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0.04.10

일반행정판례

주유소 허가 취소, 너무 가혹한 처벌 아닌가요?

주유소 운영하다 보면 예상치 못한 일로 행정처분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에는 허가 취소까지 당할 수 있는데요, 과연 어떤 기준으로 처분이 내려지는 걸까요? 그리고 그 기준은 얼마나 강제력이 있는 걸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법원의 판단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주유소 운영자)는 한 번의 위반행위로 석유판매업 허가를 취소당했습니다. 이에 원고는 처분이 너무 가혹하다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

  • 석유판매업 허가 취소 기준(석유사업법시행규칙 별표 1)의 법적 효력은 어느 정도일까?
  • 이 사건에서 허가 취소 처분은 재량권 남용에 해당할까?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석유사업법시행규칙 제9조의2 제1항 별표 1 (1988.9.10. 동력자원부령 제10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은 행정기관 내부의 업무 처리 기준일 뿐, 법적인 구속력을 갖는 법규가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즉, 별표 1에 따라 무조건 허가를 취소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겁니다. (석유사업법 제13조 제3항 참조)

또한, 이 사건에서 원고의 위반행위가 단 한 번이었던 점 등을 고려할 때, 허가 취소 처분은 재량권을 남용한 것이라고 판단하여 취소했습니다.

핵심 정리

  • 석유판매업 허가 취소 기준(구 석유사업법시행규칙 별표 1)은 법규가 아닌 행정 내부 지침입니다.
  • 행정처분은 위반행위의 경중 등을 고려하여 재량껏 내려져야 합니다. 단 한 번의 위반행위로 허가를 취소하는 것은 재량권 남용이 될 수 있습니다.

참고

  • 관련 법 조항: 석유사업법 제13조 제3항, 석유사업법시행규칙 제9조의2 제1항 별표 1
  • 관련 판례: 대법원 1989.7.25. 선고 88누4461 판결

이처럼 행정처분은 법규와 구체적인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만약 부당한 처분을 받았다고 생각된다면, 적극적으로 권리를 구제받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유사휘발유 판매, 주유소 허가 취소까지 가야 할까요?

주유소에서 기준에 미달하는 휘발유를 판매했더라도, 그것이 처음이고 고의성이 없다면 주유소 허가를 취소하는 것은 너무 가혹한 처벌이라는 판결.

#유사휘발유#주유소 허가취소#재량권 남용#고의성

일반행정판례

주유소 허가 취소, 너무 심한 거 아닌가요? - 관리 소홀로 인한 옥탄값 저하, 허가 취소까지 가야 할까?

주유소 운영자가 관리 소홀로 옥탄값이 떨어진 유사 석유를 판매했을 때, 주유소 허가를 취소하는 것은 과도한 처분이라는 판결. 행정 처분은 위반 행위의 경중과 사업자의 손실을 비교하여 결정해야 함.

#주유소#허가취소#과도한 처분#유사석유

일반행정판례

주유소 허가취소와 청문절차, 꼭 필요할까?

법적 근거 없이 만들어진 지자체 규칙은 행정 내부 지침일 뿐 법적 효력이 없으며, 이 규칙에서 정한 청문절차를 지키지 않았더라도 처분 자체가 무효가 되는 것은 아니다.

#석유판매업#행정처분#청문절차#규칙

일반행정판례

주민 동의 없다고 가스판매사업 허가 취소? 너무하네!

주민 동의를 얻지 못했다는 이유로 액화석유가스판매사업 허가를 취소한 것은 사업자에게 지나치게 가혹하고, 공익보다 사업자의 손해가 더 크다고 판단하여 위법한 처분으로 본 사례.

#가스판매 허가취소#주민동의#재량권 남용#위법

일반행정판례

내 주유소 허가가 반려됐는데, 왜 남의 주유소 허가 취소를 못 시키죠?

이미 허가받은 경쟁 업체 때문에 자신의 사업 허가가 거부되었다고 해서, 그 경쟁 업체의 허가를 취소해달라고 소송을 낼 자격은 없습니다.

#경쟁업체 허가취소소송#자격#패소#간접적 불이익

일반행정판례

주류판매업 면허 취소, 재량은 없다!

주류판매업자가 법으로 정된 면허 취소 사유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면, 면허증에 그 사유가 적어져 있지 않더라도 면허는 반드시 취소되어야 합니다.

#주류판매업#면허취소#법정취소사유#동업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