자#채권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