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1.05.14

세무판례

증여세 계산, 제대로 알고 계셨나요? 재산 가치 평가와 채무 공제에 대한 오해와 진실!

증여세, 생각만 해도 머리 아픈 세금 중 하나죠. 특히 재산 가치를 어떻게 평가하고, 채무는 어떻게 공제해야 하는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증여세 계산과 관련된 중요한 판례를 바탕으로, 흔히 발생하는 오해들을 풀어드리겠습니다.

1. 증여세, 언제 기준으로 계산해야 할까요? (증여세 부과 시점)

증여세는 과세 당국이 증여 사실을 알고 세금을 부과할 수 있었던 시점의 재산 가액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단순히 증여세 고지서가 날아온 날짜가 아니라, 과세 당국이 증여 사실을 인지하고 과세할 수 있었던 시점이 기준이라는 점, 꼭 기억하세요!

(관련 법 조항: 구 상속세법(1988.12.26. 법률 제402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4조의5, 제9조 제2항)

(관련 판례: 대법원 1990.11.9. 선고 90누6187 판결 등)

2. 재산 가치,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요? (시가의 의미)

재산 가치는 '시가'를 기준으로 평가합니다. '시가'란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거래에서 형성된 가격을 의미하지만, 공신력 있는 감정기관의 평가액도 시가로 인정됩니다. 따라서, 전문 감정기관의 평가를 받았다면 그 가액을 증여세 계산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관련 법 조항: 구 상속세법시행령 제5조 제1항)

(관련 판례: 대법원 1987.10.26. 선고 87누500 판결 등)

3. 채무, 어떻게 공제해야 할까요? (부담부증여)

배우자나 직계존비속이 아닌 사람에게 증여하면서 증여받는 사람이 증여자의 채무를 인수하는 경우, '부담부증여'라고 합니다. 부담부증여에서는 인수한 채무액을 증여 재산 가액에서 공제할 수 있습니다. 증여계약서에 채무 인수 내용이 명시되지 않았더라도 공제 가능합니다.

(관련 법 조항: 상속세법 제29조의4)

이처럼 증여세 계산은 생각보다 복잡한 요소들이 많습니다. 위 내용들을 잘 숙지하셔서 증여세 계산에 대한 오해를 풀고, 정확한 세금 신고를 통해 불이익을 받는 일이 없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증여세 계산, 언제 기준으로 해야 할까요?

증여세를 부과할 때 재산 가액은 세금 부과를 *결정*한 시점이 아니라 증여 사실을 *인지*한 시점을 기준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증여세#재산가액 평가시점#증여사실 인지시점#부과결정시점

세무판례

증여세, 언제 기준으로 매겨질까요?

증여받은 사실을 세무서가 신고기간 안에 알았더라도, 증여세는 신고기간이 끝난 후의 재산 가액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증여세#과세시점#신고기간#재산가액

세무판례

증여세 비과세 결정 후 과세? 재산가액 평가 시점은 언제일까?

세무서에서 증여에 대해 한 번 비과세 결정을 내렸더라도, 나중에 과세로 변경할 경우 비과세 결정 시점이 아닌, 과세 가능한 증여 사실을 인지한 시점을 기준으로 증여 재산 가액을 평가해야 합니다.

#증여세#비과세#과세#재산가액

세무판례

증여세 폭탄 맞기 전에 알아두자! 증여세 신고기간과 재산 평가 방법

증여세 신고 기간 전에 세금을 부과하는 것은 위법이며, 재산의 시가를 확인하기 어려워 보충적인 평가 방법을 사용할 경우, 그 사실에 대한 입증 책임은 과세 관청에 있다.

#증여세#부과시기#재산평가#시가

세무판례

증여세 납부, 언제 어떤 가격으로 내야 할까?

증여받은 재산을 신고하지 않았을 때, 세무서가 증여 사실을 안 날짜가 아니라 증여세 신고 기간이 끝난 후의 재산 가치를 기준으로 증여세를 부과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증여세#부과시점#재산평가#신고기간

세무판례

빚 있는 부동산 증여, 세금은 어떻게 계산될까?

빚이 있는 부동산을 증여받을 때, 그 빚 때문에 나중에 부동산을 뺏길 가능성이 확실하지 않다면 증여세 계산 시 빚을 빼주지 않는다.

#부동산 증여#증여세#채무#근저당