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9.10.17

민사판례

중국 세관에 압수된 휴대폰 액정, 운송업체는 책임을 져야 할까?

중고 휴대폰 액정을 중국으로 보냈는데, 세관에서 압수당해 폐기됐다면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 할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법원 판결을 쉽게 풀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A씨는 중고 휴대폰 액정을 중국으로 보내기 위해 B 운송업체에 의뢰했습니다. B는 C 회사를 통해 항공편으로 액정을 발송했지만, 중국 세관은 이 액정이 중고라는 이유로 통관을 보류하고 C 회사에 관련 자료를 요구했습니다. 하지만 C 회사가 자료를 제출하지 않아 결국 액정은 폐기 처분되었습니다. A씨는 액정 폐기로 인한 손해배상을 B에게 청구했습니다.

1심과 2심 법원의 판단

1심과 2심 법원은 B 운송업체가 A씨에게 손해를 배상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해외 운송을 의뢰받은 운송인은 운송물이 멸실되거나 훼손될 경우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는 상법 제135조를 근거로 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그러나 대법원은 원심 판결을 뒤집었습니다. 항공 운송의 경우, 운송물의 멸실 또는 훼손이 세관과 같은 공공기관의 행위로 발생했다면 운송인은 책임을 면할 수 있다는 상법 제913조 제1항 제4호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사건에서는 중국 세관이 통관을 보류하고 액정을 폐기했기 때문에, 운송업체 B에게는 면책 사유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죠. B 운송업체는 재판 과정에서 이러한 면책 사유를 주장했지만, 1심과 2심 법원은 이를 제대로 검토하지 않았습니다. 대법원은 하급심 법원이 이 부분을 다시 살펴봐야 한다며 사건을 돌려보냈습니다.

핵심 법 조항

  • 상법 제135조 (운송인의 책임) 운송인은 자기 또는 사용인 기타 운송사무에 종사하는 자의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하여 운송물이 멸실, 훼손 또는 연착된 때에는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 상법 제913조 제1항 제4호 (항공운송인의 면책) 운송물의 멸실 또는 훼손이 운송물의 출입국, 검역 또는 통관과 관련한 공공기관의 행위로 발생하였음을 증명하였을 경우에는 그 책임을 면한다.

결론

이 사건은 세관의 압수로 인한 운송물 폐기 시 운송업체의 책임 범위를 다루고 있습니다. 대법원은 운송인의 면책 사유를 명확히 제시하며, 하급심 법원이 이를 충분히 고려하여 판단해야 함을 강조했습니다. 이 판결은 해외 운송 계약 시 발생할 수 있는 분쟁에 대한 중요한 판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세관 압수물품 훼손, 누구 책임일까? 녹용전지 사건으로 알아보는 손해배상

세관이 압수한 녹용이 보관 부실로 훼손되었을 때, 세관은 소유자에게 손해를 배상해야 하며, 그 손해액은 녹용의 국내 시가가 아닌 도착가격(수입가격 + 운송비 등)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한다. 다만, 공식적으로 압수되지 않은 물품에 대한 세관의 책임은 없다.

#세관#압수물#보관소홀#손해배상

민사판례

해외 직구? 항공화물 분실 시 책임은 누구에게?

항공화물이 공항을 벗어나 보세창고에 보관 중 무단 반출된 경우, 국제항공운송 협약(바르샤바 협약)이나 운송인의 책임(사용자 책임 포함)이 적용되지 않는다.

#항공화물#무단반출#보세창고#바르샤바 협약

민사판례

배송 사고 책임, 누구에게 물어야 할까? 운송인과 그 보조자의 책임 범위

배를 이용한 화물 운송에서, 운송을 실제로 담당하는 하청업체 등 운송인의 이행보조자에게도 운송인과 동일한 책임 제한 규정이 적용될 수 있지만, 고의 또는 중과실로 인한 손해에 대해서는 제소기간 약관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판결입니다.

#운송인#이행보조자#책임제한#제소기간

민사판례

보세창고에 맡긴 내 물건, 누가 책임져야 할까? - 수입화물 분실 사고와 책임 소재

보세창고는 항공운송인의 지시 없이 수하인 아닌 사람에게 화물을 인도하면 안 되며, 이를 어길 경우 손해배상 책임을 진다.

#보세창고#화물인도#책임#손해배상

민사판례

컨테이너 운송물 손상, 누구 책임일까? - 선하증권과 입증책임

컨테이너에 실린 화물이 손상되었을 때, 운송인이 아닌 화주 측에 책임이 있다고 판결한 사례. 특히, 송하인이 컨테이너에 화물을 직접 싣고 봉인하는 경우, 운송인은 컨테이너 내부 상태를 확인할 의무가 없으므로, 화물 손상에 대한 책임은 화주 측에 있다는 내용.

#컨테이너 운송#화물 손상#책임 소재#화주 책임

민사판례

해상 운송에서의 책임과 구상권, 소멸시효에 대해 알아보자!

재운송인의 잘못으로 화물이 손실되어 원수운송인이 화주에게 배상한 후 재운송인에게 구상권을 행사하는 경우, 상법상 1년의 짧은 제소기간이 적용되지 않는다.

#원수운송인#재운송인#구상권#제소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