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0.11.27

세무판례

증여세 비과세 결정 후 과세? 재산가액 평가 시점은 언제일까?

증여세는 재산을 증여받았을 때 내는 세금인데요, 증여받은 재산의 가치를 어떻게 평가하느냐에 따라 세금이 달라지겠죠? 오늘은 증여세 재산가액 평가 시점에 대한 중요한 판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사례:

과세관청이 처음에는 증여재산에 대해 비과세 결정을 내렸습니다. 그런데 나중에 입장을 바꿔 증여세를 부과하기로 했는데요. 이때 과세관청은 비과세 결정 당시의 재산가액을 기준으로 증여세를 계산했습니다. 납세자는 이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

비과세 결정 후 증여세를 부과할 때, 재산가액은 언제 시점을 기준으로 평가해야 할까요? 비과세 결정 당시일까요, 아니면 최종적으로 증여세 부과를 결정한 날일까요?

판결:

대법원은 증여세 부과 결정일 당시의 재산가액을 기준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대법원 1990.11.27. 선고 90누3805 판결).

상속세 및 증여세법(이하 상증세법) 제34조의5, 제9조 제2항은 증여세 부과 당시의 가액으로 평가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대법원은 여기서 "증여세 부과 당시"란 과세관청이 증여세를 부과할 수 있는 증여재산이 있음을 안 때라고 해석했습니다.

비록 과세관청이 이전에 비과세 결정을 내렸더라도, 비과세 사유가 명확하지 않다면 과세관청이 그 당시 증여세 부과 대상 재산이 있음을 알았다고 볼 수 없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비과세 결정 당시의 재산가액이 아니라, 최종적으로 증여세 부과를 결정한 날의 재산가액을 기준으로 세금을 계산해야 합니다.

핵심:

  • 증여세 재산가액 평가 시점은 과세관청이 증여세 부과 대상 재산이 있음을 안 때입니다.
  • 과거 비과세 결정이 있었더라도, 비과세 사유가 불분명하다면 비과세 결정 당시의 재산가액이 아니라 증여세 부과 결정일 당시의 재산가액을 기준으로 증여세를 계산해야 합니다.

관련 법조항: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34조의5 (증여재산의 평가)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9조 제2항 (과세표준)

이 판례는 증여세 재산가액 평가 시점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증여와 관련된 세금 문제에 관심 있는 분들께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증여세 계산, 언제 기준으로 해야 할까요?

증여세를 부과할 때 재산 가액은 세금 부과를 *결정*한 시점이 아니라 증여 사실을 *인지*한 시점을 기준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증여세#재산가액 평가시점#증여사실 인지시점#부과결정시점

세무판례

증여세, 언제 기준으로 매겨질까요?

증여받은 사실을 세무서가 신고기간 안에 알았더라도, 증여세는 신고기간이 끝난 후의 재산 가액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증여세#과세시점#신고기간#재산가액

세무판례

증여세 부과 시점, 언제일까요? - 과세자료 미송부시 증여재산 평가 기준

증여세는 언제를 기준으로 재산 가치를 평가해야 할까요? 이 판례는 세무서가 증여 사실을 알았을 때를 기준으로 해야 하며, 세무서의 과실로 자료를 늦게 받았더라도 원래 받았어야 할 시점을 기준으로 평가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증여세#부과시점#재산가치#평가시점

세무판례

증여세 계산, 제대로 알고 계셨나요? 재산 가치 평가와 채무 공제에 대한 오해와 진실!

증여세는 과세관청이 증여 사실을 알고 부과할 수 있었던 시점의 재산 가액을 기준으로 계산하며, 공신력 있는 기관의 감정가액도 시가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또한, 배우자나 직계존비속이 아닌 사람 사이의 부담부증여에서는 수증자가 인수한 채무는 항상 증여재산 가액에서 공제됩니다.

#증여세#과세기준시점#시가#부담부증여

세무판례

증여받은 재산, 언제 가치를 따져야 할까요?

신고되지 않은 증여 재산에 대한 세금을 계산할 때, 세금 부과 시점이 아닌 증여 시점의 재산 가치를 기준으로 해야 합니다.

#증여세#증여시점#재산가치#부동산

세무판례

증여세 납부, 언제 어떤 가격으로 내야 할까?

증여받은 재산을 신고하지 않았을 때, 세무서가 증여 사실을 안 날짜가 아니라 증여세 신고 기간이 끝난 후의 재산 가치를 기준으로 증여세를 부과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증여세#부과시점#재산평가#신고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